Skip to content
Home »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 [하루 한 장] 갈라디아서2장_디도를 데리고 246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 [하루 한 장] 갈라디아서2장_디도를 데리고 246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 [하루 한 장] 갈라디아서2장_디도를 데리고“?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ro.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ro.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홍융희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5,332회 및 좋아요 13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하루 한 장] 갈라디아서2장_디도를 데리고 –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2020. 10. 9 (금) [하루 한 장]“디도를 데리고” (갈2장)
부산 성민교회 새벽기도회
설교자 : 홍융희 목사 (분홍목사)
갈라디아서 2장은 1장에 이어서
다른 복음에 빠져 허우적대던
갈라디아 지방의 교인들에게
진짜 복음의 능력이 무엇인지
바울이 보여주는 장입니다
바울은 예전에 이방인의 할례를
두고 변론하다가 예루살렘에 가서
이 문제를 문의한 적이 있습니다
이 때 바울은 할례 받지 않은
헬라인 디도를 데리고 갔습니다
그래서 디도를 통해서 할례 없이도
구원받고 믿음으로 선을 행하는
믿음의 사람이 얼마든지 가능함을
모두에게 보여주었던 것입니다
우리도 이 디도처럼 복음을 믿어
오직 믿음으로 새롭게 된 자가
얼마나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복된 삶을 살 수 있는지
세상에 보여주는 증인으로
설 수 있다면 얼마나 복될까요?
저와, 그리고 당신이 이 시대의
디도가 되어 주님의 이름을
만방에 전하길 소망합니다.
====================================
* 부산 성민교회 : 부산시 사하구 승학로 201(괴정동).
http://sungminch.com/
성민교회 홈페이지에 오시면 더 많은 성민가족 이야기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홍융희 목사의 설교 mp3모음 USB구입은 교회 사무실로 전화 문의 바랍니다.
분홍목사의 사역 신청 문의도 아래 전화번호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전화 051-204-0691 (담당 : 성민교회 박지선 간사)
* 하나님은 당신을 사랑하시고 성경말씀을 깨닫게 하시길 원하십니다.
[하루 한 장]과 여러 영상들을 통해 당신을 향한 하나님의 뜻과 계획을 확인해 보세요.
http://www.youtube.com/c/홍융희
피드백은 댓글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내용이 많거나 개인적인 내용을 전하려면 아래의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주세요.
[email protected]
010-2741-0734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분홍목사 홍융희 올림.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갈라디아서 2장 주석 – 바울서신 – 예사랑 성경 연구회 – Daum 카페

서 발생하는 하나님의 행위이다. … 다. 인간이 만들어낸 규범으로 하나님의 의를 소유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 외적인 조건을 더 하려고 하였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cafe.daum.net

Date Published: 1/11/2021

View: 8022

갈라디아서 강해 – 옛신앙

성경주석이나 강해는 성경 본문의 바른 이해를 위한 작은 참고서에 불과하다. 성도는 각자 성령의 도우심을 구하며 … 2장: 복음 안에 있는 자유.

+ 여기에 표시

Source: www.oldfaith.net

Date Published: 6/14/2022

View: 1674

헬라어 갈라디아서 2장 원어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 인생여행

에페이타 디아 데카테싸론 에톤 팔린 아네벤 에이스 히에로솔뤼마 메타 바르나바 쉼파랄라본 카이 티톤 개역개정,1 십사 년 후에 내가 바나바와 함께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tripol.tistory.com

Date Published: 7/21/2021

View: 7888

[장별설교] 갈라디아서2장 바울이 사사로이 제시한 복음 – Pensées

[장별설교] 갈라디아서2장 바울이 사사로이 제시한 복음 갈라디아서 2장은 2:11에서 시작된 사도직 변증의 연속입니다. 우리는 2장을 1-10까지와 …

+ 여기를 클릭

Source: 392766.tistory.com

Date Published: 11/30/2022

View: 6899

[갈라디아서 2장 주일 강해설교문]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다 …

오늘은 갈라디아서 2장을 강해합니다. “복음 안에 있는 자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1. 그리스도의 복음을 변호함(갈 2:1-10).

+ 여기에 표시

Source: kihonsam153.tistory.com

Date Published: 5/27/2022

View: 1393

[갈라디아서 2장 – 교사용]

갈라디아서 2장. 1. 바울이 안디옥 교회에서 1년간 사역을 한 후 떠났던 1차 전도여행 기간은 약 4년이다(AD 46-49). 이 여행 말미에 예루살렘을 방문했다(행 15:1-5).

+ 여기에 표시

Source: www.skhong.org

Date Published: 1/25/2021

View: 4006

갈라디아서 2장 1절-21절, 매일성경큐티와 새벽설교를 위한 …

갈라디아서 2장, 현대인의 성경. 1 그로부터 14년 후에 나는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으로 올라갔습니다. 2 나는 하나님의 계시를 …

+ 여기에 표시

Source: otfreak.tistory.com

Date Published: 9/10/2021

View: 1695

2016/02/1(월) “갈라디아서 2:11-21” / 작성: 김순식

본문 갈라디아서 2장11절-21절 찬송가 357장 ‘주 믿는 사람 일어나’ 만일, 직장에서, 일반사원이 많은 직원들 앞에서 회장을 야단치는 일이 있을 수 …

+ 여기에 보기

Source: 100church.org

Date Published: 5/9/2021

View: 465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하루 한 장] 갈라디아서2장_디도를 데리고.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하루 한 장] 갈라디아서2장_디도를 데리고
[하루 한 장] 갈라디아서2장_디도를 데리고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 Author: 홍융희
  • Views: 조회수 5,332회
  • Likes: 좋아요 135개
  • Date Published: 2020. 10. 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CoZN9-iZePI

갈라디아서 2장 주석

갈라디아서 제 2장

=====2:1

십사년 후에 내가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갔노니 – 사

도행전에 의하면 바울은 세 번에 걸쳐 예루살렘을 방문하였다. 첫번째 방문은 그가 회

심한지 삼년 후에 베드로를 만나기 위한 것이었고(행 9:26), 두번째 방문은 안디옥 교

회의 구제 헌금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었으며(행 11:29,30), 세번째 방문은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하는 자신의 사도권을 변증하러 예루살렘 공의회에 참석하기 위한 것이었다

(행 15:1 이하). 본절에 나타난 바울의 예루살렘 방문이 이차 방문인지 삼차 방문인지

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견해가 갈라진다. 먼저 두번째 방문이라고 주장하는 견해

(Bruce, Calvin)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행 15장의 세번째 방문은 공적 회의에

참석한 것이지만, 2절에 의하면 바울은 개인적으로 예루살렘 지도자를 만났으므로 세

번째 방문이라고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2) 행 15장에는 디도에 대한 언급이 생략되

어 있으나 본절에는 디도와 바나바가 동행(同行)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므로 본구절

의 방문은 세번째 방문 이전에 이루어진 것이다. (3) 본절의 ‘다시’를 두번째 방문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견해는, 만일 1:18에 기록된 방문이 첫번째 방문이라

면 문맥상 본 구절의 방문이 두번째 방문이라고 추정하는 것은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세번째 방문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Berkhof,

Eerdman, Findlay, Robertson). (1) 행 15장과 본장의 주제가 동일하다는 것인데, 두

곳 모두에서 ‘이방인 그리스도인들의 할례’를 다루고 있다. (2) 행15장에서 지도자들

간의 연합을(행 15:8,9) 강조하고 있는데, 본장에서도 동일하게 연합을 서술하고 있다

(9절). (3) 행 15장이나 본장이 모두 유대주의자들에 대하여 단호한 입장을 주장하고

있다. 이상의 견해들 가운데 본절이 말하는 바울의 방문이 세번째 방문이라는 것이 더

욱 타당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예루살렘 공의회의 연대를 A.D. 49년경으로

보고 바울의 예루살렘 방문 연대를 추정하면 1차는 A.D. 35년, 2차는 A.D. 46년(행

11:30;12:25), 3차 방문은 A.D. 49년에 이루어졌다. 여기서 만일 본장의 방문을 2차

방문과 연결시킨다면 바울의 1차 방문은 A.D. 46년에서 14년 전인 A.D. 32년의 되며

또한 그가 회심한 시기는 그보다 3년 전인 A.D. 29년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예수를 만난 때가 예수께서 살아 계실 때이어야 하므로 불가능하다.

(2) 두번째 방문을 주장하는 자들은 디도에 대한 언급이 행15장에 없다는 이유로 세번

째가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디도에 대한 기록은 사도행전 전체에서 누락되어 있다.

(3) 바울이 두번째 방문을 생략한 것은 무슨 속임수나 의도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이

방인의 할례 문제를 다루는 본장에서 다른 주제, 즉 가난한 자들에 대한 구제 문제를

취급한 두번째 방문에 대하여 언급할 필요성을 못느꼈기 때문이다. (4) ‘다시'(*

,팔린)는 두번째를 뜻하기도 하지만 요 18:27에서 베드로의 세번째 부인

과 관련하여 사용되었다. ‘두번째’를 의미하는 헬라어 ‘듀테론'(* )

을 쓰지 않고 ‘팔린’을 사용한 것은 단지 방문의 반복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바나바 – 그는 레위 지파 출신의 유대인으로 구브로에서 태어나 바울보다 먼저 복

음을 받아들였던 사람으로서 이방인들에 대한 남다른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예루살렘 교회로부터 안디옥 교회로 파송되었다(행 11:22). 그의 본명은 요셉이

었으나 사도들은 그를 ‘권위자’, ‘권위의 아들’, ‘위로의 아들’이라는 의미의 ‘바나

바’로 불렀다(행 4:36).그는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자로소(행 11:24) 초대 교회의 헌

신적인 지도자였다. 그는 바울을 예루살렘 교회에 소개하고 바울의 체험을 변호하며

함께 사역하였으나 2차 전도 여행을 떠나면서 마가의 동행 문제로 바울과 결별(訣別)

하게 되었다(행 15:36-41).

디도 – 그는 할례를 받지 아니한 이방인으로서 고린도 교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목회자이다(고후 8;23;12:18). 본절에서 이방인의 할례 문제로 등장하는 그는 바

울이 ‘나의 참 아들 디도’라고 말할 만큼 바울의 총애를 받았으며 그에 대한 성경의

마지막 기록은 그가 로마에서 달마디아로 갔다는 것이다(딤후 4:10).

=====2:2

계시를 인하여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카타 아포칼립신'(*

)은 바울의 이방인 선교가 어떠한 인간적인 동기로부터 유래된 것이 아님을

확실히 보여준다. 한편 행 13장에서는 바울이 바나바와 함께 이방인을 위해 파송되는

과정이 안디옥 교회의 결정임을 보여준다. 이처럼 바울의 선교 사역이 교회의 결정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본절에서 언급된 바, 바울의 선교 사역의 동기가 하나님의

계시로 말미암았다는 사실은 서로 상반되지 않는다. 바울은 안디옥 교회의 결정 배후

(背後)에 하나님의 계시하심이 있음을 확신하였을 것이다(Hendriksen)

달음질하는 것 – 바울은 개종 이후부터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파하는 사명을 당시의

운동 경기를 염두에 두어 묘사하였다. 그의 달음질은 향방없는 것이 아니라(고전

9:26) 분명하고 확고한 목표를 향한 것이었다.그는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지도자들을

사사로이 만나는 면밀한 계획을 갖기도 하였으며 교회의 화합과 일치를 위해 지도자로

서의 사명을 충실히 이행하였다. 결국 변하거나 바울의 달음질을 헛되게 하는 것은 자

신이 아니라 갈라디아 교인들이었으므로 본절에는 바울 자신이 유대주의자들의 모든

거짓된 것들을 반드시 고치고야 말겠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2:3

억지로 할례를 받게 아니하였으니 – 구약에서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

으시고 ‘언약의 표징’으로 할례를 자손 대대에 이르기까지 거행하도록 명령하셨다(창

17:10-14). 그러나 세월이 경과하면서 이스라엘 백성은 할례의 언약적인 의미보다는

종족적이며 문화적인 우월감의 상징으로서 외적인 할례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했다. 급

기야는 구원을 위해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사상을 배경으로 하는 교

회안의 유대주의자들은 율법을 준수하는 것과 함께 할례를 시행하는 것이 구원의 조건

이 된다고 주장하여 이방인 신자들에게까지 할례를 강조했다. 할례에 대한 보다 자세

한 내용은 구약 호크마 창 17:1-14의 주제 강해 ‘할례 언약과 세례’, 창 34:25-31의

주제 강해 ‘할례 실시에 따른 제반 사항’을 참조하라. 한편 ‘억지로…아니하였으니’

의 헬라어 ‘우데…에낭 카스데'(* … )는 할례를 주장하는

강한 압력 속에서도 굴하지 아니하는 바울의 굳건한 의지를 나타낸다. 당시 갈라디아

교인들이 거짓 교사들의 회유(懷柔)에 말려들어 할례를 중요하게 생각한 상황에서 바

울이 할례받지 않은 디도를 유력한 증인으로 내세우는 이유는 디도가 갈라디아 교회의

신임을 받고 있었기 때문임이 분명하다.

=====2:4

가만히 들어온 거짓 형제 까닭이라 – ‘거짓 형제’의 헬라어 ‘프슈다델푸스'(*

– )는 ‘프슈데스'(* )와 ‘아델포스'(*

)의 합성어이다.’프슈데스’는 ‘거짓 사도'(고후 11:13),’거짓 선지자'(벧후 2:1)

등에서 처럼 ‘거짓’이라는 의미를 가진 접두사로 사용되었다. 바울은 본절에서 ‘파레

이사크투스'(* ,’가만히 들어온’)와 함께 이 말을 사용하여

은밀하고 은근하게 복음을 훼손시키는 거짓 교사들의 교활한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한

편 바울이 1:11에서 유대주의자들에게 미혹된 갈라디아 교인들을 ‘형제’라고 부른 것

은 그들을 향한 사랑을 표현하지만, 본절에서 유대주의자들을 향하여 ‘거짓 형제’라고

한 것은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는 공동체 속에 그들이 설 자리가 없음을 나타낸다.그

러나 그들이 누구인가하는 문제는 쉽지 않다. 그들은 최소한 내부에서 믿음을 배반한

사도들이나 성도들은 아닐 것이다(Lenski).아마 ‘거짓 형제’는 (1) 예루살렘 공의회에

서 이방 그리스도인도 할례를 받아야 할 것을 주장하며 모세 율법을 지킬 것을 요구한

자들이거나 (2) 공의회의 결과가 갈라디아와 안디옥 교회에 소개되었다(행 15:30). 그

럼에도 불구하고 갈라디아에는 계속해서 교인들을 미혹하는 유대주의자들이 존재했으

며 이들은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자유케 된 성도들을 다시 율법 아래로 끌어들이려고

하였다. 더욱이 그들은 신자인 것처럼 가장하여 열심은 있으나 실제로는 복음을 거부

하고 교회를 파괴하려고 하였다(고후 11:26;벧후 2:1). 이러한 갈라디아 교회의 형편

가운데서 디도가 할례 받지 않고 있다고 하는 것은 자유 얻은 자로 하여금 자유를 잃

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다.

=====2:5

일시라도 복종치 아니하였으니 – 복종을 요구하던 자는 디도에게 할례를 요구했던

무리들로 국한시켜 이해하기보다는 더욱 광범위한 의미에서 유대주의화를 꾀하던 ‘거

짓 형제’들이 라고 보는 것이 나을 것 같다. 사도 바울 일행은 위의 할례를 주장하는

자들이나 율법을 강조하는 자들의 견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편 어떤 서방 사본들

에서는 ‘호이스우데'(* , ‘…한 자들에게 조금도…않다’)가 생략되

어 본 구절이 ‘잠시동안만 복종하였다’는 의미가 된다. 이런 사본에 의하면 바울이 잠

시 동안만 평화를 위하여 타협할 수도 있었던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베자(Bezae) 사

본을 제외한 모든 언셜(Uncial) 사본과 오래된 파피루스 사본(P46), 그리고 고대 헬라

교부의 번역에서 ‘호이스 우데’는 생략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장의 문맥상 바울이 거

짓 형제들과 조금이라도 타협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는 지금까지 달려온 길이 헛

되지 않게 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할례는 초대 교회의 최대 논쟁이

며 또한 복음에 대한 최대의 도전(挑戰)이었다. 이 논쟁 앞에서 바울이 진리를 양보했

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Lenski).

복음의 진리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헤 알레데이아 투 유앙겔리우'(*

)는 본절과 14절에만 나오는 것으로 ‘결

함이 전혀 없는 복음'(Lightfoot) 또는 ‘진리가 담겨 있고 진리에 속해 있는 복음’

(Burton)이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의미를 가진 복음을 들어 언급하는 것은 디도의 할

례 문제는 한 개인의 구원 문제에만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복음의 진리 문제에

직결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2:6

유명하다는 이들 중에 – 바울은 세 번에 걸쳐 ‘호이 도쿤데스'(*

,’유력한 자들’)를 사용하여(2절) 베드로, 요한,야고보 등 예루살렘의 사도를

지칭하였다(9절). 이러한 호칭 후에 곧바로 하나님은 외모로 취하지 않는다고 언급하

는 것을 보면 바울이 이 호칭을 풍자적 의미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Cole).

내게 더하여 준 것이 없고 – 헬라어 본문에 나와 있는 후치사 ‘가르'(* )는

선행 구절을 보다 충분하게 설명해 주는 삽입구가 시작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구절은 선행 구절에서 제시된 ‘외모를 취하지 않는 하나님’의 속성 때문에 어떤 유

명한 자들일지라도 조금도 보탬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바울은 하나님으로부터 직

접 받은 복음이 예루살렘 교회의 사도들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것과 동시에 예루살

렘 교회 지도자들이 가르치는 것과 전혀 다른 복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

명하고자 했다.

=====2:7

내가 무할례자에게…베드로가 할례자에게 맡음과 같이 한 것을 보고 – 여기서 ‘할

례자’와 ‘무할례자’는 구체적인 어떤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유대인과 이방인을 가리킨다(롬 4:9;엡 2:11 등). 유대주의자들은 베드로와

바울이 전하는 복음에 서로 다른 것이 있다고 주장한 것 같다(Lenski). 그러나 바울은

사역상 서로 다른 책임이 있을 뿐 어디까지나 복음의 내용은 동일(同一)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바울이 할례자에게 복음 전하는 자로 열 두 제자 가운데 베드로

를 대표로 내세운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정해 볼 수 있다. (1) 베드로가 예루살렘에

있는 사도들을 대표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Lenski, Huxtable). 그러나 전자는 타당하

지 않다. 그 이유는 베드로가 이방인 고넬료의 가정에 복음을 전했을 뿐만 아니라 가

이사랴와 다른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

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임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행 15:7). 바울 역시 이방인들에

게만 복음을 전한 것이 아니라 때로는 예루살렘에 있는 유대인들에게도 복음을 전한

바 있다(행 23:11). 그는 또한 예루살렘과 온 유다와 이방인에게까지 복음을 전하는

것이 자신의 사명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으로(행 26:20ff.)보아, 본절에서 바울이 의도

하는 바는 이방인의 사도로 부르심을 받는 자신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베

드로와 자신이 전파하는 복음의 동질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2:8

그를 할례자의 사도로 삼으신 이 – ‘사도로’의 헬라어 ‘에이스 아포스톨렌'(*

)은 베드로의 지도자로서의 자리를 명확하게 인정하는 표현이

다. 바울은 베드로보다 가문이나 학문에서 뛰어난 자로소 로마의 시민권을 가지고 있

었으나 자신을 베드로보다 우월한자로 여기지 않는다. 여기에는 바울의 겸손함이 포함

되어 있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바울이 이와 같이 겸손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을 사도로

세우신 이가 동일하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바울은 본절에서 자신을 사도로 세우신 하

나님과 베드로를 사도로 세우신 하나님을 동일시함으로 자신의 사도됨을 증거하고 있

다. 두 사도 중에 하나는 유대인을 중심으로, 또 하나는 이방인을 중심으로 사역했으

나 그들의 사역의 내용은 같은 것이었으며 둘 다 동일한 섭리와 은혜에 의하여(고전

15:9,10)사도로 세우심을 받은 것이다. 따라서 그들에게서 맺어지는 열매도 무할례자

이거나 할례자이거나 동일한 것이었다.

=====2:9

기둥같이 여기는 – ‘기둥'(* ,스튈로이)이라는 표현은 중요성을 강조하

는 말이다. 탈무드에서는 아브라함, 이삭, 야곱을 이스라엘의 세 ‘기둥'(*

,암무딤)이라 하였고 이스라엘의 계약 공동체뿐만 아니라 온 세계가 그들 위에 세

워졌다고 한다(Longenecker). 이러한 개념을 사용하여 바울은 야고보와 게바와 요한을

‘기둥’에 비유한 것 같다.실제로 그들은 예루살렘 교회를 이끌어가는 권위와 영향력을

가진 지도자들이었다. 바울은 유대주의 자들을 향해 의도적으로 히브리적 개념을 도입

해 논리를 펴나가면서 세 사도가 갖는 비중(比重)을 강조하였다.

야고보와 게바와 요한 – 이 세 사람의 이름을 언급한 것은 공관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님의 제자라는 점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지도자적 입

장에 서 있었던 사실에 역점을 둔 것이다(행 15장). 먼저 야고보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바울은 1:19에서 ‘주의 형제 야고보’라고 구체적으로 기록하였으나, 본절에서는

그냥 ‘야고보’라고 칭하고 있다. 이는 본장의 전체 맥락이 예루살렘 공의회를 언급하

고 있기 때문이다. 당시에 야고보는 예루살렘 공의회의 의장이었다(1:19 주석 참조).

바울이 다른 두 사도보다 예수님의 형제 야고보의 이름을 먼저 기록한 것은 우연의 일

치라기보다는 당시 예루살렘 교회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는 의장으로서의 야고보를

설명하기 위함인 것 같다(Boice). 그러나 다른 사도들의 이름이 뒤에 나왔다고 해서

예루살렘 교회 속에서 이들의 서열이 정해져 있었다고 볼 수는 없다. 그 다음으로, 바

울은 모두 아홉 번에 결쳐 베드로를 언급하는데 일곱번은 ‘게바’라고 불렀으며(14

절;1:18;고전 1:12;3:22;9:5;15:5) 두 번은 ‘베드로’로 칭하였다(7,8절). 특히 유대주

의자들과 논의할 때 게바라는 이름을 사용함으로써 베드로와 자신의 관계를 오해없이

설명하려 한 것 같다(Huxtable). 끝으로, 요한이 예루살렘 공의회에 참석하였다는 기

록은 성경에서 본절에만 나타난다. 그러나 베드로와 요한은 다른 여러 곳에서 함께 등

장하며 또한 사역하였다(행 3:1;4:13;8:14 등)

교제의 악수를 하였으니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덱시아스 에도칸 코이노니아스’

(* )는 ‘교제의 오른손을 주었다’

라고 직역된다. 이는 고대 사회에서 우정을 돈독하게 하고 동의한다는 의사 표시였다

(Longenecker). 본절에 언급된 다섯 사람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었음이 분명하다.

즉 야고보와 게바, 요한은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복음을 전하였고, 바울과 바나바는 이

방인을 위한 복음 전파에 주력하였다. 이 두 그룹은 서로 독자적이면서도 하나님의 나

라를 건설하는 사역에 협력하였다(행 15:25,26). 이들은 서로의 손을 잡았다는 것은

사적(私的)인 장소에서 서로의 손을 잡았다는 의미보다는 예루살렘 공의회의 공식 석

상에서 결의한 사항을 실행할 때에 함께 협력하기 위하여 공식적으로 손을 잡았다는

것을 의미한다(Lenski).

=====2:10

가난한 자들 – 이에 해당하는 헬라에 ‘톤 프토콘'(* )은 ‘가

난’을 뜻하는 일상 용어로서 돈이나 재산이나 생활 수단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는

뜻으로 쓰인 단어이다. 신약에서 이 말은 ‘거지’에게도 사용되었으며 (눅 16:20) 주로

물질적으로 풍요롭지 못한 자들에게 사용되었다(마 19:21;눅 19:8;요 13:29). 당시 가

난한 자들은 복음 전파의 주요 대상이었다(마 11:5). 예수님은 다른 사람들을 부요하

게 하기 위해 스스로 가난한 자가 되셨으며 자신을 찾아온 부자들에게 재산을 팔아 가

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주라고 말씀하셨을 뿐만 아니라(마 19:21) 자신과 제자들이 함

께 거하는 공동체 속에 가난한 자들을 돕기 위해 준비된 공동궤를 가지고 있었다(요

13:29). 사도행전에 와서는 ‘엔데에스'(* )라는 말이 등장하는데(행 4:34)

이는 초대 교회 안의 ‘가난한 자’,’궁핍한 자’로서 다른 사람들이 재산을 팔아 나누어

준 덕분에 살아가는 자들을 뜻한다. 초대 교회에 있어서 가난한 자들에 대한 구제 문

제는 할례와 같이 논쟁의 대상이 아니라 당연히 행하여야 되는 임무로 인식되어 있었

다. 가난한 자들에 대한 임무는 공의회의 결정에 의하여 수립된 것이 아니라 구약에서

(요 13:29), 또한 초대 교회의 출발부터 교회가 감당했던 사명이다(행 24:17).

나도 본래 힘써 행하노라 – 바울은 믿음과 구제 문제를 믿음과 할례 문제처럼 대

립시키지 않는다. 바울의 힘써 행하는 구제는 남에게 보이고자 하는 외식적인 것이 아

니다. 본절의 구제가 구체적으로 언제인지 알 수는 없으나 바울의 생애 가운데 구제의

사건은 여러 번 등장한다. 바울은 바나바와 함께 안디옥 교회가 모은 구제 헌금을 가

지고 예루살렘에 올라갔으며(행 11:29,30) 여러 서신서에서 구제에 대하여 강조하였다

(행 24;17;롬 15:25-27;고후 8:1-5). 또한 그는 구제에 대한 교훈을 남겼으며(롬

12:13;엡4:28;딤전 6:18) 가난한 자들을 돕는 일에 게으르지 말고 그 일을 위하여 정

직하게 살 것을 요구한다(엡 4:28). 이러한 삶의 요구는 선행이 신앙의 살아 있는 증

거요(약 2:14-17) 신앙 고백의 진실성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요일

3:17,18)

=====2:11

내가 저를 면책하였노라 – 여기서 베드로의 행위가 명백하게 잘못된 것으로 드러나

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사실로 더욱 뚜렷해진다. (1)’면책하였노라’의 헬라어 ‘안테

스텐'(* )이 문자적으로 ‘대항하다’, ‘저항하다’ 혹은 ‘반발하다’라는

의미로 베드로의 행위가 ‘복음의 진리’를 훼손(毁損)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에 있었음

을 시사한다. (2) ‘안텐스텐’의 시제가 부정과거로서 바울이 베드로를 성공적으로 책

망했으며 베드로는 바울의 책망에 대항하지 못하고 굴복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Lenski). (3) 더욱이 바울은 베드로를 개인적으로 아니고 공개적으로 면책하며 저지

했다는 사실로 베드로의 잘못의 심각성이 더해간다(Hendriksen). 이와 같이 바울은 예

루살렘에서와는 달리 안디옥에서는 베드로보다 높은 위치에 서서 성도들을 대하는 것

같이 느껴지는데, 이는 베드로의 잘못이 너무도 명백하여 견책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Robertson).따라서 우리는 여기서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다. (1) 바울이, 신자라면

누구나 소유하고 있는 완전한 동등권을 항상 공격하며 반대하는 유대인들의 좁고 치우

쳐 있는 유대 중심적 신앙관에 대항하고 있다는 사실이며(Huxtable) (2) 예루살렘 교

회의 그 어떠한 권세자도 하나님 앞에서 잘못을 저지를 수 있으며 나아가 그것에 대하

여 책망받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Cole).

=====2:12

이방인과 함께 먹다가 – 본 구절은 초대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이 일반적으로 행하던

식탁 교제나 성찬을 가리키는 것같다. 이것이 정식 예배였는지 아니면 비공식적인 그

리스도인의 모임이었는지 확실하지는 않다. 본절에서 초대교회 당시 유대 출신의 그리

스도인들이 이방 출신 그리스도인과의 식사를 꺼린 사실이 나와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

은 이유 때문이었다. (1) 유대인들은 레 11장에 있는 정함과 부정함에 관한 규례를

철저히 지켜왔고 죽음을 각오하면서까지 준수하려 하였다(민 25장, 31장;단 1:8;토비

트 1:1-12;마카베오상 1:62). 이들은 그리스도인이 되고 나서도 그 관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게다가 이방인들이 먹는 음식 중에는 레 11장의 정결(精潔) 규례에 위배되는

것이 있을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따라서 유대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은 이방 출신의 그

리스도인들과 식사를 함께 하지 않으려 했다. (2) 하나님께서 주신 율법들을 부연하고

설명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제한 규정들 때문이다. 이러한 규정들은 그 종류가 대단

히 많고 다양했는데 초대교회 당시에는 하나님의 율법 못지않게 존중된 것으로 보인

다. 그 실례로 장로들의 유전에는 음식을 먹기 전에 손을 씻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

데, 이는 단순히 위생상 이유 때문에서가 아니고 이방 사람들과 접촉하여 부정하게 된

손으로 음식을 먹지나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이었다(마 15;1-20;막 7:1-23). 위와

같은 이유로 오랫동안 유대인들의 의식 속에는 이방인에 대한 배타심이 굳어져왔다.

이러한 것은 사마리아인도 인식하고 있는 일반적인 사실이었다. 예수께서 사마리아 여

인에게 물을 달라고 할 때 그 여인은 ‘당신은 유대인으로서 어찌하여 사마리아 여자인

나에게 물을 달라 하나이까’라고 대답한다(요 4:7-9). 따라서 유대인이 이방인과 함께

식사를 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이었을 뿐 아니라 대단히 죄악된 행동으로 간주되

기까지 했다(Hendriksen). 하지만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구약의 율법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유대인과 이방인 그리스도인이 함께 식사를 하는

것은 실제로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이 그리스도께서 원하시는 것이

며 그리스도인이라면 당연히 해야 할 행동이며 삶이다. 예루살렘 공의회는 이러한 사

실을 인식하고 늘어나는 이방 그리스도인에 대해 몇가지 제한 사항을 제시하고 다른

어떠한 율법의 행위로도 짐을 지우지 않는다는 결의를 한 바 있다(행 15:14-21).

저희가 오매…두려워하여 떠나 물러가매 – 베드로가 이방 그리스도인과 함께 식사

하는 것이 정당함에도 불구하고 베드로는 예루살렘에서 사람이 오자 이방인들과 식사

를 하지 않았다. 이러한 그의 행동의 동기는 예루살렘에서의 자신의 위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까 두려워했기 때문이었다(Hendriksen). 또한 베드로가 이방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은 사랑이나 자기 확신에 의해 나온 행동이 아니라 거짓과 위선의 행동

이었기 때문에 바울은 베드로의 외식적인 행동를 책망했다.

=====2:13

남은 유대인들도…외식하므로 – 주님의 가장 가까운 제자들 중 한 사람이요 공적

인 위치에 있었던 베드로가 한 외식은 유대교의 율법주의와 복음의 자유가 첨예(尖銳)

하게 대립되고 있는 초대교회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베드로의 이러한 실수는 단

순히 개인적인 외식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1) 다른 사람들 심지어 바나바같은 지

도자까지도 외식적인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근거가 되며 (2) 예루살렘 공의회(A.D.

49)의 율법 무용론에 대한 결정을 무효화시키는 것이고 (3) 결과적으로는 율법주의에

굴복한다는 위미를 지닌다. 여기서 우리는 공적인 위치에 있는 지도자의 행동의 중요

성과 함께 한 사람의 외식적인 행동은 중요성과 함께 한 사람의 외식적인 행동은 다름

사람들에게까지도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 수 있다(막 7:1-23).

=====2:14

모든 자 앞에서 – 바울은 베드로가 저지른 실수에 대해 공개적으로 책망을 했다.

이는 (1) 베드로뿐만 아니라 여러 유대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이 그러한 잘못을 했으며

(2) 공적인 잘못은 사적으로 고칠 수 없기 때문이고(Lenski) (3) 그러한 실수를 베드

로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유대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이 범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Hendriksen).

=====2:15

우리는 본래 유대인이요 – 본절에서 바울이 ‘본래 유대인’임을 밝히는 것은 그도

태어나면서부터 유대인의 종교적 특권을 지녔음을 보여주어 다른 유대인들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반감을 줄이게 하고자 하는 의도로 보인다(Cole).

이방 죄인이 아니로되 – 이방인들에게 ‘죄인'(* , 하마르톨로

이)이라고 말하는 것은 윤리적인 판단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유대인의 독선에서 나오는

이방인에 대한 통상적인 언급이었다. 실제로 유대인들은 선택받은 백성으로서 특권을

누리고 있었지만 본문에서 바울은 그 특권을 자랑하거나 또는 이방인들을 조소하기 위

해 ‘죄인’이란 말을 사용한 것이 아니다. 비록 바울이 유대교 내의 용어들을 사용하여

‘이방 죄인’으로 표현하였지만 이 말 속에는 매우 반어적(反語的)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즉, 당시 유대인들에 의해 죄인으로 간주된 이방인들에게 바울이 복음을 전하고

있었던 사실은 스스로 선민의식에 사로잡혀 이방인들을 하찮게 여기며 조금도 가까이

하지 않았던 유대인들의 독선적이고 교만한 태도와 극명하게 대조되는 것이다(Cole).

=====2:16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 본절에는 법정 용어인 ‘디카이오스'(* ,

‘의로운’)에서 파생된 말이 세 번 반복되고 있다. ‘의’는 하나님의 속성에 속하는 것

이므로 그 근원은 인간에게 있지 아니하고 하나님께 있다. 본절에서도 이 용어가 수동

태로 기록되어 있는 것은 인간 스스로의 능동적인 노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

니기 때문이다. 바울이 말한 ‘의롭게 된다’는 것은 ‘의롭다고 선언한다’는 뜻이지 ‘의

롭게 만든다’는 뜻이 아니다. 모든 사람은 죄를 범하였으므로 하나님의 의로움에 이를

수가 없다(롬 3:20). 그러나 의의 주권자이신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

를 믿는 자들을 의롭다고 인정하시는 길을 열어 주셨다. 하나님께서 의롭다고 인정하

시는 것은 인간의 윤리에 따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법정적인 선언이며 신적 표준에

서 발생하는 하나님의 행위이다.

율법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요 – 본서에서 처음 나타나는 ‘율법’에 해당하는 헬

라어 ‘노모스'(* )는 바울 서신 중 특히 로마서와 본서에 많이 등장하는데

‘의'(* , 디카이오쉬네), ‘행위'(* , 에르곤) 등과 함

께 복음의 핵심을 설명할 때마다 ‘믿음'(* , 파스티스)과 관련되는 개

념으로 사용되었다. 본절에서 관사없이 사용된 ‘노모스’는 모세의 율법을 지시하는 것

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선한 행위들을 통하여 구원을 받고자 하는 인간들이 ‘자기 의’를

위해 구축한 규범들을 가리킨다. 그것은 유대주의 사회가 만들어낸 거짓된 규범들이

다. 인간이 만들어낸 규범으로 하나님의 의를 소유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 인간의 믿음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의롭다고 선언

하시게 되는 수단일뿐 절대적인 자격이나 요건이 되지 못한다. 단지 하나님께서는 믿

음을 통하여 그리스도와 연합한자들을 의롭다고 여겨주시는 것이다(롬 5:18,19). 죄악

된 인간을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죽으신 그리스도만이 인간들을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함을 얻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신뢰하는 것이 구원에 이르게 하는 믿음이며 이러한 믿

음은 생명력이 있어 신자로 하여금 하나님 나라에 합당한 역동적(力動的)인 삶을 살도

록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유대주의자들은 그 믿음에다가 할례와 같은 율법적이요

외적인 조건을 더 하려고 하였다.

율법의 행위로서는 의롭다 함을 얻을 육체가 없느니라 – 본절은 시 143:2(LXX,

142:2)의 인용이며 아울러 롬 3:20 내용과 병행을 이룬다. 아래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편의 ‘파스존'(* , ‘모든 생명’) 대신에 로마서에서는 ‘파사 사륵

스'(* , ‘모든 육체’)를 사용하였고, 로마서와 본절에서는 시편에 없

는 ‘율법의 행위’를 부가(附加)시키고 있다. 이것은 사람이 자기 스스로의 노력으로는

결단코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2:17

그리스도 안에서 – 이 말은 바울 신학에 있어서 핵심적인 용어로서 그리스도와 성

도 간에 누리는 친밀한 개인적 교제를 시사한다. 그가 이방인에 대한 복음 전파 사역

을 강조하는 것도 자신이 그리스도 안에 있기 때문이며, 예수에 대한 지식과 믿음을

전파하는 것과 미래 세계에 대한 거룩한 소망을 가지는 것도 그가 그리스도안에 있기

때문이다. 바울은 그리스도가 자신의 유일한 신앙의 대상이며 동시에 전부라고 고백하

고 있다. 특히 바울 신학에서 ‘그리스도 안에서’라는 표현은 ‘아담 안에서'(롬

5:12-19)라고 표현과 대조를 이룬다. 아담은 죄와 사망의 옛사람을 대표하지만, 그리

스도는 자유와 생명의 새 사람을 대표한다.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표현은 십자가의 죽

음과 부활을 실현하신 그리스도와 실존적으로 연합하여(롬 8:39;14:7;빌 2:1) 구원받

은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죄인으로 나타나면 – 본절에 대해서는 두 가지의 견해가 있다. (1) 바울이 유대주

의자들의 입장에서 이 말을 하고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Hendriksen). 다시 말해서 유

대주의자들이 의롭게 되기 위하여 예수를 믿음으로 율법을 폐기하는 죄인이 되었다고

스스로 생각할 경우에 대하여 그들을 위로하고 회심을 독려하는 문구로 해석한다

(Cole). 이 견해에 따르면, 유대주의자들이 예수를 믿고 율법을 폐기했다면 그들은 스

스로 이방인과 같이 율법을 도외시하는 죄인이 된 것이고 그것은 모세 율법보다 저급

한 수단의 삶으로 여겨질 것이다. 더 나아가 그것은 그리스도마저 ‘죄를 위한 봉사자’

(* , 하마르티아스 디아코노스)로 전락시키는 어리

석음을 범하는 것과 같다. (2) 바울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있다는 견해이다. 즉 바

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다함을 받았지만 여전히 자기속에 죄악의 본성이 남아 있음

을 고백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서도 죄악된 옛 사람의 습관

을 버리지 못하는 자신을 돌아보며 ‘오호라 나는 곤고한 자로다'(롬 7:24)라고 고백한

바 있다. 본문에서 바울은 오히려 유대주의자들 앞에서 자신의 죄인됨을 고백한다. 이

는 유대주의자들이 가진 의식법과 율법주의적 관점에서는 언제나 죄인인 것을 시인하

는 역설이다(R.E. Howard). 그가 유대주의자들의 관점에서 자신의 죄인됨을 시인한다

고 해도 더 이상 두렵지 않은 것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신을 정죄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확신하고 있기 때문이다(롬 8:1). 본절의 해석은 자신이 계속해서 죄

인으로 드러남에도 불구하고 다시 율법으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전체의 맥락과 연결시

킬 때 후자가 보다 타당할 것 같다.

=====2:18

내가 헐었던 것을 다시 세우며 – 본문은 다분히 베드로가 유대주의자들을 두려워하

여 그리스도 안에서 얻은 자유로부터 떠나 다시 유대인의 옛 습관으로 돌아간 사건을

염두에 두고 있다(2:11). 바울은 다메섹의 체험(행 9:1-7)이후에는 한 번도 뒤를 돌아

보지 아니한 일관된 삶을 살았음을 고백한다. 또한 율법의 공로를 다시 세우고자 하는

의도가 결단코 없음을 밝힌다.

범법한 자로 만드는 것이라 – ‘범법한 자’의 헬라어 ‘파라바텐'(*

)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그 의미가 정의되는 ‘하마르톨로스'(*

, ‘죄인’)와 약간의 차이가 있다. ‘파라바텐’은 문자적으로 ‘배신자’,’이단자’를

뜻하며 본절자서는 바울 자신이 다시 율법을 세우는 것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배신

(背信) 행위가 된다는 점을 말해준다.

=====2:19

내가 율법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향하여 죽었나니 – 바울은 ‘나’라는 1인칭 대명사

를 사용함으로 자신에게 있었던 실제적인 경험을 강조하고 있다. 무엇을 향하여 ‘죽는

다’는 표현은 모든 관계가 단절된 것을 의미하며 더이상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죽었나니’의 헬라어 ‘아폐다논'(* )은 다음 절에 나

오는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나니'(* , 쉬네스타우로마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들은 둘 다 단회적인 것으로서 다시 율법으로 돌아

갈 수 없으며 다시 십자가에 못박힐 수 없는 옛사람의 죽음을 의미한다. 역설적으로

‘율법을 향하여 죽었다’는 것은 ‘율법으로부터 벗어나 살아났다’는 표현이다. 로마서

에서는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했다’고 표현했는데(롬 7:4), 이 두 표현은 모두 단

순히 사변적인 표현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경험한 것을 고

백한 말이다. 율법의 행위로는 죄악으로부터 밀려오는 좌절감과 실패를 극복할 수가

없다. 오히려 율법은 인간 속에 있는 죄를 더욱 죄되게 만든다. 율법은 단지 죄에서

해방되기 위하여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믿음과 새 생명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도록 하는

기능을 감당하게 된 것이다.

=====2:20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나니 – 본 구절은 본서의 여러 곳에 거듭 언급되

는 내용으로(1:4;3:1,13;6:12,14) 그리스도의 죽으심이 초대 교회의 가르침의 초점이

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본절은 예수님을 핍박했던 바울 자신의 개인적인 삶의 변화

와 율법으로부터 단절되었다는 신학적인 논증을 나타낸다. 실로 그토록 교만하고 자존

심 강한 유대인 중에 유대인이요, 바리새인 중에 바리새인이었던 바울이 예수와 함께

죽었다고 고백하는 것은 유대교에 철저했던 그에게 있어 종래의 모든 삶과 사랑에 대

한 부정이요 새로운 삶을 향해 전환(轉換)을 이루는 실로 엄청난 변화였다. 이 변화된

삶은 그리스도께서 지셨던 십자가를 지고 고난 가운데서도 자기를 부인하며 그리스도

를 따르는 제자의 삶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와 함께 죽은 이후에 그가 지고 가는 십자

가는 궁극적으로 고통의 삶이 아니라 오히려 영광과 승리의 삶이었다(W.G.Coltman).

한편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나니’에 해당하는 헬라어 ‘쉬네스타우로마이'(*

)는 성도가 그의 십자가를 짐으로써 그리스도의 죽음에 영적으로

동참하였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서에 처음 등장하는 ‘십자가’는 율법의 요구를 완성

하는 의미로 나타난다. 그리스도의 죽음은 율법의 요구를 이루려 함이며(롬 8:4), 또

한 실존적으로 구약의 모든 율법적 요구들을 완성한 역사적 사건이다. 바울은 그리스

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힘으로 이제까지 자기가 메고 있던 율법의 요구들로부터 자유

와 해방을 얻었다.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 것이라 – 이 짧은 구절 안에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이 모두 언급되고 있다. 바울은 십자가 위에서 율법의 모든 요구를 완성하시고 죽

었다가 사흘만에 부활하신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롬 6:4). 그리스

도와 바울의 완전한 연합은 그리스도에게 접붙임을 받는 것이며 그 결과 그리스도의

풍성한 열매를 맺는 것이다. 옛 사람의 자기 교만과 바리새인의 자존심을 버리는 것이

잠시 동안 자신에게 패배감과 고통을 안겨주었지만, 그리스도께서 그 안에 사심으로

인하여 얻은 자유와 평화는 그 고통과 족히 비교할 수 없는 영광이었다(롬 8:18).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 본절에는 세 가지 변화가 나타난다. (1) ‘나’

대신에 ‘그리스도’,(2) ‘율법’ 대신에 ‘믿음’,(3) 과거의 ‘옛 사람’ 대신에 현재의

‘새 사람’으로의 변화가 그것이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바울로 하여금 모든 변화를

경험하게 했다. 즉 바울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율법 아래서 종노

릇하는 것으로부터 해방되어 의와 사랑의 종이 되었으며(롬 6:19), 비록 제한된 육체

가운데 살지만 더이상 자신을 위한 삶을 살지 않으며, 성령을 좇는 삶을 살게 되었다

(롬 8:4).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 그리스도인의 삶은 ‘믿음 안에서’사는 것이

다. 이는 과거에 율법을 지켜 행함으로 의롭게 되려고 애썼던 삶과는 판이하게 다르

다. 예수께서는 ‘내 말이 너희 안에'(요 15:7)라고 말씀하셨지만, 바울은 ‘아들을 믿

는 믿음안에’라고 말한다. 이는 주께서 우리 안에 계실때에는 말씀으로 존재하시며 우

리가 그리스도안에 있다는 것은 믿음으로 그를 따른다는 의미이다.

=====2:21

하나님의 은혜 –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죽으신 것과 바울 자신이 그 죽으심과 부

활에 참여하게 된 신비적 연합의 사건이 ‘하나님의 은혜’로 묘사되고 있다. ‘은혜’의

헬라어 ‘카린'(* )은 ‘하나님이 주시는 값없는 선물’이다. 하나님께서 아들

을 십자가에서 죽게 하신 것과 우리로 아들을 믿게 하신 것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사역

이다.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셨느니라 – ‘헛되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도레안'(*

)은 ‘연고없이’,’이유나 목적이 없이’,’불필요하게’등의 의미를 지닌다. 갈라

디아 교회의 유대주의자들이 다시 율법으로 도아갈 것을 주장하는 것은 단순히 율법에

대한 애착심과 관심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불필요한 것으로 만

들어 버리는 결정적인 잘못이다. 율법으로 돌아가는 것은 옛 생활에 대한 단순한 향수

(鄕愁)가 아니라 그리스도를 다시 십자가에 못박고자 하는 범죄이며 하나님의 은혜를

저버리는 배신 행위이다.

갈라디아서 강해

갈라디아서 강해 김효성 목사 2019년 10월 19일 수정 자료 내려받기 머리말 주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 바울의 증거대로(마 5:18; 요 10:35; 갈 3:16; 딤후 3:16),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며 우리의 신앙과 행위에 있어서 정확무오한 유일의 법칙이라는 고백은 우리의 신앙생활에 있어서 매우 기본적이고 중요하다. 성경 원본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되었고 그 본문은 그의 독특한 배려와 섭리로 모든 시대에 순수하게 보존되었다고 본다. 이러한 교회의 전통적 견해를 버릴 타당한 이유는 없다. 그러므로 신약성경의 헬라어 비잔틴 다수 사본들의 본문은 순수하게 보존된 성경 원본의 본문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채택되어야 할 것이다. 성경은 성도 개인의 신앙생활뿐 아니라, 교회의 모든 활동들에도 유일한 규범이다. 오늘날처럼 다양한 풍조와 운동이 많은 영적 혼란의 시대에, 우리는 성경으로 돌아가 성경이 무엇을 말하는지 묵상하기를 원하며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모든 뜻을 알기를 원한다. 성경을 가지고 설교할지라도 그것을 바르게 해석하고 적용하지 않으면, 하나님의 말씀의 기근이 올 것이다(암 8:11). 오늘날 하나님의 말씀의 기근이 오고 있다. 많은 설교와 성경강해가 있지만, 순수한 기독교 신앙 지식과 입장은 더 흐려지고 있는 것 같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요구되는 성경 해석과 강해는 복잡하고 화려한 말잔치보다 성경 본문의 바른 뜻을 간단 명료하게 해석하고 적절히 적용하는 것일 것이다. 사실상, 우리는 성경책 한 권으로 충분하다. 성경주석이나 강해는 성경 본문의 바른 이해를 위한 작은 참고서에 불과하다. 성도는 각자 성령의 도우심을 구하며 성경을 읽어야 하고, 성경주석과 강해는 오직 참고로만 사용해야 할 것이다. 제목차례 갈라디아서 서론 1장: 복음의 유일성 2장: 복음 안에 있는 자유 3장: 율법으로부터 자유 4장: 아들로서 누리는 자유 5장: 자유자의 삶–사랑 6장: 자유자의 삶–선행 서론 갈라디아서의 저자 는 바울이다. 저자는 두 번이나 자신을 바울이라고 증거하였다(1:1; 5:2). 역사상 갈라디아서의 저자에 대한 의심은 이제까지 없었다. 본 서신의 수신자 에 대해서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전통적으로는, 본 서신이 지리적 의미의 갈라디아, 즉 소아시아 북부의 옛 갈라디아 지역의 성도들에게 보내졌다고 보았다(북 갈라디아설). 이것은 전통적 견해이었다. 그 근거는, ① 누가가 사도행전에서 비시디아, 루가오니아 등 지리적 의미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고, ② 갈라디아서 4:13에 바울의 육체의 질병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사도행전에서 바울의 1차 전도여행에 그것에 대한 언급이 없고, ③ 바울이 루가오니아인이나 비시디아인에게 ‘어리석도다, 갈라디아인이여’(갈 3:1)라고 표현하였을 것 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이들은 본 서신이 행정지방적 의미의 갈라디아, 즉 로마의 한 지방(도 道)으로 브루기아, 비시디아, 루가오니아 등 바울이 1차 전도여행 시 전도했던 소아시아 남부 지역 교회들에 보내졌다고 본다(남 갈라디아설). 그 근거는, ① 사도 바울이 어떤 지역을 말할 때 아가야, 마게도냐, 일루리곤, 달마디아, 유대, 아시아 등 행정지방적 명칭을 사용하였고, 바울이 갈라디아라는 말을 세 번 사용하였는데(고전 16:1; 갈 1:2; 딤후 4:10) 그것도 행정지방적 의미일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행정지방으로서의 갈라디아는 서신의 수신자로서는 너무 광범위하다. ② 사도행전에는 남 갈라디아에 대해 많이 말했는데, 바울 서신들 중에 그 지역에 대한 것이 없을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 곳은 직접 방문할 수 있는 거리이었다. ③ 사도행전에는 북 갈라디아 교회의 설립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는데, 갈라디아서 같은 중요한 편지가 그 곳을 위해 쓰였을 것 같지 않다는 것이다. ④ 유대 땅에서 온 율법주의자들이 소아시아 남부 지역을 통과해 혹은 지나쳐 소아시아 북부의 옛 갈라디아 지역에 와서 문제를 일으켰다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도행전 15장에 나오는 예루살렘 회의(주후 49년경) 이후 아마 남 갈라디아 지역에서는 문제가 해결되었을 것이다. 본서가 쓰일 당시 갈라디아 교회에는 율법주의 이단이 침투해 들어와 있었다. 그 이단은, 사람이 구원을 얻기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만 믿으면 되는 것이 아니고 모세의 율법을 다 지켜야 하며 특히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율법주의 이단들은 갈라디아 교인들에게서 복음의 자유를 빼앗으려고 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이 서신에서 율법주의 이단을 강하게 정죄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과 그 복음 안에서 성도가 누리는 참 자유에 대해 밝히 증거한다. 본서의 저작 연대 는 바울의 제3차 전도여행 시 에베소에 머문 3년 중 전반부의 어느 때이든지(주후 54년경) 혹은 마게도냐와 헬라 지방에 머물었을 때(주후 56년경)라고 볼 수 있다. 본서의 특징적 주제 는 그리스도인의 자유이다(2:4; 5:1, 13). 본서는 로마서와 함께 하나님의 복음을 가장 잘 증거한 서신이다. 로마서가 하나님의 복음에 대한 논리적 해설이라면, 갈라디아서는 변증적 해설이다. 사도 바울은 본서에서 갈라디아 교회에 들어온 율법주의 이단에 대항해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변호하며 증거하였다. 본서는 그리스도인의 자유의 대헌장이며 율법주의와 행위구원론에 반대되는 하나님의 은혜의 구원의 대선언이다. 여기에는 천주교회의 율법주의적 교훈에 대항한 16세기 종교개혁의 투쟁의 외침이 담겨 있다. 본서의 각 장의 주요 내용 은 다음과 같다. 1장, 복음의 유일성. 2장, 복음 안에 있는 자유. 3장,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4장, 아들로서 누리는 자유. 5장, 자유자의 삶–사랑. 6장, 자유자의 삶–선행. 1장: 복음의 유일성 1-5절, 그리스도의 속죄사역 [1-3절] 사람들에게서 난 것도 아니요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도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 및 죽은 자 가운데서 그리스도를 살리신 하나님 아버지로 말미암아 사도된 바울은 함께 있는 모든 형제로 더불어 갈라디아 (여러) 교회들에게 [편지하노니]. ‘사도’는 주 예수께서 친히 세우시고 보내신 자들을 가리킨다. 누가복음 6:13에 보면, 예수께서는 공생애 초기에 열두 제자들을 택하여 ‘사도’로 세우셨다. 후에, 바울도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로 세움을 받았다. 바울은 자신이 사도가 된 것은 “사람들에게서 난 것도 아니요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도 아니요”라고 말한다. 그의 사도직은 인간적 기원을 가진 것이 아니었다는 말이다. 그는 사람들이 세우고 파송한 사도가 아니었다. 바울은 자신이 사도가 된 것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된 것이라고 말한다. 그가 예수님 믿는 자들을 잡아오려고 다메섹에 가까이 가고 있었을 때 부활하신 주 예수께서는 빛 가운데 나타나셔서 그를 부르셨고 그를 변화시키셨고 그를 택하여 그의 이름을 전하는 사도가 되게 하셨다(행 9장, 22장, 26장). 바울은 또 자신이 사도가 된 것은 “죽은 자들 가운데서 그리스도를 살리신 하나님 아버지로 말미암아” 된 것이라고 말한다. 하나님께서 죽은 자들 가운데서 예수 그리스도를 살리신 것은 복음 진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내용이다. 만일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사시지 않았다면 그는 결코 믿을 만한 자가 되지 못하셨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이 부활할 것을 3차례 이상이나 제자들 앞에서 공언하셨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가 만일 부활하지 않으셨다면 그는 우리가 믿을 만한 주님과 구주가 되실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셨다. 그의 처음 제자들은 그의 부활을 친히 본 자들이었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부활의 증인들이었다. 하나님 아버지께서 그를 다시 살리셨고 그가 친히 바울을 사도로 삼으셨다. 이와 같이, 바울의 사도직은 신적 기원을 가진 것이었다. 즉 그는 자신이나 사람들에 의해 사도가 된 것이 아니었고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를 사도로 만드셨고 세우셨고 파송하셨다. 또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를 사도로 세우셨다는 사실은 그의 사역에 대한 하나님의 보증이기도 하였다. 즉 바울의 사도직의 신적 기원은 그의 말씀 사역에 신적 권위를 준다. 복음 전파자의 사명을 받은 자로서(롬 1:1) 그의 말씀 사역은 하나님의 권위를 가진 사역이 되었고 그가 전한 말씀은 하나님의 권위를 가지게 되었다. 사도 바울은 함께 있는 모든 형제들과 더불어 갈라디아 교회들에게 문안했다. 하나님의 진리는 몇몇 개인들의 진리가 아니요 하나님의 모든 백성의 공동적 진리요 주의 백성이 다함께 고백하고 감사하고 증거하는 진리이었다. 디도서 1:4에 ‘같은 믿음’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은 ‘공통적 믿음’( 코이네 피스티스 )이라는 뜻이다. 우리의 믿음은 모든 성도의 공통적 믿음이다. 유다서 1:3에는 우리의 ‘일반으로 얻은 구원’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그 말도 원문에서 ‘공통적 구원’( 코이네 소테리아 )이라는 뜻이다. 우리가 받은 구원은 모든 성도가 공통적으로 받은 구원이다. 우리는 공통적 믿음을 가지고 있고 공통적 구원을 받은 자들이다. 바울은 자기와 함께 있는 성도들과 일꾼들을 ‘형제’라고 불렀다. 그것은 그의 겸손한 마음을 보인다. 주 예수께서도 제자들을 형제라고 부르셨다. 그는 “누구든지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하는 자가 내 형제요 자매요 모친이니라”고 말씀하셨고 “너희는 랍비라 칭함을 받지 말라. 너희 선생은 하나이요 너희는 다 형제니라”고 하셨고(마 12:50; 23:8), 부활하신 후에도 제자들을 ‘내 형제들’이라고 부르셨다(마 28:10). 사도직은 권위 있는 직분이었지만, 바울은 높은 마음으로 성도들을 대하지 않고 겸손히 대했다. 바울은 고린도후서 1:24에서 “우리가 너희 믿음을 주관하려는 것이 아니요 오직 너희 기쁨을 돕는 자가 되려 함이니 이는 너희가 믿음에 섰음이라”고 말했다. [3절] [우리] 하나님 아버지와 [우리] 1)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평안]이 있기를 원하노라. 사도 바울은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하나님 아버지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안이 있기를” 기원하였다. ‘은혜’는 단순히 마음에 감동을 주고 눈물을 일으키는 감정이 아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죄사함의 은혜, 즉 죄인을 향해 베푸시는 하나님의 긍휼과 사랑이다. 죄인은 그 은혜 때문에 구원을 받는다. 그러므로 우리가 은혜를 받는다는 것은 우리가 우리의 죄를 용서해주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그것을 받는 것, 즉 죄사함의 체험을 말하는 것이다. ‘평안’은 문제들, 싸움, 갈등, 불안이 가득한 세상에서 하나님께서 주시는 마음의 안정과 평안을 가리킨다. 그것은 죄 문제의 해결, 곧 죄사함을 통해 온다. 세상의 많은 문제들과 싸움, 갈등과 불안의 근본 원인은 사람의 죄이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거할 때, 모든 문제의 해답을 가지며 우리의 심령은 죄사함으로 말미암은 참된 평안과 안정을 누리게 된다. 평안은 마음의 평안뿐 아니라 건강과 물질적 안정과 환경적 평안도 포함한다. 그러나 평안이 항상 그런 것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구약성경 욥기가 그것에 대해 교훈을 준다. 하나님께서는 세상에서 성도들에게 때때로 고난의 훈련을 받게 하신다.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을 받고 경건하고 의롭고 선한 삶을 살기를 힘쓰는 성도들에게도 때때로 고난이 닥친다. 그것은 자신의 부족 때문에도 오지만 때로는 욥처럼 까닭 없이 오기도 한다. 그러나 성도는 고난들을 통해 믿음이 자라고 거룩해진다. 주께서 바울에게 주셨던 육체의 가시도 비슷한 목적을 가졌다. 바울은 그 육체의 가시, 아마 어떤 질병이나 연약성을 통해 교만에 떨어지지 않고 겸손한 마음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것은 하나님의 은혜의 수단이었다(고후 12:7). 그러나 그런 고난 속에서도 성도는 하나님께서 주시는 마음의 평안을 누린다. [4-5절] 그리스도께서 하나님 곧 우리 아버지의 뜻을 따라 이 악한 세대에서 우리를 건지시려고 우리 죄를 위하여[없이하기 위하여] 자기 몸을 드리셨으니 영광이 저에게 세세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본문은 하나님의 구원의 복음을 간략히 증거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주신 구원의 복음의 내용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위하여 자기 몸을 드리셨다는 것이며, 그 목적은 우리를 이 악한 세대에서 건지시기 위함이며, 그 근원은 하나님 우리 아버지의 뜻이다. 첫째로, 복음의 내용은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위하여 자기 몸을 드리셨다는 것이다. ‘우리 죄를 위하여’라는 원어( 페리 )(전통본문) 2) 는 ‘우리 죄와 관계하여, 우리 죄 때문에, 우리 죄를 없이하기 위해’ (BDAG) 라는 뜻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죄 때문에, 우리의 죄를 없이하기 위해 죽으셨다. 이것이 성경이 분명히 전하는 복음의 내용이다. 고린도전서 15:3, “내가 받은 것을 먼저 너희에게 전하였노니 이는 성경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위하여( 휘페르 uJpe;r) [ 때문에, 대신하여] 죽으시고.” 로마서 4:25, “예수는 우리 범죄함을 위하여( 디아 ) [ 때문에] 내어줌이 되고.” 죄인은 자신이 자기 죄에 대해 하나님의 공의의 형벌을 받든지, 아니면 누가 대신 그 벌을 받아주어야 한다. 후자가 대속(代贖)의 개념이다. 대속은 대리 형벌이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대속을 이루셨다.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 때문에, 우리를 대신하여 자신을 드리셨다. 이것이 복음이다. 인생의 죄 문제의 해결이 여기에 있다. 죄인들은 오직 구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 둘째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자신을 주신 목적은 “우리를 이 악한 세대에서 건지시기 위해서”이었다. 하나님의 구원은 죄인들을 죄로부터 구원하시는 것이다. 세상은 악하고 음란한 세상이며 사람들은 심히 죄악되다. 그들은 하나님과 그의 뜻, 곧 그의 선하고 의로운 뜻을 거역하고 있다. 그러므로 구원이 필요하다. 죄는 이 세상에서의 모든 불행의 원인일 뿐 아니라, 또한 죽음과 지옥 형벌의 원인이다. 하나님의 택한 영혼들은 이 악한 세상으로부터 또 하나님의 심판으로부터 구원을 받아야 한다. 우리는 이 악한 세상으로부터 구원을 받았다. 이렇게 구원받은 성도들의 모임이 교회이다. 셋째로,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드려 우리를 구원하신 것은 하나님의 뜻이었다. 우리의 구원은 하나님의 영원한 뜻에서 비롯된 것이다. 에베소서 1:4, “[하나님께서는]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우리로 사랑 안에서 그 앞에 거룩하고 흠이 없게 하시려고 그 기쁘신 뜻대로 우리를 예정하사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자기의 아들들이 되게 하셨으니.” 실상, 하나님께서는, 수수께끼 같은 세계 속에서 사는 사람들의 모든 철학적, 종교적, 도덕적 질문들의 해답이시다. 영원 전부터 스스로 계신 하나님께서는 모든 문제의 해답이시다. 그 하나님께서는 만세 전부터 이 세상의 모든 일들을 계획하셨다. 하나님의 계획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인류의 창조와 심판과 구원에 관한 것이다. 이처럼 우리의 구원은 결코 우연한 사건이 아니고, 하나님께서 만세 전부터 계획하신 뜻을 따라 이루어진 일이다. 사도 바울은 이제 영광이 하나님께 세세토록 있으시기를 기원한다. ‘저에게’라는 말은 원문에서 ‘하나님 곧 우리 아버지’를 가리킨다고 보인다. 예수님 믿고 구원받은 우리는 택함 받지 못한 자들과 다를 바 없는 죄인들이며 구원받은 후에도 여전히 죄성을 가진 자들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그의 긍휼로 만세 전에 우리를 택하셨고 때가 되어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이 세상에 보내주셨고 그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로 우리의 구속(救贖)을 이루셨고 또 우리에게 죄의 깨달음과 구주 예수 그리스도를 알고 믿고 의지하는 마음을 주셔서 그를 믿음으로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과 영원한 생명과 천국 기업을 상속받게 하셨다. 이것이 구원이다. 하나님께서는 그의 은혜로 우리를 구원하셨다. 여기에 우리의 찬송의 이유와 내용이 있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우리는 신약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야 한다. 우리는 사도직의 신적 기원을 알아야 한다. 주 예수께서는 친히 열두 제자들을 불러 사도로 삼으셨고 복음 전도의 사명을 주셔서 온 세상에 보내셨다. 사도 바울이 사도가 된 것도 사람들에게서 난 것도,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도 아니요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으로 말미암은 것이었다. 거기에 사도 바울의 말씀 사역의 신적 권위와 그가 전한 복음의 신적 권위가 있다. 그것이 신약성경의 신적 권위이다. 둘째로,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와 평안을 항상 사모하며 누리자. 그것은 죄사함과 성화의 은혜이며 죄사함에 근거한 심령의 평안과 그에 부수된 몸의 건강과 환경적 평안이다.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와 평안을 늘 사모하며 누리며 살 수 있고, 그러므로 그것을 사모하며 누려야 한다. 셋째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의 은혜, 즉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의 은혜를 받고 감사하며 구별된 삶을 살아야 한다.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 안에 영생이 있고 천국의 복도 있다. 또 이런 구원의 은혜를 받은 자들은 이제는 죄와 결별하고 하나님 중심의 삶, 계명 순종의 삶, 즉 경건하고 의롭고 선하고 진실한 삶을 살아야 한다. 6-10절, 다른 복음은 없다 [6절] 그리스도의 은혜로 너희를 부르신 이를 이같이 속히 떠나 다른( 헤테론 (NASB, NIV)) 복음 좇는 것을 내가 이상히 여기노라. ‘그리스도의 은혜로 너희를 부르셨다’는 말씀은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으로 너희를 부르셨다는 뜻이다. 하나님의 복음은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이다. 그 내용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 곧 우리 아버지의 뜻을 따라 이 악한 세대에서 우리를 건지시려고 우리 죄를 위하여 자기 몸을 드리셨다는 것이다(갈 1:4). 그런데 갈라디아 교회는 이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속히 떠나 다른 복음을 좇았다. ‘다른 복음’이라는 말은 ‘내용이 다른 복음’이라는 뜻이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주신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과 내용이 다른 것을 가리킨다. 갈라디아 교회가 은혜의 복음을 속히 떠난 것은 사람의 연약성을 보인다. 이것은 옛날 이스라엘 백성의 모습과 비슷하였다. 신명기 9장에 보면, 하나님의 은혜로 애굽에서 나왔던 이스라엘 백성은 광야에서 목이 곧고 늘 하나님을 거역하고 하나님의 명하신 말씀을 속히 떠났었다(신 9:7, 12-13, 16, 24). 사람의 연약성은 구원받은 성도들 속에도 있다(롬 7:18-25). 하나님께서 그의 은혜로 우리를 붙드심이 아니고서는 오늘날 우리도 은혜의 복음을 속히 떠날 수 있다. 갈라디아 교회가 다른 복음을 받아들이고 그 복음을 좇아간 것은 이상한 일이었으나, 그것이 현실이었다. 하나님께서 세우신 교회, 주께서 피 흘려 사신 교회이었지만, 이 교회 속에 다른 복음이 용납된 것이다. 역사상 기독교회 안에는 다른 복음들이 적지 않게 들어왔었다. 천주교회를 비롯하여, 각종 이단 종파들과 현대 자유주의 신학들은 다른 복음들이다. 그것들이 역사상 기독교회 안에 용납되었다는 것은 이상한 일이지만, 그러나 그것이 교회의 현실이다. [7절] 다른( 알로 another) 복음은 없나니 다만 어떤 사람들이 너희를 요란케 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을 변하려 함이라. “다른 복음은 없나니”라는 말은 그것이 다른 하나의 복음이 아니니라는 뜻이다. 갈라디아 교회에 들어온 다른(different) 복음은 다른 하나의(another) 복음이 아니었다. 복음은 여러 개 있는 것이 아니다. 복음은 유일하다. 그것은 어느 시대에나 어느 환경에서도 다른 내용이 될 수 없다. 아무도 복음의 내용을 바꾸거나 그것에 무엇을 더하거나 빼거나 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하나님께서 주신 복음의 내용은 확정되어 있는 것이다. “다만 어떤 사람들이 너희를 요란케 하였다”는 말씀은 다른 복음이 사람들에게서 나온 것임을 보인다. 사람들이 교회를 어지럽게 만들고 하나님의 일을 어지럽히고 있었다. 그들이 다른 복음을 전파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복음을 변하려 함”이었다. 여기에 다른 복음의 음흉한 목적이 있다. 복음은 ‘그리스도의 복음’ 곧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를 위해 죽으셨기 때문에 그를 믿음으로 구원을 받으라는 소식인데, 어떤 사람들이 그 복음을 변경시키려고 다른 복음을 만들어 전파하려 한 것이다. 그러나 은혜의 복음의 가감이나 변경은 결국 복음을 부정하는 것이다. 그것은 실상 사탄의 활동들이다. 사탄은 하나님의 일을 방해하고 교회들을 어지럽히고 부패시킨다. 그러므로 사도 요한은 요한일서에서 “사랑하는 자들아, 영을 다 믿지 말고 오직 영들이 하나님께 속하였나 시험하라. 많은 거짓 선지자가 세상에 나왔음이니라”고 교훈하였다(요일 4:1). [8절] 그러나 우리나 혹 하늘로부터 온 천사라도 우리가 너희에게 전한 복음 외에 다른( 파르 )[에 반대되는] 복음을 전하면 저주를 받을지어다. “우리가 너희에게 전한”이라는 말씀에서 ‘전한’이라는 원어( 유엥겔리사메다 )는 과거시제로서 복음이 이미 그들에게 전해졌음을 나타낸다. 기독교 복음은 사도들이 이미 전한 복음, 초대교회에 이미 전해진 복음이다. 복음의 내용은 이미 전해졌다. 그 내용은 확정되어 있다. 기독교 복음은 결코 시대마다 변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사도 바울은 복음의 유일성과 확정성을 강조한다. 사도 바울이 전한 하나님의 복음은 사도 바울 자신이라도 변경할 수 없고 하늘로부터 온 어떤 천사라도 변경할 수 없는 성격의 내용이다. 그렇다면, 하물며 오늘날 누가 감히 하나님의 복음의 내용을 변경시킬 수 있겠는가? 아무도 그 내용을 변경시킬 수 없다. 그러면 그 복음은 지금 어디에서 확인되며 확증될 수 있는가? 그것은 신약성경에서 확인되며 확증될 수 있다. 기독교 복음은 신약성경에 계시되어 있고 제시되어 있고 기록되어 있다. 기독교 복음은 사도 바울과 사도들이 전한 복음이며 신약성경에 기록되어 있는 복음이다. 복음을 믿는 우리의 믿음은 그것을 믿고 전한 사도들의 믿음이었고 또한 성경에 밝히 계시되어 있고 증거되어 있는 믿음이다. 그러므로 복음 확인에 신약성경을 연구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며, 그 중에도 로마서와 갈라디아서를 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다른 복음을 전하면 저주를 받을지어다”는 말씀은 다른 복음을 전하는 자들의 죄가 얼마나 중대한지를 보인다. 다른 복음을 전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저주를 받을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죄인들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자기 생각대로 임의로 변경시키는 것은 그들을 멸망에 이르게 하는 매우 악한 일이며 사탄의 활동이기 때문이다. 다른 복음들을 전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들을 구원하시는 그의 일을 방해하고 그들을 멸망시키려는 사탄의 일인 것이다. 물론, 하나님의 구원 사역이 사탄의 방해 때문에 죄절되지는 않을 것이다. [9절] 우리가 전에 말하였거니와 내가 지금 다시 말하노니 만일 누구든지 너희의 받은 것 외에 다른 복음을 전하면 저주를 받을지어다. “우리가 전에 말하였거니와 내가 지금 다시 말하노니”라는 표현은 다른 복음을 전하는 자들에 대한 경고가 새로운 것이거나 처음하는 것이 아님을 보인다. 이 경고는 이전에 이미 했던 것이고 다시 반복해도 지나치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그들에 대한 저주를 반복하여 다시 선언하는 것이다. “너희의 받은”이라는 원어( 파렐라베테 parelavbete )도 과거시제로서 복음이 이미 그들에게 전달되었음을 보인다. 복음은 초대교회가 이미 받은 것이요 갈라디아 교회도 이미 받은 것이었다. 기독교 복음은 옛날부터 즉 사도 시대로부터 전해온 것이며 믿어온 것이다. 그것은 진정으로 전통적인 것, 옛것이다. 복음 신앙은 새것이 아니다. 그것은 이전에 없었다가 어느 날 누가 비로소 깨닫고 주장한 것이 아니다. 복음을 믿는 신앙은 사도적, 전통적 신앙, 곧 옛신앙이다. 물론, 전통적인 것이 다 옳다는 말이 아니다. 잘못된 전통도 있고 순수하지 못하고 불순해진 옛것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 복음은 옛날부터 내려오는 전통적인 내용이며 섞인 것들을 제거시키고 순수하게 보존해야 할 옛것이다. 본래 사도들에게 계시되고 사도들이 전파하고 선언한 그 옛 복음은 확정된 내용이어서 아무도 거기에 무엇을 더하거나 거기에서 무엇을 뺄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역사적 기독교’ 혹은 ‘옛신앙’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갈라디아 교회는 사도 바울에게 받은 그 복음을 떠나 다른 복음을 받아들이고 있었던 것이다. 다수의 사람들이 변질되고 있었다. 교인들은 목사들에 따라 변하는 것 같다. 양들은 순진하여 목사들을 그냥 따르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목사들의 책임은 크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마지막 날 목사들을 더 엄하게 심판하실 것이다. [10절] 이제 내가 사람들에게 좋게 하랴, 하나님께 좋게 하랴? 사람들에게 기쁨을 구하랴? [이는] 내가 지금까지 사람의 기쁨을 구하는 것이었더면 그리스도의 종이 아니니라[아님이니라](전통사본, syr). 사도 바울은 자신이 예수 그리스도의 종으로서 사람들에게 좋게 하거나 사람들을 기쁘게 하지 않았고 또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라고 말한다. ‘종’은 주인에게 복종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종은 사람을 기쁘게 하지 말고 오직 하나님께 복종하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의 복음을 감히 인간의 생각으로 변경해서도 안 되고 그렇게 변경하는 자들을 용납해서도 안 된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다른 복음은 없다. 기독교 복음은 사도 바울과 그 외의 사도들, 즉 초대교회가 ‘전한 복음’이며 초대교회가 ‘받은 복음’이다. 그것은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증거된 대로 죄인이 구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는 내용이다(롬 3:21-24; 갈 2:16). 이 복음 외에 다른 복음은 없다. 기독교는 참으로 옛것이며 복음 신앙은 참으로 옛신앙이다. 기독교 역사상, 다른 복음들이 있었다. 대표적으로 천주교회와 각종 이단 종파들과 자유주의 신학이 다른 복음이다. 많은 교회들과 교인들이 다른 복음들로 인해 역사적 기독교 신앙을 잃어버렸다. 그러나 우리는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믿는 믿음을 잘 지켜야 하고, 이 믿음을 널리 전파해야 한다. 둘째로, 다른 복음을 전하는 자들은 저주를 받을 것이다. 왜냐하면 다른 복음은 없고, 죄인들을 구원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변경하고 왜곡시키고 부정하는 것은 그들로 구원받지 못하게 방해하고 그들을 멸망의 길로 나아가게 하는 저주받을 큰 악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른 복음을 전하는 자들을 경계하고 멀리해야 한다. 셋째로, 우리는 오직 하나님만 기쁘시게 해야 한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배교와 타협이 만연한 시대에는 하나님의 종들과 성도들이 넓은 길, 포용적인 길을 가기 쉽다. 그런 길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길일지도 모른다. 반면에 옛길, 좁은 길은 오해와 비난을 받을 수 있고 아마 많은 원수들이 있는 길일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진리에 관한 한, 우리는 타협적이고 포용적인 넓은 길로 갈 수 없다. 기독교 신앙은 본질적으로 배타적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유일한 내용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배교자들과 타협자들과의 교제를 멀리해야 한다. 우리는 오직 역사적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지키며 그 믿음만 힘써 전파해야 한다. 11-24절, 사도 바울의 복음의 유래 [11-12절] [그러나] 3) 형제들아, 내가 너희에게 알게 하노니 내가 전한 복음이 사람의 뜻을 따라 된 것이 아니라. 이는 내가 사람에게서 받은 것도 아니요 배운 것도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啓示)로 말미암은 것이라. 아무리 훌륭한 사람이라도 사람의 생각은 완전하지 못하고 사람의 권위는 절대적이지 않다. 기독교가 불교처럼 사람의 명상과 깨달음에서 나왔거나 유교처럼 양심과 이성적, 도덕적 판단에서 나온 정도의 종교라면, 그것은 유일하고 절대적인 종교이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기독교가 영원하신 하나님과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뜻을 계시하신 것이라면, 기독교는 이방 종교들과 다르며 모든 사람들이 믿고 복종해야 할 유일하고 절대적인 종교가 될 것이다. 사도 바울은 자신이 갈라디아 교회에게 그리고 다른 여러 교회들에게 전한 하나님의 복음이 사람의 뜻을 따라 된 것이 아니며 사람들에게서 받은 것이나 배운 것이 아니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啓示)로 말미암은 것이라고 증거한다. 이 말씀에서 사도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사람들과 구별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사람이신 것이 사실이지만, 그는 또한 사람 이상이시다. 그는 사람이시지만, 또한 하나님의 아들 곧 신성(神性)을 가진 존재이시다. 예수께서는 요한복음이 증거하는 대로 태초부터 계신 말씀이시며 하나님이신 분이시요(1:1)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이시다(1:14). 또한 그는 “아브라함이 나기 전부터 내가 있느니라”고 친히 말씀하기도 하신 분이시다(8:58). 사도 바울이 전한 복음이 사람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고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啓示)로 말미암았다는 말씀은, 사도 바울의 복음이 하나님의 권위와 보증을 가짐을 증거할 뿐 아니라, 또한 그의 사도직의 독립성과 정당성, 그리고 신적 권위성을 증거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사실을 바로 깨닫고 사도 바울이 예수 그리스도께 직접 받은 이 복음, 즉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 밝히 증거되어 있고 기록되어 있는 이 복음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고 연구하고 믿고 전해야 할 것이다. [13-14절] [이는] 내가 이전에 유대교에 있을 때에 행한 일을 너희가 들었거니와 하나님의 교회를 심히 핍박하여 잔해(殘害)[파괴]하고 내가 내 동족 중 여러 연갑자(年甲者)[동년배]보다 유대교를 지나치게 믿어 내 조상의 유전(遺傳)에 대하여 더욱 열심이 있었으나. 사도 바울은 자신의 과거를 말한다. 예수님 믿기 전에 그의 이름은 사울이었다. 그가 말한 바와 같이, 그는 이전에 유대교인으로서 그의 동년배들보다 유대교를 더욱 열심히 믿었다. 그는 기독교의 맨처음 순교자 스데반이 돌에 맞아 죽을 때 그를 치는 자들의 편에 서서 그들의 옷을 지키는 자가 되기도 했고(행 7:58), 스데반의 죽임 당함을 마땅한 일이라고 생각하였다. 더욱이, 스데반의 죽음 후 예루살렘에 있는 교회에 큰 핍박이 일어났을 때, 그는 각 집에 들어가 남녀를 끌어다가 옥에 넘기며 교회를 파괴하였던 인물이었다(행 8:3). 그는 그의 무지한 열심 때문에 하나님의 교회를 심히 핍박하고 파괴했었다. 종교적 열심은 다 좋은 것이 아니다. 그것은 바른 지식에서 나오지 못할 때 유익보다 오히려 해가 되기도 한다. 하나님을 믿고 섬김에 있어서는 단순한 열심보다 바른 지식을 가진 열심이 필요하다. [15-17절] 그러나 내 어머니의 태로부터 나를 택정하시고 은혜로 나를 부르신 이가[하나님께서] 4) 그 아들을 이방에 전하기 위하여 그를 내 속에 나타내시기를 기뻐하실 때에 내가 곧 혈육과 의논하지 아니하고 또 나보다 먼저 사도된 자들을 만나려고 예루살렘으로 가지 아니하고 오직 아라비아로 갔다가 다시 다메섹으로 돌아갔노라. 바울은 예수님의 제자들에 대해 위협과 살기가 등등하여 대제사장에게 가서 이웃 나라 도시 다메섹의 여러 회당들에 갈 공문을 요청했는데 이는 만일 예수 믿는 사람들을 만나면 결박하여 예루살렘으로 잡아오려 함이었다. 그가 다메섹 성에 가까이 가고 있었는데, 갑자기 하늘로부터 빛이 그를 둘러 비췄다. 그가 땅에 엎드러지자 이런 소리가 들렸다.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핍박하느냐?” “주여, 뉘시오니이까?” “나는 네가 핍박하는 예수라”(행 9장). 그때 거기에서 그는 거꾸러졌고 마침내 예수님께 굴복하는 사람이 되었다. 이것은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이었다. 주권자 하나님께서는 핍박자 사울을 불러 사도 바울이 되게 하셨다. 하나님께서 사울을 부르신 것은 그의 어떤 경건과 선행 때문에가 아니고 오직 하나님의 은혜 때문이었다.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이다. 그것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근거한다. 사도 바울은 하나님께서 그의 모친의 태로부터 그를 택하셨다고 말한다. 우리의 생명이 어머니의 태에서 시작되었을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그의 은혜로 구원하시려고 이미 구별하셨다. 사실은, 그보다 훨씬 더 전에 그렇게 하셨다. 에베소서 1:4는 하나님께서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셨다고 말한다. 하나님께서는 사울을 불러 구원하셨을 뿐 아니라, 그를 통해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이방인들에게 전파하기를 원하셨고, 그래서 그를 사도로 삼으시고 그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알게 하시기를 기뻐하셨다. 그는 구원받은 성도일 뿐 아니라, 사도로 부르심을 입었다. 그는 그가 받은 사명이 ‘이방인 전도’임을 분명히 알고 있었다. 구원받은 즉시 바울의 열심은 유대교에서 기독교로 전환되었다. 그의 마음 속에는 예수 그리스도를 더 알기 원하는 열심이 일어났음에 틀림없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에게 자원하는 마음을 주시며 그를 사용하신다. 바울은 하나님을 위해 살고자 하는 소원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그때 그 일을 위해 혈육과 의논하지 않았다. 바울은 또한 먼저 사도된 자들을 만나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가지도 않았다. 인간적으로는 가고 싶은 마음이 없지 않았겠지만, 그는 그를 부르신 하나님과 조용한 시간을 갖고 싶었던 것 같다. 그는 아라비아로 갔다. 아라비아는 사막과 광야의 땅이다. 그는 거기에서 조용히 하나님께 기도하며 그와 교제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를 받으며 하나님의 복음을 이해하며 그 진리들을 묵상하였던 것 같다. 예수께서도 세상에 계실 때 조용한 기도의 시간을 자주 가지셨다. 마가복음 1:35, “새벽 오히려 미명에 예수께서 일어나 나가 한적한 곳[광야]으로 가사 거기서 기도하시더니.” 마태복음 14:23, “무리를 보내신 후에 기도하러 따로 산에 올라가시다. 저물매 거기 혼자 계시더니.” 오늘 우리에게도 하나님과 교제하는 조용한 시간은 가장 귀한 시간이다. 고요히 성경책을 읽고 묵상하며 주께 기도하는 시간이야말로 복된 시간이며 그때 성도는 하늘로부터 힘과 기쁨을 얻는다. [18-19절] 그 후 3년 만에 내가 게바[베드로] 5) 를 심방하려고 예루살렘에 올라가서 저와 함께 15일을 유할새 주의 형제[동생] 야고보 외에 다른 사도들을 보지 못하였노라. 사도 바울이 예루살렘에 올라간 것이 그로부터 3년이 지난 후이었다는 사실은 그의 복음과 사도직이 사도들에게 의존하지 않았음을 보인다. 그가 3년 만에 베드로를 방문하려고 예루살렘에 올라갔을 때도 그와 함께 단지 15일간 머물었다. 뿐만 아니라, 거기서 그는 베드로 외에 주의 동생 야고보만 보았을 뿐, 다른 사도들을 보지 못했다. 여기 언급한 예수님의 동생 야고보는 사도행전 15:13에 보면 예루살렘에서 모였던 총회에서 발언하였던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적 인물이었다(행 12:17; 갈 2:9). ‘주의 형제 야고보 외에 다른 사도들’이라는 표현은 야고보가 사도적 권위를 가진 인물임을 보이는 것 같다. [20절] 보라, 내가 너희에게 쓰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거짓말이 아니로라. 사도 바울의 말들과 기록들은 하나님 앞에서 거짓말이 아니었다. 거짓말은 제9계명을 범하는 큰 죄이다. 하나님 앞에서 진실하게 살며 진실만을 말하는 것은 생명과 같이 중요하다. 그러나 사람이 진실을 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의 진실을 인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성경은 진실한 증인들의 증거의 책이다. 요한복음 21:24는, “이 일을 증거하고 이 일을 기록한 제자가 이 사람이라. 우리는 그의 증거가 참인 줄 아노라”고 말했다. 사람의 진실한 증거를 믿을 수 없다면, 바울의 이 말도, 성경도 믿을 수 없게 되고 말 것이다. 우리는 진실한 증인이 되어야 하고 또 진실한 증인들의 말을 믿어야 할 것이다. [21-24절] 그 후에 내가 수리아와 길리기아 지방에 이르렀으나 유대에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교회들이 나를 얼굴로 알지 못하고 다만 우리를 핍박하던 자가 전에 잔해(殘害)[파괴]하던 그 믿음을 지금 전한다 함을 듣고 나로 말미암아 영광을 하나님께 돌리니라. 길리기아는 바울의 출생지인 다소가 있는 지방이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교회들’이라는 표현은 그리스도의 대속(代贖)으로 구원받은 자들이 그와 영적으로 연합되었음을 나타낸다. 바울이 회심한 지 3년이 지났고 또 예루살렘에 올라가 짧은 기간 베드로와 주의 동생 야고보를 만나고 교제하였으나, 유대의 교회들은 아직 그를 얼굴로 알지 못하는 상태에 있었다. 바울의 사도로서의 소명과 그의 전도 사역은 이와 같이 열두 제자들과는 달리 독립적으로 시작되었던 것이다. 여기에 하나님의 하신 기이한 일이 있다. 여기에 그의 사랑과 능력이 있다. 하나님께서는 교회를 핍박하던 인물을 불러 그가 핍박하던 그 예수님을 전파하게 하셨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원수를 당신의 종으로 만드셔서 그의 놀라운 은혜를 증거하는 자가 되게 하셨다. 사도 바울의 전한 복음이 예수 그리스도의 직접적 계시로 되었고 사람에게서 받은 것이나 배운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본문에서 여러 가지로 증거되었다. 첫째, 바울은 회심 직후 혈육과 의논하지 않았고 사도들에게도 올라가지 않았다. 둘째, 그는 아라비아로 갔다. 셋째, 그는 3년이 지난 후 비로소 베드로를 방문하려고 예루살렘에 올라갔다. 넷째, 그는 그때에도 단지 15일간 예루살렘에 머물었을 뿐이다. 다섯째, 그는 그때 베드로와 주의 동생 야고보 외에 다른 사도들을 보지 못하였다. 여섯째, 그가 회심한 지 3년이 지났지만, 유대의 교회들은 아직도 그의 얼굴을 잘 알지 못하였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가장 중요한 교훈은 사도 바울이 전한 복음이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로 말미암은 것이라는 것이다. 물론 그것은 다른 사도들이 전한 복음과 일치하였다. 사도 바울이 전한 복음,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 밝히 계시되고 증거된 복음은 사람의 복음이 아니고 하나님의 복음이다. 사도들이 전한 복음, 즉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는 복음은 하나님의 권위로 인쳐진 내용이다. 천주교회, 이단종파들, 자유주의 신학, 은사주의는 거짓된 교훈들이다. 사람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과 영생을 얻는다. 오늘도 이 복음을 믿는 자들에게는 구원과 영생이 있고 그것을 거절하고 믿지 않는 자들에게는 영원한 멸망이 있다. 둘째로, 하나님께서 바울을 사도로 삼으신 것은 그의 놀라운 은혜이다. 자비하신 하나님께서는 그의 교회를 심히 핍박하고 파괴하던 자를 부르시고 구원하셔서 그가 핍박하고 파괴하던 그 복음을 전파하는 자로 삼으셨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신 것도 그 동일한 은혜이다. 셋째로, 오늘날도 기독교 복음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찾지 말고 오직 성경과 기도로 하나님과 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그렇게 깨달은 복음 진리는 역사적 기독교 진리와 일치할 것이다. 신구약성경은 우리의 신앙과 행위에 있어서 정확무오한 유일의 규칙이다. 2장: 복음 안에 있는 자유 1-10절, 우리의 가진 자유 [1절] 14년 후에 내가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갔노니. 사도 바울은 14년 후 바나바와 함께 예루살렘에 올라간 일을 말한다. 이 일은 사도행전 15장의 예루살렘 회의의 일을 가리킨 것 같다. 사도행전 15장에 보면, 어떤 사람들이 유대로부터 수리아 안디옥에 내려와 이방인들도 모세의 법대로 할례를 받지 아니하면 능히 구원을 얻지 못한다고 가르쳤다. 이런 가르침 때문에 바울과 바나바와 그들 사이에 크게 논쟁이 일어났고 안디옥 교회는 이 문제를 위해 바울과 바나바와 몇 사람을 예루살렘에 있는 사도들과 장로들에게 보내었다. 예루살렘 교회와 사도들과 장로들은, 이 일을 위해 모여 많이 토론한 후, 이방인들에게 할례를 받게 하는 등 율법의 멍에를 메우는 것이 옳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아마 이 일을 위하여 예루살렘에 올라갔을 때, 사도 바울은 바나바와 함께 올라갔고 또 디도를 데리고 갔다. 바나바는, 사도행전에 보면, 처음에 바울을 예루살렘에 있는 원사도들에게 소개한 자이었으며(9:26), 착하고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자이었고(11:24), 바울을 안디옥에 초청해 함께 그 교회를 가르쳤던 자이었고(11:25-26), 그 교회에서 바울과 함께 선교사로 파송된 자이었다(13:2-3). 디도서의 수신자인 디도는 헬라인이라는 것(3절)과 그레데에 남아 교회를 돌본 사역자라는 것(딛 1:5) 외에는 성경에서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2절] 계시를 인하여 올라가 내가 이방 가운데서 전파하는 복음을 저희에게 제출하되 유명한[지도적인] 자들에게 사사로이 한 것은 내가 달음질하는 것이나 달음질한 것이 헛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 사도 바울이 예루살렘에 올라간 것은 안디옥 교회에서 생긴 교리적 논쟁 때문이었다고 보이지만(행 15장) 또한 하나님의 계시 때문이었다. 그것은 그 논쟁 중에서 하나님께서 사도 바울에게 예루살렘에 올라가라고 직접 지시하셨다는 뜻일 것이다. 사도들은 구약시대의 선지자들처럼 하나님의 직접 계시를 받는 자들이었다. 사도 바울이 예루살렘에 올라간 목적은 그가 그때까지 이방인들에게 전파하였던 복음의 내용이 예수 그리스도의 원사도들이 전파했고 예루살렘 교회가 믿고 있는 복음의 내용과 같은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것은 사도 바울의 복음 전파의 일이 헛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었다. 만일 사도 바울이 잘못된 내용을 전파하였고 또 지금도 전파하고 있다면 그의 모든 수고는 헛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도 우리는 우리가 믿고 전하는 복음이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사도들을 통해 주신 바로 그 복음임을 확인해야 하고 확신해야 할 것이다. [3절] 그러나 나와 함께 있는 헬라인 디도라도 억지로 할례를 받게 아니하였으니. 할례는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주신 언약의 규례이었다. 그것은 남자의 생식기를 덮은 피부(foreskin, 양피, 포피)의 끝부분을 잘라내는 의식이었다. 모든 이스라엘 백성은 다 할례를 받아야만 했다. 이것은 아브라함 때로부터 내려온, 또한 율법에 규정된 하나님의 언약의 표시이었다. 율법에 의하면, 디도는 당연히 할례를 받아야 했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새 언약 아래서 모든 사람은 할례와 관계없이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죄사함의 구원을 받았고 하나님의 은혜언약 안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러므로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한 형제인 할례 받지 않은 헬라인 디도를 예루살렘에 데리고 올라감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할례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증거하기 원했던 것 같다. 특히 이방인들이 구원받기 위해 할례를 받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로 논쟁하는 시점에 사도 바울은 디도라도 억지로 할례를 받게 아니함으로 행동으로 그 진리를 증거하려 했던 것 같다. [4-5절] 이는 가만히 들어온 거짓 형제 까닭이라. 저희가 가만히 들어온 것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의 가진 자유를 엿보고 우리를 종으로 삼고자 함이로되 우리가 일시라도 복종치 아니하였으니 이는 복음의 진리로 너희 가운데 항상 있게 하려 함이라. 사도 바울은 자신이 디도에게 억지로 할례를 받게 하지 아니했던 이유를 말한다. 그것은 교회 안에 가만히 들어온 거짓 형제들 때문이었다. 그들은 교회에 당당하게 들어오지 않았다. 그것이 마귀의 전술이다. 마귀는 자기 사람들을 비밀 첩보원처럼 가만히 교회 안에 투입시킨다. 오늘날도 기독교계 안에 많은 거짓 형제들이 들어와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종들과 성도들은 그들을 분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이 들어온 목적은 사도 바울과 성도들이 가진 복음의 자유를 엿보고 그들을 율법의 종으로 삼으려고 함이었다. ‘우리가 가진 자유’라는 사도 바울의 표현은 하나님의 복음의 핵심적 내용을 드러낸다. 그 자유는 율법으로부터의 자유이며 할례의 규례로부터의 자유이다. 그것은 구약시대의 모든 의식적 율법들, 예를 들어 성전 의식들, 제사 의식들, 절기들로부터의 자유이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 단번에 의를 이루셨고 우리가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하심을 받았기 때문에 누리는 자유이다. 물론 그 자유가 도덕적 율법들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복음 안에 있는 자유는 방종에 빠지게 하는 자유가 아니고 하나님의 뜻과 계명을 행하게 하는 자유이다. 우리는 구원받은 후에도 여전히 우상숭배하지 말아야 하고 부모를 공경하고 살인하지 말고 간음하지 말고 도적질하지 말고 거짓 증거하지 말고 탐내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도덕법들을 지키는 것은 그리스도의 의(義) 안에서 기쁨과 자원함으로 지키는 것이지, 의를 이루기 위해 공포와 두려움 가운데 무거운 짐을 진 심정으로 지키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이 가만히 들어와 사도 바울과 성도들이 가진 자유를 파괴시키고 그들을 율법의 종으로 삼으려고 하였던 것이다. 그 거짓 형제들은 기독교회 속에 들어온 유대교인들에 불과하였다. 그들은 하나님의 자유의 복음을 이해하지 못하고 도리어 오해한 자들이며, 하나님을 위해 싸우는 아군들이 아니고 적군들이며, 하나님의 교회의 건설자들이 아니고 파괴자들이다. 그들은 주 예수께서 피흘려 사신 형제들을 사랑하는 자들이 아니고 실상 미워하는 자들이며, 하나님의 긍휼로 약속하신 영원한 생명 안에 사는 자들이 아니고 아직도 사망 가운데 머물러 있는 자들이었다. 사도 바울은 그 거짓 형제들을 알아차렸고 그들에게 한 순간이라도 복종하지 않았다. 잠언 25:26은 “의인이 악인 앞에 굴복하는 것은 우물의 흐리워짐과 샘의 더러워짐 같으니라”고 말한다. 진리를 가진 자는 진리를 가지지 못한 자 앞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 그 거짓 형제들의 사상은 하나님께서 주신 복음 진리와 배치되었기 때문에, 사도 바울은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바울은 하나님의 복음 진리 곧 율법으로부터 자유케 하시는 이 진리가 자신뿐 아니라 자기가 전도하여 믿게 된 모든 성도들에게도 있게 하기를 원하였다. [6-9절] 유명하다는[지도적인] 이들 중에 (본래 어떤 이들이든지 내게 상관이 없으며 하나님은 사람의 외모를 취하지 아니하시나니) 저 유명한[지도적인] 이들은 내게 더하여 준 것이 없고 도리어 내가 무할례자에게 복음 전함을 맡기를 베드로가 할례자에게 맡음과 같이 한 것을 보고 (베드로에게 역사하사 그를 할례자의 사도로 삼으신 이가 또한 내게 역사하사 나를 이방인에게 사도로 삼으셨느니라.) 또 내게 주신 은혜를 알므로 기둥같이 여기는 야고보와 게바와 요한도 나와 바나바에게 교제의 악수를 하였으니 이는 우리는 이방인에게로, 저희는 할례자에게로 가게 하려 함이라. 6절 상반절과 8절은 문맥상 삽입적 의미를 가지며 어떤 영어성경들은 8절을 괄호 안에 두었다 (KJV, NASB) . ‘유명한 이들’은 ‘지도적 인물들’ 즉 예루살렘의 원사도들과 그들의 인정을 받은 자들을 가리킬 것이다. 사도 바울은 ‘본래 어떤 이들이든지 내게 상관이 없다’고 말한다. 그리스도인의 신앙은 사람들에게 의존하지 않고 오직 성경말씀에만 의존해야 한다. 우리의 양심은 오직 하나님께만 매여야 한다. 그러므로 교회 안에서는 어떤 직분자보다 모든 성도가 하나님 앞에서 형제 자매이며 한 식구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원사도들은 사도 바울에게 더하여 준 것이 없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바울에게 계시해주신 복음은 부족함이 없었다.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원사도들에게 주셨던 그 동일한 복음 진리를 바울에게도 주셨다. 사도 바울의 복음과 원사도들의 복음은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사도 바울이 예루살렘에 올라가 제출한 복음의 내용은 바로 열두 사도들이 전파하였던 바로 그 복음이었다. 사도 바울이 예루살렘에 올라감으로써 그의 복음에 어떤 수정이나 보완이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단지 그의 복음과 원사도들의 복음이 동일하다는 것이 증거되었을 뿐이다. 그들 상호간에 교리적 일치, 교훈적 일치가 있었다. 하나님께서는 베드로를 유대인들을 위한 사도로 삼으셨고 바울을 이방인들을 위한 사도로 삼으셨다. 예루살렘의 사도들은 그 사실을 인정하였다. 그러므로 기둥같이 여기는 야고보와 게바 즉 베드로와 요한은 하나님께서 바울에게 주신 은혜를 알므로 바울과 바나바에게 교제의 악수를 하였다. 이 교제의 악수는 사도 바울의 복음과 사도 베드로의 복음이 동일한 복음이라는 것을 의미하였다. 다른 말로, 이 교제의 악수는 사도 바울의 복음이 하나님께서 주신 진리라는 것을 증거한 것이다. 이렇게 확인된 그 복음 외에 다른 복음은 이 세상에 없으며, 오늘날에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는다는 그 복음만이 모든 사람들에게 구원과 생명이 된다. [10절] 다만 우리에게 가난한 자들 생각하는 것을 부탁하였으니 이것을 나도 본래 힘써 행하노라. 예루살렘의 사도들이 바울에게 부탁한 것이 있다면 단지 가난한 자들을 기억해 달라는 것이었다. 사도행전 11:29에 보면, 글라우디오 황제 때 큰 흉년이 들어 유대에 사는 성도들에게 구제헌금을 보낸 일이 있었다. 사도행전 15장 때에도 유대 지방에는 가난한 자들이 많이 있었던 것 같다. 구제에 대하여, 사도 바울은 이전부터 자신도 그 일을 힘써 행하여 왔다고 증거한다. 구제는 하나님의 명하신 뜻이며(신 15:7-11) 하나님의 백성들의 당연한 의무이다(고후 9:13).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은 사람들은 선을 행하고 구제하기를 힘써야 한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사도 바울이 증거한 복음은 사도 베드로가 증거한 복음과 동일하다. 사도 바울은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 예루살렘에 올라갔고 그의 복음을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적 인물들 앞에 제출하였다. 그들은 바울의 복음에 더하여 준 것이 없었다. 예루살렘 교회의 기둥 같은 인물들인 야고보와 베드로와 요한은 바울과 바나바와 교제의 악수를 했고, 그들은 할례자들을 위해, 바울과 바나바는 이방인들을 위해 일함을 확인했다. 그들이 주 예수 그리스도께로부터 받아 전파하고 가르쳤던 복음 진리는 동일하였다. 이 사도적 복음, 이 성경적 복음만이 오늘도 모든 사람들에게 구원과 생명이 된다. 둘째로, 복음은 법으로부터의 자유를 준다. 바울은 그것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의 가진 자유’라고 표현하였다. 그것은 법으로부터의 자유, 즉 율법의 멍에와 공포로부터의 자유이다. 법을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는 것(율법주의)는 잘못이다. 사람의 행위는 늘 부족하다.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을 자는 아무도 없다. 예수 그리스도의 의는 우리에게 자유함을 준다. 물론, 선한 행위는 믿음의 당연한 증거이다. 셋째로, 우리는 구제와 선행을 힘써야 한다. 구제와 선행은 하나님의 명령이다. 우리가 행위로 구원받는 것은 아니나, 행위 없이 구원받는 것도 아니다. 참된 믿음은 계명 순종과 구제와 선행으로 나타나야 한다. 11-21절, 이신칭의(以信稱義) [11절] 게바[베드로](전통사본) 6) 가 안디옥에 이르렀을 때에 책망할 일이 있기로 내가 저를 면책하였노라. 베드로가 안디옥에 이르렀을 때 바울은 그를 책망할 일이 있었다. 3년간이나 주님께 직접 배웠고 성령의 은사를 받아 복음 진리를 밝히 이해하고 고난을 무릅쓰고 증거했던 베드로는 상당히 성숙한 인격이었을 것이지만, 그에게 실수가 없지 않았다. 이 세상에 온전한 사람은 없다. 하나님의 사람이라도 부족이 있었다. 세상에서 완전 성화란 없다. 성도의 성화는 매우 더디다. 베드로에게 책망할 일이 있었을 때 바울은 그의 앞에서 그를 책망하였다. 이것은 어려운 일이다. 사람 앞에서 의와 겸손으로 책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훌륭한 행동이다. 잠언 27:5, “면책은 숨은 사랑보다 나으니라.” 사람 앞에서 아부하고 뒤에서 비난하는 것은 나쁜 행동이지만, 사람 앞에서 바른 충고를 하고 뒤에서 함부로 비난치 않는 것은 좋은 인격의 모습이다. [12절] 야고보에게서 온 어떤 이들이 이르기 전에 게바가[그가] 이방인과 함께 먹다가 저희가 오매 그가 할례자들을 두려워하여 떠나 물러가매. 야고보에게서 온 사람들은 유대인들의 관습에 젖어 있는 자들이었던 것 같다. 유대인들의 관습에 의하면, 그들은 이방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하였다(행 10:28). 베드로가 이방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다가 야고보에게서 온 유대인들이 왔을 때 그들을 두려워해 떠나 물러간 것은 유대인들이 그에게 법을 어겼다고 비난할까봐 두려워했기 때문일 것이다. 베드로의 행동은 누구에게나 있는 약한 마음에서 나온 행동이었다. 사람은 누구든지 칭찬받기를 좋아하고 비난받기를 싫어하고, 평안과 안정을 좋아하고 싸움과 갈등을 싫어한다. [13절] 남은 유대인들도 저와 같이 외식하므로 바나바도 저희의 외식에 유혹되었느니라. 베드로뿐 아니라, 남은 유대인들도 그와 같이 외식하였고, 바울의 동료인 바나바도 그들의 외식에 유혹되었다. 신앙생활에는 앞선 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오늘날처럼 기독교계가 혼란한 시대에는 바른 사상과 분별력과 인격을 가진 지도자가 필요하다.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유익을 주는 덕스러운 처신을 해야 한다. 시도 바울은 사도 베드로의 행동을 외식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방인들과 음식을 먹는 것이 정당한 일이었다면, 야고보에게서 온 유대인들 앞에서도 그렇게 행동했어야 했고, 그것이 옳지 않은 일이었다면, 그들이 없었을 때에도 하지 말았어야 했다. 사람은 연약하여 때때로 외식의 죄에 빠진다. [14-15절] 그러므로 나는 저희가 복음의 진리를 따라 바로 행하지 아니함을 보고 모든 자 앞에서 게바[베드로] 7) 에게 이르되 네가 유대인으로서 이방을 좇고 유대인답게 살지 아니하면서 어찌하여 억지로 이방인을 유대인답게 살게 하려느냐 하였노라. 우리는 본래 유대인이요 이방 죄인이 아니로되. 베드로의 외식적 행위는 복음 진리대로 행하지 않은 실수이었다. 복음 진리는 유대인이나 이방인이나 다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면 구원을 얻고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이다. 이방인들은 본래 죄인이었다. 그들은 본래 하나님에 대한 바른 지식이 없이 우상들을 섬기며 살았고 더러운 죄악들 중에 파묻혀 살았던 자들이었다.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옛날부터 관리들은 탐욕적이고 부패하였고 가난한 상민들은 눈물과 고통이 컸다. 또 아내들과 종들은 구타와 학대를 당하여도 하소연할 데가 없었고 며느리들은 종들처럼 가정 일을 해야 했다. 옛날의 우리나라뿐 아니라, 인간 세상에 참으로 진실과 공의와 정직, 사랑과 선이 넘쳐났던 때는 아마 한번도 없었을 것이다. [16절] 사람이 의롭게 되는[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줄 아는 고로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나니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에서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함이라. 율법의 행위로는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느니라. 본절은 하나님의 복음의 핵심을 말한다. 하나님의 복음은 사람이 어떻게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는가 하는 문제이다. 그것은 사람이 모든 죄악된 처지 곧 죄인의 신분과 법적 책임과 죄악된 성향으로부터 구원받아 하나님께서 창조하셨던 본래의 의롭고 선한 모습을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우선, 율법의 행위로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다. 율법의 행위로 말미암는 의는 율법을 다 지키는 것을 말한다. 신명기 6:25, “우리가 그 명하신 대로 이 모든 명령을 우리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삼가 지키면 그것이 곧 우리의 의로움이니라.” 그러나 하나님의 율법을 다 지키는 자는 세상에 아무도 없다. 그러므로 세상에 참된 의인은 하나도 없는 것이다. 로마서 3:11,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로마서 3:20,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서가 아니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다.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줄 아는 고로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나니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에서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함이라.” 로마서 3:21-22는, “이제는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 율법과 선지자들에게 증거를 받은 것이라.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니 차별이 없느니라”고 말한다. ‘율법 외에’라는 말은 ‘율법과 별개로, 율법과 관계없이’라는 뜻이다. 주 예수님을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과 다른 방법이다. 그러나 이것은 율법과 선지자들에게 증거를 받은 것 곧 구약시대에 성막 제도와 제사 제도에서 암시된 바이었다. 또 이 구원의 방법은 모든 믿는 자에게 차별 없이 적용되는 방법이다. 유대인도 이방인도, 남녀노소, 빈부귀천, 유무식 할 것 없이 누구든지 예수님을 믿으면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 왜 예수 그리스도만 믿으면 의롭다 하심을 얻는가? 그것은 하나님께서 마련해주신 구원의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인류 역사 초기부터 제사제도를 통해 암시되었다. 이제 예수께서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우리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공의의 형벌을 담당하셨으므로 우리가 그 안에서 의롭다 하심을 얻게 된다. 그러므로 로마서 3:24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救贖)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고 말하였다. [17-18절]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게 되려[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하다가 죄인으로 나타나면 그리스도께서 죄를 짓게 하는 자냐? 결코 그럴 수 없느니라. [이는] 만일 내가 헐었던 것을 다시 세우면 내가 나를 범법한 자로 만드는 것이라[것임이니라]. 의(義)라는 것은 하나님의 계명을 완전히 지킨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구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의 죽음으로 이루신 구속(救贖)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다.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즉 그리스도의 구속(救贖)만 믿고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하다가 죄인으로 나타나면 그리스도께서 사도 바울을 속이셔서 잘못된 것을 전하여 우리로 믿게 하신 것이 되는데, 결코 그럴 수 없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결코 그를 속이지 않으셨고 또 우리를 속이지 않으신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는 복음은 하나님의 진리이다. ‘내가 헐었던 것’이란 사람이 율법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을 가리킨다. 바울은 사람이 율법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게 될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므로 만일 바울이 사람이 율법을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면, 그는 죄인이 될 것이다. [19절] [이는] 내가 율법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향하여 죽었나니[죽었음이니] 이는 하나님을 향하여 살려 함이니라. ‘율법을 향해’( 노모 ), ‘하나님을 향해’( 데오 ) 라는 원어는 관계성을 나타낸다 ( 관계의 여격). 즉 ‘율법과의 관계에서,’ ‘하나님과의 관계에서’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율법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향하여 죽었다”는 말은 “율법의 정죄로 말미암아 율법과의 관계에서 죽었다”는 뜻이다. 우리는 언제, 어떻게 율법과의 관계에서 죽었는가?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율법의 정죄를 받으셔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셨을 때, 우리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율법과의 관계에서 완전히 죽은 자가 되었다. 또 “하나님을 향하여 살려 함”이라는 말씀은 “내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산 자가 되기 위함”이라는 뜻이다. [20절]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산[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다”는 말은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대신해 십자가에 죽으셨을 때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은 것이라는 뜻이다. 그리스도의 대속의 죽음은 우리의 죄로 인한 죽음이며 곧 우리의 죽음이었다.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라는 말은 본래의 나, 율법 아래 정죄되었던 나, 곧 옛사람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는 말은 비유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즉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새사람으로 살아났기 때문에, 또한 그리스도의 영께서 내 속에 거하시므로,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이 말을 어떤 신비주의자처럼 육신적으로, 신비적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우리의 인격을 혼동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바울은 이것을,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이 중요하다. 물론, 참 믿음은 회개를 동반한다. 성도는 믿음으로 죄씻음과 의롭다 하심을 얻고(갈 2:16)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특권을 얻고(요 1:12) 영생을 얻는다(요 3:16). 성도의 삶은 믿음의 삶이다. 성도에게 하나님과 주 예수님을 믿는 믿음이 없다면 그는 아무것도 아니다. [21절] 내가 하나님의 은혜를 폐하지 아니하노니 [이는] 만일 의롭게 되는 것( 디카이오쉬네 )[의(義)]이 율법으로 말미암으면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셨느니라[죽으셨을 것임이니라]. ‘하나님의 은혜’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代贖)으로 죄인을 구원하심을 가리킨다. 사도 바울은 은혜의 복음을 전파하였고 지금 그것을 변증하고 있다. 그는 결코 하나님의 은혜를 폐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이 율법을 행함으로 말미암으면 예수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셨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사람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 이것을 이신칭의(以信稱義)라고 말한다. 율법을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을 자는 아무도 없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으로 말미암아 의인으로 간주된다. 어떤 죄인이라도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면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을 받는다. 여러분은 이 구원의 선물을 받았는가? 여러분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었는가? 둘째로, 성도의 삶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삶이다. 성도에게 믿음은 의요 생명이요 평안이다. 믿음 있으면 모든 것이 있고 믿음 없으면 아무것도 없다. 물론, 그 믿음은 선을 행하는 믿음이다. 참된 믿음, 생명 있는 믿음은 의와 선의 행위를 수반하는 믿음이다. 3장: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1-14절, 율법주의는 잘못이다 율법주의란 사람이 율법을 온전히 지켜야 구원을 받는다는 생각이다. 사도 바울은 율법주의의 잘못에 대해 일곱 가지 점을 말한다. [1-2절] 어리석도다, 갈라디아 사람들아,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박히신 것이 너희 눈앞에 밝히 보이거늘 누가 너희를 꾀더냐?[누가 너희를 꾀어 진리를 복종치 못하게 하더냐?](전통사본). 8) 첫째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죽으셨다는 사실은 율법주의가 잘못임을 증거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죽으셨음은 그가 우리를 대신하여 죄의 형벌을 담당하신 대속 사건이었다. 그러나 갈라디아 교인들 중 어떤 이들은 어리석게도 잘못된 교훈의 꾀임에 넘어가 사람이 율법을 지킴으로 구원을 받는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사람이 율법을 지킴으로 구원을 받는다면,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박혀 피 흘려 죽으실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2절] 내가 너희에게 다만 이것을 알려 하노니 너희가 성령을 받은 것은 율법의 행위로냐? 듣고 믿음으로( 엑스 아코에스 피스테오스 )[믿음의 들음으로]냐? 둘째로, 우리가 성령을 받은 것이 율법을 행함으로가 아니고 오직 복음을 듣고 믿을 때이었다는 사실은 율법주의가 잘못임을 증거한다. 에스겔 36장은 죄사함과 중생과 성령의 내주(內住)하심에 대해 예언했다(겔 36:24-27). 성령께서는 죄인에게가 아니고 구원받은 자에게 오신다. 사람은 복음을 듣고 믿어 구원받을 때 성령께서 그에게 오시는 것이다. 사도 베드로가 고넬로의 가족들에게 복음을 전할 때 성령께서는 그 말씀을 듣는 모든 사람에게 내려오셨다(행 10:44). 성령께서 오셔서 거하시는 것은 그가 구원받았다는 증거가 된다(엡 1:13). [3-4절] 너희가 이같이 어리석으냐? 성령으로 시작하였다가 이제는 육체로 마치겠느냐[완전케 되겠느냐](KJV, NASB)? 너희가 이같이 많은 괴로움을 헛되이 받았느냐? 과연 헛되냐? 셋째로, 사람이 율법을 지켜 의롭게 될 수 없다는 사실은 율법주의가 잘못임을 증거한다. ‘육체로 완전케 된다’는 말씀은 사람이 자기의 노력으로 도덕적 완전에 도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사도 바울은 율법을 지켜 도덕적 완전, 즉 의에 이른다고 생각하는 자들을 어리석다고 말한다. 성도의 삶은 성령의 중생케 하심으로 시작되며 성령의 도우심으로 자라고 온전케 된다. 성화는 성령의 도우심으로 이루어진다. 갈라디아서 5:16, “너희는 성령을 좇아 행하라. 그리하면 육체의 소욕을 이루지 아니하리라.” 더욱이, 갈라디아 교인들은 은혜의 복음을 받은 후 유대인들에게 많은 고난을 당했다. 그들이 이제 은혜의 복음을 포기하고 율법주의로 돌아간다면 그들이 당했던 고난들이 헛된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들은 가치 있는 고난을 받았지 결코 헛된 고난을 받은 것이 아니었다. [5절] 너희에게 성령을 주시고 너희 가운데서 능력을 행하시는 이의 일이 율법의 행위에서냐? 듣고 믿음에서냐? 넷째로, 하나님께서 그들 가운데 성령의 기적들을 행하신 것이 그들이 복음을 듣고 믿을 때이었지 율법을 행할 때가 아니었다는 사실은 율법주의가 잘못임을 증거한다. 본절의 ‘능력’이라는 원어( 뒤나메이스 )는 ‘기적들’이라는 뜻이다. 성령의 초자연적 기적들은 초대 교회의 성도들이 율법을 지킬 때 주신 것이 아니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을 받았을 때 은혜로 주신 것이었다(행 3:12, 16). [6-7절]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이것을 그에게 의로 정하셨다 함과 같으니라. 그런즉 믿음으로 말미암은 자들은 아브라함의 아들인 줄 알지어다. 다섯째로, 아브라함이 율법을 행함으로가 아니고 하나님을 믿음으로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하심을 얻었다는 사실은 율법주의가 잘못임을 증거한다. 창세기 15:6은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로 여기셨다”고 기록했다. ‘믿음으로 말미암은 자들’이라는 말은 예수님을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들을 가리킨다. 그들이 아브라함의 아들들이 된다는 것은 성경 진리에 맞다. [8-9절] 또 하나님이 이방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로 정하실[의롭다 하실] 것을 성경이 미리 알고 먼저 아브라함에게 복음을 전하되 모든 이방이 너를 인하여( 엔 소이 )[네 안에서] 복을 받으리라 하였으니 그러므로 믿음으로 말미암은 자는 믿음이 있는 아브라함과 함께 복을 받느니라.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땅의 모든 족속이 너를 인하여[네 안에서] 복을 얻을 것이니라”(창 12:3)고 말씀하셨을 때 그것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 복이 이방인에게도 적용될 것을 암시했다. 예수님 믿는 자들은 아브라함과 함께 의롭다 하심의 복을 받는다. [10절] 무릇 율법 행위에 속한 자들은 저주 아래 있나니 기록된 바 누구든지 율법 책에 기록된 대로 온갖 일을 항상 행하지 아니하는 자는 저주 아래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여섯째로, 율법 행위에 속한 자들 즉 율법을 지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하는 자들이 저주 아래 있다는 사실은 율법주의가 잘못임을 증거한다. 신명기 27:26,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 실행치 아니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이 세상에서 모든 율법을 항상 지키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예수님 믿고 구원 얻은 성도라도 그렇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율법을 지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는 자들은 다 저주 아래 있을 수밖에 없다. [11-12절] 또 하나님 앞에서 아무나 율법으로 말미암아 의롭게 되지[의롭다 하심을 얻지] 못할 것이 분명하니 이는 의인이 믿음으로 살리라 하였음이니라. 율법은 믿음에서 난 것이 아니라. 이를 행하는 자는 그 가운데서 살리라 하였느니라. 일곱째로, 의인이 믿음으로 살리라는 성경말씀(합 2:4)은 율법주의가 잘못임을 증거한다. 율법과 믿음은 다르다. 율법은 “사람이 이를 행하면 그로 인하여 살리라”고 말했다(레 18:5). 율법주의가 맞으려면 의인이 율법을 행함으로 살리라고 말했어야 할 것이다. [13절]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으니 기록된 바 나무에 달린 자마다 저주 아래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율법주의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율법의 저주에서 속량하셨다는 복음의 기본적 진리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사역은 역사적이며 객관적이며 대리적이며 완전한 사역이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의는 완전한 의이었다(롬 10:4).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가 예수님을 믿음으로 받은 의는 완전한 의, 곧 도덕적 완전이며 거기에 무엇이 더 첨가될 것이 없다. 그 의 안에서 그리스도인은 율법의 속박과 저주와 공포로부터의 자유를 누린다. [14절]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아브라함의 복이 이방인에게 미치게 하고 또 우리로 하여금 믿음으로 말미암아 성령의 약속을 받게 하려 함이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의 결과로 예수님 믿는 자들은 두 가지 복을 받는다고 표현된다. 첫째는 아브라함의 복이다. 그것은 특히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을 가리킨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을 믿었고 하나님께서는 이것을 그의 의로 여기셨다. 이와 같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는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 둘째는 성령을 받는 것이다. 성령께서는 죄인들 속에는 오실 수 없고 더욱이 영속적으로 그들 속에 거하실 수 없다. 그러나 그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 속에 오셨고 영원히 거하시며 떠나지 않으실 것이다(요 14:16). 본문은 율법주의, 즉 율법을 온전히 지켜야 구원을 받는다는 사상을 확실하게 반박한다. 첫째로,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죄를 대속(代贖)하기 위해 십자가에 죽으셨다. 둘째로, 우리는 율법을 행함으로가 아니고 예수님을 믿음으로 성령을 받았다. 셋째로, 사람은 율법을 온전히 지켜 의롭다 하심을 얻을 수 없다. 넷째로, 하나님께서 초대교회에 성령의 기적들을 베푸신 것은 신자들이 예수님을 믿었을 때이었다. 다섯째로, 아브라함은 율법을 행함으로가 아니고 하나님을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다. 여섯째로, 율법을 지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하는 자들은 저주 아래 있다. 일곱째로, 성경은 의인이 믿음으로 살리라고 말했다 . 그러므로 율법을 온전히 지켜야 구원받는다는 사상은 잘못이다. 특별히 우리는 세 가지 교훈을 기억해야 한다. 첫째로, 우리는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듯이 하나님께서 보내주신 구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음을 바로 깨닫고 하나님께 참으로 감사해야 한다. 율법의 행위로는 하나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자가 아무도 없다. 우리의 의는 예수님밖에 없다. 예수께서는 우리의 의와 거룩과 구속(救贖)이 되셨다. 이것이 복음이다. 둘째로, 우리는 율법을 행할 때에가 아니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을 때 성령께서 우리 속에 오셨음을 깨닫고 하나님께 참으로 감사해야 한다. 성령께서는 우리의 행위에 근거해서가 아니고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사역에 근거해서 우리 속에 오셨고 영원히 우리 안에 거하시는 것이다. 셋째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을 때 율법의 저주로부터 구원함을 얻은 사실을 바로 깨닫고 하나님께 참으로 감사해야 한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죽으심이 우리를 대신해 율법의 저주를 받으신 것이기 때문에 즉 그의 대속사역 때문에 우리가 율법의 저주로부터 구원을 얻은 것을 의미한다. 율법은 더 이상 우리를 위협하지 못한다. 우리는 율법의 속박과 위협과 공포로부터 자유함을 얻었다. 이것은 믿는 성도들의 기쁨과 평안의 근거이다. 15-29절, 언약, 율법, 믿음 [15-16절] 형제들아, 사람의 예대로 말하노니 사람의 언약이라도 정한 후에는 아무나 폐하거나 더하거나 하지 못하느니라. 이 약속들은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말씀하신 것인데 여럿을 가리켜 그 자손들이라 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하나를 가리켜 네 자손이라 하셨으니 곧 그리스도라. 사람의 언약도 한 번 맺으면 아무나 폐하거나 더하거나 하지 못한다. 하물며, 하나님께서 세우신 언약은 더 확실하게 시행될 것이다. 창세기 22:18에 보면,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네 씨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얻으리라”고 약속하셨다. 여기에 ‘네 씨’라는 단수명사는 아브라함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켰다. 아브라함에게 주신 약속은 이삭에게도(창 26:4) 야곱에게도(창 28:14) 반복되었다. [17절] 내가 이것을 말하노니 하나님의[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전통본문) 9) 미리 정하신 언약을 430년 후에 생긴 율법이 없이하지 못하여 그 약속을 헛되게 하지 못하리라. 율법이 언약보다 430년 후에 세워졌다는 것은 야곱 때로부터 시내산에서 율법을 받은 때까지 계산한 것이다(출 12:40-41). 아브라함에게 주신 약속이 그의 아들 이삭과 손자 야곱에게도 동일하게 주어졌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하나님께서 열조들에게 세우신 언약을 430년 후에 주신 율법이 폐하지 못한다. 그러면 율법은 다른 목적이 있었다. [18절] [이는] 만일 그 유업이 율법에서 난 것이면 약속에서 난 것이 아니리라[아닐 것이나]. 그러나 하나님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아브라함에게 은혜로 주신 것이라[것임이니라].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시고 은혜로 주신 ‘유업’은 가나안 땅을 가리킨다. 그는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실 때 가나안 땅을 그와 그 자손들에게 주실 것을 약속하셨었다(창 12:7; 13:15; 15:18; 17:8). 이와 같이,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을 유업으로 얻은 것은 율법을 지킴으로써가 아니었고 은혜의 약속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그들은 율법의 행위로가 아니고 약속으로 그 땅을 얻었다. 이 사실은 후에 주신 율법이 하나님의 약속을 폐지할 수 없다는 사실을 증거한다. [19절] 그런즉 율법은 무엇이냐? 범법함을 인하여 더한 것이라. 천사들로 말미암아 중보의 손을 빌어 베푸신 것인데 약속하신 자손이 오시기까지 있을 것이라. 율법은 사람들의 범죄 때문에 주어진 것이고 그 역할은 사람의 죄를 깨닫게 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천사들로 말미암아 중보자의 손을 빌어’ 주셨다. 여기에 ‘중보자’는 모세를 가리켰다고 본다.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통하여 율법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셨다(신 5:5; 요 1:17). 그는 율법을 주실 때 천사들을 사용하셨다(행 7:53; 히 2:2). 율법의 유효 기간은 ‘약속하신 자손, 즉 그리스도께서 오시기까지’이다. 오늘 우리는 율법 제도 아래 있지 않고, 율법의 저주 아래 있지도 않다. 그 이유는 약속하신 그리스도께서 오셨고 그가 우리의 죄를 담당하심으로 우리를 율법의 저주에서 건져주셨기 때문이다. [20절] 중보는 한편만 위한 자가 아니나 오직 하나님은 하나이시니라. 중보는 한편만 위하지 않고 양편을 위해 중간 역할을 하는 자이다. 그 양편은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이다. ‘오직 하나님께서는 하나이시니라’는 말씀은 이스라엘의 족장들에게 약속을 주신 자도 하나님이시요 모세를 통해 율법을 주신 자도 하나님이시라는 뜻이다. [21절] 그러면 율법이 하나님의 약속들을 거스리느냐?[거스르느냐?] 결코 그럴 수 없느니라. [이는] 만일 능히 살게 하는 율법을 주셨더면 의가 반드시 율법으로 말미암았으리라[말미암았을 것임이니라]. 율법은 하나님의 약속을 폐지할 수 없고 율법과 언약은 서로 모순될 수 없다. 왜냐하면 둘 다 하나님께서 주셨기 때문이다. 만일 하나님께서 능히 살게 하는 율법을 주셨다면, 의가 반드시 율법으로 말미암아 왔을 것이지만, 그렇지 않은 것을 보면 하나님께서 율법을 주신 것은 다른 목적이 있으셨다. 우리는 율법의 참 목적을 알아야 한다. [22절] 그러나 성경이 모든 것을 죄 아래 가두었으니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은 약속을 믿는 자들에게 주려 함이니라. 율법의 목적은 사람으로 죄를 깨닫게 하는 데 있다. 성경은 모든 인류를 죄 아래 가두었다. 모든 사람은 하나님 앞에서 죄인이다. 특히 율법에 비추어 그러하다. 또 하나님께서 율법을 통해 사람으로 죄를 깨닫게 하시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와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려 하심이다. 여기에 율법의 중요한 목적이 있다. [23절] 믿음이 오기 전에 우리가 율법 아래 매인 바 되고 계시될 믿음의 때까지 갇혔느니라. ‘믿음이 오기 전에’라는 말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이 오기 전에’라는 뜻이고, ‘계시될 믿음의 때까지’라는 말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구원 얻는 진리를 계시하신 때 즉 신약시대 이전을 의미한다. ‘우리가 율법 아래 매인 바 되었다’는 말은 구약시대의 성도들의 상태를 가리킨다. 구약시대에는 사람들이 율법 제도 아래 있었고 또 율법의 저주 아래(신 27:26) 있었다. 물론, 구약 백성도 의식법에 암시된 하나님의 은혜를 받았다고 보지만, 율법의 엄격한 요구와 조건 아래서 죄에 대한 양심의 가책과 죄의 형벌에 대한 공포를 피할 수 없었을 것이다. 죄의 완전한 속죄와 영원한 의는 아직 미래의 것이었다. [24절] 이같이 율법이 우리를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몽학선생이 되어 우리로 하여금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 ‘몽학선생’이라는 원어( 파이다고고스 )는 ‘어린아이를 학교에 데려다 주고 또 데려오는 종’을 가리킨다 (BDAG) . 사도 바울은 구약 백성을 어린아이 시절에 비유하고, 신약 백성을 성장한 나이에 비유했다. 율법은 사람들로 ‘나는 의가 없는 자이다, 나는 하나님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나는 하나님의 저주 아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고 그럼으로써 그리스도 예수께로 인도한다.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을 얻게 하려 함이다. 율법의 저주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의(義)에 이르는 길이다. 사람에게는 의에 이르는 두 가지의 길이 있었다. 하나는 자기의 의로운 행위로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고 간주되는 길이고, 다른 하나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고 간주되는 길이다. 행위로 의에 이르는 길은 실제로는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길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길밖에 없다. [25절] 믿음이 온 후로는 우리가 몽학선생 아래 있지 아니하도다. ‘믿음이 온 후’라는 말은 시대적으로는 신약시대를 말하며, 개인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된 후를 말한다. 신약시대에 살고 있다 할지라도 그를 믿기 전에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알지 못했고 기껏해야 도덕적으로 최선의 삶을 추구했었다. 그때의 우리의 삶은 범죄와 실수와 불완전한 행위로 인하여 죄책과 불안과 공포 아래 있었다. 그러나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와 주로 믿었고 의롭다 하심을 얻었고 율법의 저주와 공포로부터 자유함을 얻었다. ‘몽학선생 아래 있지 않다’는 말은 ‘율법의 제도 아래 있지 않다’는 말이다. 우리는 더 이상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는 율법의 명령 아래 있지 않다. 우리는 또한 성전 예배를 드리고 제사들과 절기들을 지킬 의무 아래 있지도 않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셔서 율법을 완성하셨고 의식법들이 상징하는 바를 다 이루셨기 때문에, 우리는 더 이상 율법 제도 아래 있지 않다. 우리는 신약 아래 있고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대속 사역으로 이루신 의(義)를 옷 입었다. [26-27절] [이는] 너희가 다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그리스도 예수를 믿음으로] 하나님의 아들이 되었으니[되었음이니 이는] 누구든지 그리스도와 합하여[안으로] 세례를 받은 자는 그리스도로 옷 입었느니라[옷 입었음이니라]. 우리는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요 1:12). 또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즉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와 연합하여 세례를 받은 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죄사함을 받았고 그의 의(義)로 옷 입은 자들이다. 그들은 더 이상 율법 아래, 즉 율법 제도와 그 속박과 공포와 저주 아래 있지 않다. [28절]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주자나 남자나 여자 없이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 이것은 구원의 복, 의(義)의 복,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복을 누림에 있어서 유대인이나 이방인이 차별이 없고 종이나 자유자가 차별이 없고 남성이나 여성이 차별이 없다는 뜻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성도는 다 동등한 구원의 복을 받았고 다 동등한 영적 특권을 누린다. 이 말씀은 물론 가정이나 교회에서의 남녀의 역할의 구별을 부정하는 말씀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성경은 다른 곳에서 그런 구별을 분명히 가르치기 때문이다(고전 14:34-38; 딤전 2:11-15). 그러나 믿음 안에서의 영적 특권은 남녀노소 모두에게 동일하다. [29절] 너희가 그리스도께 속한 자면 곧 아브라함의 자손이요 약속대로 유업을 이을 자니라. 예수 그리스도께 속한 자들,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받아 그와 연합한 성도들은 아브라함의 자손이요 약속대로 기업을 이어받을 자이다. 아브라함의 육신적 자손이 이어받은 기업은 가나안 땅이었으나, 그의 영적 자손들인 신약 성도들이 이어받을 기업은 새 하늘과 새 땅, 곧 천국이다. 베드로전서 1:3-4, “찬송하리로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이 그 많으신 긍휼대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산 소망이 있게 하시며 썩지 않고 더럽지 않고 쇠하지 아니하는 기업을 잇게 하시나니 곧 너희를 위하여 하늘에 간직하신 것이라.” 요한계시록 21:1-2, 7, “또 내가 새 하늘과 새 땅을 보니 처음 하늘과 처음 땅이 없어졌고 바다도 다시 있지 않더라. 또 내가 보매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이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니 그 예비한 것이 신부가 남편을 위하여 단장한 것 같더라,” “이기는 자는 이것들을 유업으로 얻으리라.” 천국은 구원받은 자들이 이어받을 기업이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우리는 죄를 깨달아야 한다. 하나님께서 율법을 주신 것은 우리에게 의의 길을 보이신 뜻도 있지만 그와 더불어 우리의 죄를 깨닫게 하시는 뜻이 있었다. 율법은 사람으로 죄를 깨닫게 하기 위해 주신 것이었다(롬 3:20). 사람이 죄를 깨닫지 못한다면 구주 예수께로 나오지 못하며 구원을 얻지 못할 것이다. 오랜 세월 동안의 구약 역사는 사람이 얼마나 죄악된지를 보여주는 역사이었다. 사람은 심히 부패되었고 무능력해져 있었다. 하나님의 긍휼과 자비가 아니었다면, 그리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사역이 아니었다면, 세상에서는 아무도 죄에서 구원을 받을 수 없었을 것이다. 둘째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만 믿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율법으로 얻을 수 없는 의를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이루셨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은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고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특권을 얻는다. 또 그들은 아브라함에게 약속된 복, 즉 천국과 영생의 복을 누리며 이 땅에서도 하나님께서 주시는 참된 평안을 누린다. 사람이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는 길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길밖에 없다. 그것은 또 영생의 길이며 기쁨과 평안의 길이다. 셋째로, 구원받은 성도들은 의를 행해야 한다. 율법주의는 잘못이다. 사람은 율법을 행함으로 구원을 받을 수 없다. 우리의 행위는 늘 부족하다. 우리의 의는 예수님밖에 없다. 우리가 받은 의는 율법을 다 지킨 것과 같은 의이다. 그러나 우리는 죄만 짓다가 천국 가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부족하지만 열심히 의와 선을 행하다가 천국 가는 것이다. 우리는 이제 죄를 짓는 자가 되지 말고 의와 선을 행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 4장: 아들로서 누리는 자유 1-11절, 아들로서 누리는 자유 [1-3절] 내가 또 말하노니 유업을 이을 자가 모든 것의 주인이나 어렸을 동안에는 종과 다름이 없어서 그 아버지의 정한 때까지 후견인과 청지기 아래 있나니 이와 같이 우리도 어렸을 때에 이 세상 초등학문( 타 스토이케이아 투 코스무 )[이 세상의 초보적인 것들] 아래 있어서 종노릇하였더니. 사도 바울은 이스라엘 백성과 율법의 관계를 부자(富者) 아버지의 재산을 물려받는 아들과 그의 후견인의 관계로 설명한다. ‘이 세상의 초등학문’은 율법을 가리킨다. 아들은 아버지의 유산의 주인이 될 것이지만, 어릴 때는 그 재산을 자기 마음대로 쓰지 못하며 그의 후견인에게 순종해야 한다. 그러나 나이가 되면 그는 자기 권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스라엘 백성은 구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전까지, 즉 구약시대에는 율법 아래 복종해야 했다. [4절]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 나게 하신 것은 율법 아래 있는 자들을 속량(贖良)하시고 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때가 되어 하나님께서는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셨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의 독생자 곧 그의 영원하신 아들이시다(요 1:1; 17:5). 하나님께서는 그 아들을 보내셔서 여자에게서 나게 하셨다. 이것은 구약 예언의 성취이었다. 하나님께서는 아담이 범죄한 후 에덴 동산에서 뱀에게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너의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고 말씀하셨었다(창 3:15). 또 예수 그리스도께서 여자에게서 나셨다는 것은 그가 참 사람으로 오셨음을 의미한다. 요한복음 1:14,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사람의 영혼과 몸을 가진 참 사람으로 오셨다. 하나님의 아들께서는 또한 율법 아래 나셨다. 그는 나신 지 팔일 만에 할례를 받으셨다. 그것은 그가 언약 백성이시며 율법을 다 지킬 의무 아래 있으심을 나타낸다. 그는 과연 율법을 다 지키셨고 율법의 의(義)를 다 이루셨다. 그가 율법 아래 나신 목적은 율법 아래 있는 자들을 속량(贖良)하시기 위해서이었다. ‘율법 아래 있는 자들’이란 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을 다 가리킨다. ‘속량(贖良)한다’는 말은 값을 주고 사서 건져내어 자유하게 하신다는 뜻이다. 또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 하셨다. ‘아들의 명분’이라는 원어( 휘오데시아 uiJoqesiva )는 ‘양자 됨 즉 양자의 자격’을 뜻한다. 구약시대는 하나님의 백성이 율법 아래 있었다. 그러나 신약시대는 하나님의 백성이 더 이상 율법 아래 있지 않다. 그들은 장성하여 더 이상 후견인 아래 있지 않는 아들과 같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얻었다(요 1:12). 우리는 하나님의 양자(養子)가 되었고(롬 8:15-16)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자유와 특권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6절] 너희가 아들인 고로 하나님이 그 아들의 영을 우리 마음 가운데 보내사 아바 아버지라 부르게 하셨느니라.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이 된 증거는 하나님께서 그 아들의 영을 우리에게 보내셨다는 사실이다. ‘그 아들의 영’은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人性)의 영이 아니고 그의 신성(神性)의 영을 가리킨다. 그것은 우리 속에 오신 성령님을 가리킨다. 성령께서는 하나님의 영이신 동시에 하나님의 아들의 영, 곧 예수 그리스도의 영이시다. 그는 하나님께서 보내신 영인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내신 영이시다. 요한복음 15:26, “내가[예수께서] 아버지께로서 너희에게 보낼 보혜사.” 성령께서 우리 속에 오신 증거는 우리가 하나님을 향해 ‘ 아바 아버지’라 부르게 된 사실이다. 로마서 8:15-16, “너희는 다시 무서워하는 종의 영을 받지 아니하였고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아바 아버지라 부르짖느니라. 성령이 친히 우리 영으로 더불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증거하시나니.” 아바 [ 압바 ]는 아람어로서 어린아이가 자기 아버지를 친근히 부르는 말이다. 우리는 영원 전부터 스스로 계신 여호와 하나님, 세상의 창조자, 섭리자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르게 되었다. [7절] 그러므로 네가 이 후로는 종이 아니요 아들이니 아들이면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유업을 이을 자[그리스도로 말미암은 하나님의 상속자] 10) 니라. 신약 성도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되었고 하나님의 자녀들은 하나님의 기업을 상속받을 자이다. 예수님 믿고 구원받은 자들은 아들로서의 자유와 권리, 특히 기업상속자로서의 권리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그 기업은 천국이며 거기에 들어가기 위해 영생할 몸으로 부활한다. [8-9절] 그러나 너희가 그때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여 본질상 하나님이 아닌 자들에게 종노릇하였더니 이제는 너희가 하나님을 알 뿐더러 하나님의 아신 바 되었거늘 어찌하여 다시 약하고 천한 초등학문으로 돌아가서 다시 저희에게 종노릇하려 하느냐? 사도 바울은 신약 성도가 또다시 율법 아래 종노릇하는 것이 잘못임을 지적한다. 우리가 과거에는 하나님을 알지 못했고 본질상 하나님이 아닌 것들(이방종교의 종교의식이나 도덕적 규례들)에 종노릇하였었지만, 이제는 하나님을 알 뿐만 아니라 더욱이 하나님의 아신 바가 되었는데, 우리가 어떻게 무지하게 행동할 수 있겠는가? 우리가 어떻게 다시 약하고 천한 초등학문, 즉 율법으로 돌아가서 그것에게 종노릇할 수 있겠는가? 사람은 율법으로 하나님 앞에 의인이 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우리가 율법에 대해 바로 안다면, 신약 성도가 율법주의로 돌아가는 것이 잘못이라는 것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율법주의는 명백히 잘못이다. 신약 성도는 율법으로부터 자유함을 얻었다. [10-11절] 너희가 날과 달과 절기와 해를 삼가 지키니 내가 너희를 위하여 수고한 것이 헛될까 두려워하노라. 날과 달과 절기와 해를 지키는 것은 율법주의의 예이다. 깨끗하고 부정한 음식이나 할례의 규례를 지키는 것도 그러하다. 우리가 구약의 의식법을 지키지 않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율법으로부터 건져내어 자유케 하셨기 때문이다. ‘내가 너희를 위하여 수고한 것’이란 하나님의 복음을 전파하여 그들로 믿어 구원받게 한 일을 말한다. 그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救贖)으로 말미암은 의(義)를 얻음이요 율법으로부터의 자유를 얻음이었다. 그런데 이제 그들이 율법주의로 돌아간다면 하나님의 복음의 바른 사역이 헛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복음 진리를 다시 상기시킴으로써 율법주의의 오류에 빠지지 않게 하기를 원하였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음을 확신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와 주님으로 믿는 자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얻는다(요 1:12). 그 증거는 하나님의 아들의 영을 받아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이다. 우리는 이 사실을 확신하자. 둘째로, 우리는 천국 기업을 확신하고 소망하자. 이것은 아브라함에게 주신 복이다. 하나님의 자녀된 모든 자들은 천국을 기업으로 상속받는다. 우리는 영생하는 부활을 하며 천국에서 복된 삶을 누릴 것이다. 셋째로, 우리는 율법주의에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와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 사역으로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었고 영생을 얻었다. 주께서는 우리에게 참 자유와 평안과 기쁨과 힘을 주셨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시 율법의 멍에 아래로 돌아가서는 안 된다. 우리는 성령 안에서 거룩한 삶을 살아야 한다. 12-31절, 자유하는 여자의 자녀 [12절] 형제들아, 내가 너희와 같이 되었은즉 너희도 나와 같이 되기를 구하노라. 너희가 내게 해롭게 하지 아니하였느니라. 사도 바울은 자신이 엄격한 율법 준행의 삶을 버리고 율법에 대해 자유한 이방인처럼 되었듯이 갈라디아 교인들도 율법에 대해 자유하라고 말한다. 물론 이것은 도덕법을 지키지 말라는 뜻이 아니고, 율법의 제도와 속박으로부터 자유하라는 뜻이며, 도덕법을 지킬 때에도 기쁨과 자원함으로 지키는 것을 말한다. 갈라디아 교인들은 이전에 바울을 참으로 위하였지만, 그들이 거짓 교사들에게 미혹되어 복음 진리에서 이탈함으로써 지금 그에게 마음의 큰 고통을 주고 있다. [13-15절] 내가 처음에 육체의 약함을 인하여 너희에게 복음을 전한 것을 너희가 아는 바라. 너희를 시험하는 것이 내 육체에 있으되 이것을 너희가 업신여기지도 아니하며 버리지도 아니하고 오직 나를 하나님의 천사와 같이 또는 그리스도 예수와 같이 영접하였도다. 너희의 복이 지금 어디 있느냐? 내가 너희에게 증거하노니 너희가 할 수만 있었더면 너희의 눈이라도 빼어 나를 주었으리라. ‘내가 처음에 육체의 약함을 인하여 너희에게 복음을 전했다’는 말은 사도 바울이 어떤 몸의 질병 때문에 갈라디아 지방에 머물게 되어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게 되었다는 뜻 같다. ‘너희를 시험하는 것’은 그의 몸의 질병이었을 것이다. 그런 일이 어떤 이들에게는 하나님께서 바울을 버리셨거나 그를 징벌하시는 표처럼 보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갈라디아 교인들은 바울을 업신여기지 않았고 멸시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바울을 하나님의 천사처럼, 그리스도 예수처럼 영접했다. 그들의 이런 행위는 그들이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를 진실히 믿은 증거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처음의 태도가 변하고 있었다. 이전에 그들은 바울을 사랑하여 그를 위해 자신들의 눈까지도 빼어주려 하였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16-17절] 그런즉 내가 너희에게 참된 말을 하므로 원수가 되었느냐? 저희가 너희를 대하여 열심 내는 것이 좋은 뜻이 아니요 오직 너희를 이간 붙여 너희로 저희를 대하여 열심 내게 하려 함이라. 바울과 갈라디아 교인들 간의 간격은 그가 그들에게 복음 진리를 가감 없이 전했다는 사실 때문에 생겼다. 그것은 그들이 거짓 교사들의 말에 미혹되어 복음 진리에서 이탈했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었다. 우리는 복음 진리 안에서 서로 사랑해야 한다. 교회의 일치와 연합은 성경의 바른 진리와 교훈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17절의 ‘저희’는 거짓 교사들, 즉 율법주의자들을 가리킨다. 그들은 갈라디아 교인들을 매우 사랑하는 것 같았으나, 실상 그들의 열심은 좋은 열심이 아니고 나쁜 열심이었다. 그것은 진리 중심의 열심이 아니고 사람 중심의 열심, 자기 중심의 열심이었다. 그들의 열심은 갈라디아 교인들을 바울과 분리시키고 그들을 자기들에게 속하게 하기 위한 열심에 불과했다. 그러나 하나님의 백성을 하나님의 종과 분리시키는 것은 분명히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일이 아니었다. [18-20절] 좋은 일에 대하여 열심으로 사모함을 받음은 내가 너희를 대하였을 때뿐 아니라 언제든지 좋으니라. 나의 자녀들아, 너희 속에 그리스도의 형상이 이루기까지 다시 너희를 위하여 해산하는 수고를 하노니 내가 이제라도 너희와 함께 있어 내 음성을 변하려 함은 너희를 대하여 의심이 있음이라. ‘나의 자녀들’이라는 원어( 테크니아 무 )는 문자적으로는 ‘나의 어린 자녀들’을 가리키지만, ‘나의 사랑하는 자녀들’이라는 의미를 담은 매우 친근감 있는 호칭이라고 한다. 본서에서 여러 번 갈라디아 교인들을 ‘형제들아’라고 불렀던(1:11; 3:15; 4:12, 28, 31; 5:11, 13; 6:1, 18) 바울은 오직 여기서 그들을 ‘나의 어린 자녀들’이라고 불렀다. 이것은 그의 진심의 사랑을 나타낸다고 보인다. 사도 바울은 지금,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에서 떠나 율법으로 돌아가려는 갈라디아 교인들을 다시 복음 진리 위에 세우기 위해 해산의 수고를 하고 있다. 사람에게 전도하고 그를 구원해 복음 진리 위에 바로 세우는 일은 자녀를 낳아 잘 기르는 일 못지 않게 수고로운 일이다. 사도 바울은 갈라디아 교인들 속에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이 만들어지도록 수고한다고 말하고 있다. 신약 성도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고 영생을 얻었고 하나님의 자녀의 신분도 얻었다. 이제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영으로 충만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과 모습을 드러내는 자로 자라가야 한다. 20절에 ‘음성을 변하려 한다’는 것은 사랑과 위로의 음성을 책망의 음성으로 변하려 한다는 뜻일 것이다. 그가 음성을 변하려는 까닭은 그들을 향해 의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의심이 있다’는 원어( 아포레오 ajporevw )는 ‘당황하다’는 뜻도 있다. 바울은 하나님의 복음을 진실히 믿었던 갈라디아 교인들이 속히 변한 일 때문에, 또 하나님의 은혜가 헛된 것 같고 마귀의 역사가 강한 것 같은 상황 때문에, 그들을 향해 의심이 생겼고 당황케 되어 그의 음성을 변하려 하고 있는 것이다. [21-23절] 내게 말하라. 율법 아래 있고자 하는 자들아, 율법을 듣지 못하였느냐? 기록된 바 아브라함이 두 아들이 있으니 하나는 계집종에게서, 하나는 자유하는 여자에게서 났다 하였으나 계집종에게서는 육체를 따라 났고 자유하는 여자에게서는 약속으로 말미암았느니라. 갈라디아 교인들의 문제는 은혜의 복음을 깨닫고 예수님을 믿은 후 다시 율법으로 돌아가려는 것이었다. 이것은 거짓 교사들의 잘못된 가르침 때문에 생긴 일이었다. 바울은 아브라함의 두 아들의 예를 들어 율법에 속한 자와 복음에 속한 자의 차이를 설명한다. 아브라함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다. 하나는 그의 여종 하갈에게서 난 이스마엘이었고, 다른 하나는 그의 아내 사라에게서 난 이삭이었다. 한 사람은 종이었고 다른 한 사람은 자유인이었다. 그의 나이 75세 때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그의 자손이 번창할 것을 약속하셨었다. 그러나 그 후 10년이 지날 때까지 그에게 자식이 없자 아브라함은 그의 아내 사라의 제안으로 그의 여종 하갈을 취해 아들을 낳게 되었는데, 그 아들이 이스마엘이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뜻은 다른 데 있었다. 이스마엘은 하나님의 뜻하신 아들이 아니었다. 하나님께서는 사라를 통해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낳게 하기를 원하셨다. 아브라함이 이스마엘을 얻은 후 15년이 지나 그의 나이 100세가 되었을 때, 하나님께서는 그의 약속하신 대로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주셨다. 그 아들이 이삭이었다. 그러므로 이스마엘은 육체를 따라 난 아들이었고, 이삭은 하나님의 약속을 따라,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으로 얻은 아들이었다. [24-28절] 이것은 비유니 이 여자들은 두 언약이라. 하나는 시내산으로부터 종을 낳은 자니 곧 하가[하갈]라. 이 하가[하갈]는 아라비아에 있는 시내산으로 지금 있는 예루살렘과 같은 데니 저가 그 자녀들로 더불어 종노릇하고, 오직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모두의](전통사본) 11) 어머니라. 기록된 바 잉태치 못한 자여, 즐거워하라. 구로(劬勞)치 못한 자여, 소리 질러 외치라. 이는 홀로 사는 자의 자녀가 남편 있는 자의 자녀보다 많음이라 하였으니 형제들아, 너희는 이삭과 같이 약속의 자녀라. 하갈과 사라는 두 언약과 같다. 하갈은 시내산으로부터 종을 낳은 자 곧 땅의 예루살렘을 가리키고 그것은 율법 아래 있는 구약교회에 해당한다. 그러나 사라는 ‘위에 있는 예루살렘’ 곧 ‘우리 모두의 어머니’라고 표현된다. 그것은 하나님의 복음을 받은 신약교회를 가리킨다. 신약교회를 신자의 어머니라고 부르는 것은 복음을 통해 영혼들이 구원받고 또 구원받은 영혼들이 교회에서 양육받기 때문이다. 이스마엘과 이삭의 차이는 오늘날 유대교와 기독교의 차이이다. 유대교는 아브라함의 육신적 자녀들에 불과하고, 기독교는 하나님의 약속을 따라 난 아브라함의 영적 자녀들이다.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참 자녀들이요 복음의 자유를 가진 자유자들이다. 우리에게는 성령 안에서 받은 의(義)와 영원한 생명이 있고, 하나님의 자녀로서 누리는 자유가 있다. 구약교회는 아브라함의 육신적 자녀들이었다. 그러나 신약교회는 복음을 통해 구원받은 많은 자들, 곧 아브라함의 수많은 영적 자녀들, 약속의 자녀들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주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믿는 우리가 바로 그런 자들이다. [29-31절] 그러나 그때에 육체를 따라 난 자가 성령을 따라 난 자를 핍박한 것같이 이제도 그러하도다. 그러나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뇨? 계집종과 그 아들을 내어쫓으라. 계집종의 아들이 자유하는 여자의 아들로 더불어 유업을 얻지 못하리라 하였느니라. 그런즉 형제들아, 우리는 계집종의 자녀가 아니요 자유하는 여자의 자녀니라. 이스마엘과 이삭은 14살 가량의 차이가 났었다. 성경은 이스마엘이 어린 이삭을 희롱하였다고 기록한다(창 21:9). 자기 아들을 희롱하는 것을 본 사라는 아브라함에게 여종 하갈과 그가 낳은 아들 이스마엘을 내어쫓으라고 요구하였다(창 21:11). 이스마엘은 육체를 따라 난 자이었고 이삭은 약속을 따라 난 자이었다. 신약교회 안에서도 복음을 믿고 하나님의 자녀가 된 것이 아니고 단지 어떤 육신적 관계 때문에 몸만 교회 안에 있는 자들이 있다. 자기 자신은 믿음이 없으면서도 부모가 믿기 때문에 교회에 다니는 자녀가 있다. 구원을 받았거나 구원받기 위해서가 아니고 다른 동기로 교회에 다니는 자도 있다. 중생치 못한 교인들은 때때로 교회를 어지럽히고 다른 성도들을 핍박하기도 한다. 갈라디아 교회 안에 있었던 율법주의 이단자들도 그런 유의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복음을 믿고 전파했던 바울과 성도들을 비난하고 핍박하고 있었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우리는 자유하는 여자의 자녀이다. 아브라함에게는 여종 하갈의 아들 이스마엘과, 아내 사라의 아들 이삭이 있었다. 하갈은 시내산에서 주신 율법을 상징하였고, 사라는 위에 있는 예루살렘 곧 자유자를 상징했다. 그들은 두 언약, 즉 구약과 신약을 대표했고, 율법과 복음을 상징했다. 우리는 자유하는 여자의 자녀들이다. 갈라디아 교회의 문제는 그들이 복음을 받은 후에 다시 율법으로 돌아가 율법을 지킴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율법주의 사상을 전하는 거짓 교사들의 영향 때문이었다. 그러나 율법주의는 다른 복음이며 저주받을 이단사상이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이미 의롭다 하심을 얻었다. 이것이 복음이다. 아무도 이 복음을 변질시켜서는 안 되고 이 복음을 변질시키려 해서도 안 된다. 우리의 의는 예수 그리스도밖에 없다. 거기에 참 자유가 있다. 오늘날도 하나님의 은혜로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고 영생을 얻고 천국에 들어가기를 원하는 자는 누구든지 구주 예수 그리스도만 믿어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을 이루어야 한다. 그것이 성화(聖化)이다. 그것은 지식과 도덕성의 온전함을 목표로 한다. 에베소서 4:13, 15, “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 되어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르리니,” “오직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하여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랄지라. 그는 머리니 곧 그리스도라.” 골로새서 1:28, “우리가 그를 전파하여 각 사람을 권하고 모든 지혜로 각 사람을 가르침은 각 사람을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자로 세우려 함이니.” 우리는 온전한 자가 되어야 한다. 셋째로, 우리는 핍박을 각오해야 한다. 예수님을 믿지 않는 유대인들, 즉 유대교인들, 율법주의자들은 그리스도인들을 핍박하였다. 데살로니가전서 2:15-16, “유대인은 주 예수와 선지자들을 죽이고 우리를 쫓아내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아니하고 모든 사람에게 대적이 되어 우리가 이방인에게 말하여 구원 얻게 함을 저희가 금하여 자기 죄를 항상 채우매 노하심이 끝까지 저희에게 임하였느니라.” 중세시대 이후에는 복음을 믿는 자들이 천주교인들에게 많은 핍박을 받았다. 그러나 참된 성도들은 핍박을 각오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며 충성해야 한다. 5장: 자유자의 삶–사랑 1-12절,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 [1절] 그리스도께서 우리로 자유케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 그러므로 굳세게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 갈라디아서는 그리스도인들의 자유의 대선언이다. 그리스도인들의 자유는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곧 율법의 정죄와 속박으로부터의 자유이다. 이것은 로마서에서도 증거된 진리이다. 로마서 7:6, “이제는 우리가 얽매였던 것에 대하여 죽었으므로 율법에서 벗어났으니 이러므로 우리가 영[성령]의 새로운 것으로 섬길 것이요 의문[율법 조문]의 묵은 것으로 아니할지니라.” 주 예수께서도 “진리[하나님의 복음]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죄로부터] 자유케 하리라”고 말씀하셨다(요 8:32). 죄로부터의 자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의 핵심이다. 이것이 의(義)요 구원이요 생명이다. 이 의, 이 구원, 이 생명을 받은 자는 율법과 죄와 사망으로부터 자유함을 얻었다. 그러므로 바울은 갈라디아 교인들에게와 오늘 우리에게도 복음의 은혜와 자유 안에 굳게 서고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고 교훈한다. 종의 멍에란 율법의 종으로서 짊어졌던 멍에를 가리킨다. 구약시대 곧 율법 제도 아래 있는 자들은 율법의 정죄, 율법의 형벌, 율법의 공포라는 무거운 멍에 아래 있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의 대속(代贖) 사역으로 그 멍에를 제거하시고 우리에게 자유를 주셨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받은 우리는 이 자유 안에 굳게 서고 다시는 율법의 멍에 아래로 돌아가지 말아야 한다. [2-4절] 보라, 나 바울은 너희에게 말하노니 너희가 만일 할례를 받으면 그리스도께서 너희에게 아무 유익이 없으리라. 내가 할례를 받는 각 사람에게 다시 증거하노니 그는 율법 전체를 행할 의무를 가진 자라. 율법 안에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하는 너희는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지고 은혜에서 떨어진 자로다. 갈라디아 교회는 할례를 받아야 할 것인가 아니면 예수 그리스도로 만족할 것인가, 두 갈래 길에 서 있었다. 그것은 다른 말로 말하면 율법을 지킴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으려 할 것인가, 아니면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은 것인가라는 문제이었다. 사도 바울은 이 두 갈래 길에 서서 혼란스러워하는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할례를 받고 율법을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하지 말고, 오직 복음의 은혜 안에 거하며 믿음 안에서 성령을 따라 의와 선을 행하라고 교훈한다. ‘율법 안에서’라는 원어( 엔 노모 )는 ‘율법으로’라는 뜻이다. 사람이 할례를 받는 것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것은 같이 있을 수 없다. 그것은 할례 자체가 나쁜 것이기 때문이 아니라, 할례가 옛 언약의 표이기 때문이다. 옛 언약은 율법을 통해 맺어졌었다. 율법의 요구 조건은 ‘하나님의 모든 법들을 행하라, 그리하면 네가 살리라’는 것이었다. 그것은 율법을 다 지키지 못하면 영원한 저주 아래 있음을 의미한다. 사람이 할례를 받는다는 것은 그가 율법 아래 속하여 율법을 다 지키겠다고 약속하는 것과 같았다. 그러므로 만일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그의 대속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지 않고 율법을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한다면,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와 상관없는 자가 되고 하나님의 은혜에서 떨어지는 자가 될 것이다. [5-6절] [이는] 우리가 성령으로 믿음을 좇아 의의 소망을 기다리노니[기다림이니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는 할례나 무할례가 효력이 없되 사랑으로써 역사하는 믿음뿐이니라[믿음뿐임이니라]. 본문은 신약 성도들이 율법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해서는 안 되는 이유를 보인다. 그 이유는 우리가 성령으로 믿음을 좇아 의의 소망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성령으로’라는 말은 ‘육체로’라는 말과 대조되고, 또 ‘믿음을 좇아’라는 말은 ‘행위를 따라’라는 말과 대조된다. ‘의의 소망’이라는 말은 마지막 심판 때에 의롭다고 인정받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 위에서 죽으시고 삼일 만에 다시 사심으로 우리에게 의가 되셨다. 예수님을 믿는 자는 의롭다 하심을 얻었고 마지막 심판대 앞에서도 의인으로 인정되며 영생을 얻었고 천국에 들어갈 것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는 할례도 무할례도 중요하지 않고 오직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이 중요하다. 믿음은 마음의 순종이기 때문에 참된 믿음은 결코 행함이 없는 죽은 믿음이 아니고, 사랑의 행위로 나타나는 믿음이다. [7-9절] 너희가 달음질을 잘하더니 누가 너희를 막아 진리를 순종치 않게 하더냐? 그 권면이 너희를 부르신 이에게서 난 것이 아니라. 적은 누룩이 온 덩이에 퍼지느니라. 갈라디아 교인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받은 후 신앙생활을 잘했었으나 거짓 선생들의 권면 때문에 복음 진리를 거역하는 자리에 떨어졌다. 그러나 그 권면은 잘못된 것이었다. 복음 진리와 반대되는 권면은 하나님께서 주신 권면이 아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람의 권면을 성경말씀으로 분별해야 한다. 잘못된 권면은 ‘누룩’과 같다. 비록 그 오류가 작게 보일지라도 적은 누룩이 온 덩이에 퍼지듯이 잘못된 권면은 온 교회를 부패시키고 변질시킨다. 작은 오류가 교회 전체를 부패시키고 변질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교회 안에 들어온 작은 오류를 작게 여기지 말고 신중히 대처해야 한다. [10절] 나는 너희가 아무 다른 마음도 품지 아니할 줄을 주 안에서 확신하노라. 그러나 너희를 요동케 하는 자는 누구든지 심판을 받으리라. 비록 이단이 갈라디아 교회 안에 들어왔고 심각한 탈선이 일어났지만, 바울은 사랑하는 교인들이 복음 진리와 배치되는 다른 마음을 품지 아니할 줄 확신하였다. 예수께서는 “내 양은 내 음성을 들으며 나는 저희를 알며 저희는 나를 따르느니라”고 말씀하셨다(요 10:27). 갈라디아 교인들이 참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양들이라면, 그들은 사도 바울이 다시 강조하는 바른 복음 진리의 교훈에 귀를 기울일 것이다. 그러나 그들을 요동케 한 자들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것이다. [11-12절] 형제들아, 내가 지금까지 할례를 전하면 어찌하여 지금까지 핍박을 받으리요? 그리하였으면 십자가의 거치는 것이 그쳤으리니 너희를 어지럽게 하는 자들이 스스로 베어버리기를 원하노라. 사도 바울은 할례를 전하지 않고 오직 바른 복음 진리를 전하는 것 때문에 핍박을 받았다. 만일 그가 할례를 전했더라면, 핍박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핍박 때문에 하나님의 진리를 변질시키거나 잘못된 사상과 타협지 않았다. 진리에 관한 한, 바울은 비타협적이었다. 이만큼 이 문제는 중요했다. 곡식과 가라지는 분명히 구별된다. 갈라디아 교회에 들어온 거짓 교사들은 참 교회에 속한 자들이 아니었다.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에서 끊어져야 할 자들이었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신 자유 안에 굳게 서야 한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고(2:16) 율법의 저주에서 구원을 얻었다(3:13). 이것이 우리가 누리는 자유이며 이것은 율법[율법 제도]으로부터의 자유이며 율법의 정죄와 저주와 공포로부터의 자유이다. 예수님 믿고 의롭다 하심을 얻은 우리는 하나님께서 주신 이 자유의 은혜 안에 굳게 서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율법 안에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해서는 안 된다. 율법 안에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는 것이 율법주의이며 그런 사람은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지고 은혜에서 떨어진다. 그것은 다른 복음이다. 그것은 작은 누룩 같을지라도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큰 오류이다. 셋째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는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이 중요하다. 우리가 예수님을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게 된 그 믿음은 행함이 없는 죽은 믿음이 아니다. 행함이 없는 믿음은 그 자체가 죽은 것이다(약 2:17, 26). 참된 믿음은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이다. 13-18절, 성령을 좇아 행하라 [13-14절] 형제들아, 너희가 자유를 위하여 부르심을 입었으나 그러나 그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고 오직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하라. [이는] 온 율법은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몸같이 하라 하신 한 말씀에 이루었나니[이루었음이니]. 그리스도인은 자유를 위해 부르심을 받았다. 복음 안에서의 자유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우리의 의를 이루시고 우리를 율법의 저주로부터 자유케 하신 것을 말한다. 율법으로부터의 이 자유가 갈라디아서의 중심 주제이며 복음의 은혜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은 그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아야 한다. 하나님께서 주신 자유는 죄를 지으라고 주신 자유가 아니다. 우리는 이 자유를 죄를 짓는 데 써서는 안 된다. 사도 바울은 로마서에서도, “너희는 죄로 너희 죽을 몸에 왕노릇하지 못하게 하여 몸의 사욕을 순종치 말고 또한 너희 지체를 불의의 병기로 죄에게 드리지 말고 오직 너희 자신을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산 자같이 하나님께 드리며 너희 지체를 의의 병기로 하나님께 드리라”고 교훈했다(롬 6:12-13). 사도 바울은 우리가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해야 한다고 교훈한다. ‘서로 종노릇하라’는 말은 상대방이 나의 주인이요 나는 그의 종인 것처럼 서로 섬기라는 뜻이다. 우리가 사랑으로 서로 섬겨야 하는 것은 사랑이 율법의 완성이기 때문이다. 율법의 요구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으로 요약된다(마 22:37-40). 사랑은 상대를 섬기는 행위로 나타난다. 주님의 비유에서, 선한 사마리아인은 강도 만나 죽게 된 사람을 도왔고 섬겼다(눅 10:33-35). 예수께서도 자신이 세상에 오신 목적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고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의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라고 말씀하셨다(마 20:28). 사랑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않는 것이며(고전 13:5), 친구를 위해 자기의 목숨까지도 버릴 수 있는 것이다(요 15:13). [15절] 만일 서로 물고 먹으면 피차 멸망할까 조심하라. ‘서로 물고 먹는다’는 것은 상대방을 헐뜯고 비난하는 것을 말한다. 남을 비난하는 것은 그를 사랑하지 않고 미워하는 데서 나온다. 미움은 마음의 살인과 같다. 상대를 미워하여 헐뜯고 비난하는 것은 상대를 죽이는 것과 같다. 서로 그렇게 하면 피차 멸망할 것밖에 없다. 그것은 가정에서도, 교회에서도, 국가에서도, 온 세계에서도 진리이다. 예수께서는 “스스로 분쟁하는 나라마다 황폐하여질 것이요 스스로 분쟁하는 동네나 집마다 서지 못하리라”고 말씀하셨다(마 12:25). 하나님의 은혜로 자유를 얻은 우리가 상대를 헐뜯고 비난한다면 그 자유를 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그것을 죄의 기회로 삼는 것이다. 성도도 잠시 남을 미워할 수 있으나 곧 그런 마음을 버려야 한다. 남을 계속 헐뜯고 비난하는 자는 아마 구원받지 못한 자일 것이다. 사도 요한은, “하나님께로서 난 자마다 죄를 짓지 아니하나니 이는 하나님의 씨가 그의 속에 거함이요 저도 범죄치 못하는 것은 하나님께로서 났음이라. 이러므로 하나님의 자녀들과 마귀의 자녀들이 나타나나니 무릇 의를 행치 아니하는 자나 또는 그 형제를 사랑치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께 속하지 아니하니라”고 말했다(요일 3:9-10). [16절] 내가 이르노니 너희는 성령을 좇아 행하라. 그리하면 육체의 욕심을 이루지 아니하리라. 구원받은 성도의 성화(聖化)는 성령을 좇아 행함으로 이루어진다. ‘성령을 좇아’라는 원어( 프뉴마티 pneuvmati )는 ‘성령으로’라는 말인데, ‘성령의 도우심과 인도하심으로’라는 뜻이라고 본다. 성도의 성화(聖化)는 자기 자신의 노력만으로 되지 않는다. 물론 성도는 영적으로 죽은 자가 아니고 새 생명을 얻은 자가 되었으므로 스스로 노력할 수 있고 또 노력해야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성화(聖化)는 성도가 성령을 좇아, 성령의 도우심과 인도하심으로 행할 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성화(聖化)는 하나님의 은혜이다. 바울은 로마서 8:13-14에서도 “너희가 육신대로 살면 반드시 죽을 것이로되 영[성령]으로써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살리니 무릇 하나님의 영으로 인도함을 받는 그들은 곧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말했다. 그리스도인은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는 자이다. 하나님의 백성들이 성령의 도우심과 인도하심으로 의를 행하게 된다는 것은 이미 구약성경에 예언된 바이었다. 에스겔 36:24-28에서, 하나님께서는 “내가 너희를 열국 중에서 취하여 내고 열국 중에서 모아 데리고 고토(故土)에 들어가서 맑은 물로 너희에게 뿌려서 너희로 정결케 하되 곧 너희 모든 더러운 것에서와 모든 우상을 섬김에서 너희를 정결케 할 것이며, 또 새 영을 너희 속에 두고 새 마음을 너희에게 주되 너희 육신에서 굳은 마음을 제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줄 것이며, 또 내 신[영][성령]을 너희 속에 두어 너희로 내 율례를 행하게 하리니 너희가 내 규례를 지켜 행할지라. 내가 너희 열조에게 준 땅에 너희가 거하여 내 백성이 되고 나는 너희 하나님이 되리라”고 약속하셨다. [17절] [이는] 육체의 소욕은 성령을 거스리고[거스르고] 성령의 소욕은 육체를 거스리나니[거스르나니] 이 둘이 서로 대적함으로 너희의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니라. 구원받은 성도 속에는 육체의 소욕과 성령의 소욕의 싸움이 있다. 성도의 싸움은 단순히 육과 영 혹은 영혼의 싸움이 아니다. 성도의 싸움은 인간 본성의 타고난 죄악성과 성령의 싸움이다. 본문에 ‘육체’라는 원어( 사르크스 savrx )는 단지 ‘몸’( 소마 sw’ma )을 가리키지 않고 ‘죄성을 가진 몸’을 가리킨다고 본다. 우리의 싸움은 우리 속에 남은 죄성과의 싸움이다. 성도의 마음 속에는 두 개의 대립되는 원리가 있다. 그것은 몸의 남은 죄성과 영혼의 새로워진 성향이라는 두 원리이다. 후자를, 사도 바울은 로마서 7장에서 ‘속사람,’ ‘마음의 법,’ ‘마음’( 누스 nou'” )[생각]이라고 표현했다(22, 23, 25절). 그러나 중생한 자는 새 마음, 새 성향만으로는 성화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바울은 로마서 7:24에서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고 탄식했던 것이다. 성도는 성령을 좇아 행함으로 몸의 남은 죄성을 극복한다. 이것이 성화의 방법이다. 만일 성도가 성령의 도우심과 인도하심을 받지 못한다면 실패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그가 성령의 도우심과 인도하심을 받는다면, 그는 몸의 죄성과 죄악된 욕심을 극복할 수 있다. [18절] 너희가 만일 성령의 인도하시는 바가 되면 율법 아래 있지 아니하리라. 구원받은 성도가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아 산다면, 그는 율법 아래 있지 않다. ‘너희가 성령의 인도하시는 바가 되면’이라는 말씀은 구원받은 성도를 표현한다. 구원받은 자, 즉 중생한 자,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는 성령을 받았고 그의 인도하심을 받는 자이다. 그러므로 로마서 8:14는 “무릇 하나님의 영으로 인도함을 받는 그들은 곧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말했다. ‘율법 아래 있지 않다’는 말씀은 율법 제도 아래 있지 않다는 뜻이다. 구약의 율법 제도 아래서는, 사람이 율법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했다. 율법의 요구는 한마디로 ‘행하라, 그리하면 살리라’는 것이었다. 구약 아래서 사람들은 율법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여 죄의 무거운 짐을 지고 있었다. 율법은 우리가 죄인인 것을 깨닫게 해줄 뿐, 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율법에 암시된 메시아께서 오셔서 친히 자신의 몸을 십자가에 제물로 내어주심으로 율법의 의(義)를 이루셨다. 그것이 복음이다. 이제 성령께서 오셔서 죄인들로 하여금 이 복음을 믿고 구원받게 하신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성령의 인도하신 바가 되면, 그는 이 의 안에 있고, 또 이 의 안에 있는 자마다 더 이상 율법 아래 있지 않는 것이다. 이 의가 갈라디아서가 강조하는 성도의 자유의 근거이다. 이것은 물론 죄를 맘대로 지어도 된다는 뜻의 자유가 아니다. 그러나 이 자유야말로 성도가 항상 평안하며 기뻐할 수 있는 삶의 보장이다. 그리스도인이 구원받은 후 때때로 실수하여 범죄해도 다시 진심으로 뉘우치며 씻음 받을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의 때문이다. 성도는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얻은 의 때문에 율법의 정죄와 두려움으로부터 자유함을 얻었다. 그가 이미 의롭다 하심을 얻었으므로, 그의 성화(聖化)의 싸움은 승리가 보장된 싸움과 같은 것이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우리는 두 가지 교훈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첫째로,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자유를 죄 짓는 기회로 삼아서는 안 된다. 하나님께서 주신 자유는 결코 자유로이 죄를 지으라고, 죄를 지어도 된다고 주신 자유가 아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자유는 우리가 무거운 짐 진 마음과 두려움을 가지지 말고 기쁨과 감사함으로 의를 행하고 선을 행하며 서로 사랑하며 섬기라고 주신 자유인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믿는 성도들 간에 서로 헐뜯고 비난하는 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죄와 멸망의 길이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주신 자유를 가지고 서로 사랑하며 섬기며 의와 선을 행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성령을 좇아 행함으로 몸의 죄성을 극복해야 한다. 구원받은 성도에게도 몸에 남은 죄성이 있다. 성도 속에 거하시는 성령의 생각과 몸의 남은 죄성은 서로 충돌한다. 성도는 성령의 도우심으로 몸의 죄성을 극복하면서 성화(聖化)를 이룬다. 성도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는 자라면, 그는 더 이상 율법 아래 있지 않다. 비록 그가 때때로 실패할지라도, 그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의로 말미암아 율법의 정죄와 공포로부터 자유함을 얻었다. 그 자유는 성도의 평안과 기쁨과 힘의 원천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령을 좇아 의와 선을 행함으로 몸에 남은 죄성을 극복해야 한다. 19-26절, 육체의 일과 성령의 열매 [19절] 육체의 일은 현저하니 곧 [간음과] 12) 음행과 더러운 것과 호색과. ‘육체의 일’ 즉 죄악된 행위들은 분명하다. 첫 번째 부류는 음란이다. 간음, 음행, 더러운 것, 호색 등은 다 성적인 죄악들이다. 그것은 사람의 죄악들 중에 대표적인 죄악이다. 음란은 부부관계를 벗어난 모든 육체적 관계를 말한다. 성은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아름다운 것이지만, 부부관계에서만 사용되도록 의도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몸의 욕망이 이끄는 대로 악을 범하였고 그것이 음란의 죄악이다. 현대 사회는 매춘과 불륜이 보편화되어 있는 매우 음란한 사회이며 TV나 인터넷 문명은 그것을 더 조장한다. 음란에 대한 최선의 대책은 결혼과 건전한 부부관계이다(고전 7:2-5). 또 독신자들은 시험에 떨어지지 않도록 몸의 욕망을 자극하는 환경을 피하는 것이 지혜이다. [20-21절] 우상숭배와 술수[마술]와. 육체의 일의 두 번째 부류는 우상숭배이다. 우상숭배는 더 근원적 죄악이지만, 음란보다 더 드러나지는 않는 것 같다. ‘우상’은 하나님 아닌 것을 하나님처럼 가치 있게 여기거나 섬기는 것을 말한다. 불교나 유교의 종교적 전통에는 우상숭배적 요소들이 많다. 특히, 제사나 차례는 후손들이 조상에게 화를 받지 않고 복을 받고자 정성과 예법을 갖추는 행위이기 때문에 우상숭배적이다. 미신 혹은 샤머니즘도 우상숭배적이다. 전통 문화나 민속 문화 속에는 이런 요소들이 많다. 결혼과 취직과 승진을 앞두고 점이나 궁합 혹은 사주팔자를 보는 것이 그렇다. 천주교회의 마리아 숭배도 우상숭배이다. 오늘날 사람들이 돈과 육신의 쾌락을 최고 가치로 두는 것도 우상숭배이다. 원수를 맺는 것과 분쟁과 시기와 분냄과 당 짓는 것과 분리함과 이단과 투기와 [살인과]. 13) 육체의 일의 세 번째 부류는 싸움이다. 원수를 맺는 것과 분쟁과 시기와 분냄과 당 짓는 것과 분리함과 이단과 투기와 살인 등의 악들은 다 이웃을 미워하는 데서 나오는 것들이다. 이것은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에 반대된다. 물론, 정당한 싸움, 선한 싸움, 진리의 싸움이 있다. 성경은 우리에게 선한 싸움을 싸우라고 말한다(딤전 1:18). 의와 진리를 위한 싸움은 우리가 치루어야 할 선한 싸움이다. 그러나 그런 싸움 말고 몸의 죄성에서 나오는 싸움이 있다. 남을 시기 질투하고 미워하기 때문에 혹은 자기 명예나 세상 권력이나 물질적 이익 때문에 하는 싸움이 있다. 우리는 성도들 간의 참된 거룩한 교제를 나누어야 하지만, 파당을 만드는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 술취함과 방탕함과 또 그와 같은 것들이라. 육체의 일의 네 번째 부류는 술취함이다. 술취함은 사람을 방탕에 빠뜨린다. 마약도 마찬가지다. 술취함이나 마약은 사람에게서 바른 정신을 빼앗아가고 사람을 비현실적 환각 상태에 빠뜨리고 사람이 책임 있는 인격자로 행동하지 못하게 한다. 술이 가져오는 폐해들은 매우 크다. 술은 몸에 해롭고 살인, 강간, 교통사고 등의 사회적 해악이 크며 경제적 낭비도 크다. 성경 시대에는 술이 어느 정도 허용되었지만, 옛 시대와 달리 오늘날에는 알코올 농도가 매우 높은 술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술을 조금만 마셔도 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아졌다. 그러므로 완전 금주는 성도들에게 좋은 전통이다. 전에 너희에게 경계한 것같이 경계하노니 이런 일을 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것이요. 천국에 못 들어가면 지옥밖에 갈 곳이 없다. 그러므로 이런 죄들을 지은 자들은 다 회개해야 하고 그래야 구원을 받을 수 있다. 사람이 이런 죄들을 회개치 않으면 지옥 형벌을 피할 수 없다. 또 구원받은 성도는 이런 일을 계속 행해서는 안 된다. 비록 일곱 번 넘어졌을지라도 또 다시 일어나 거룩의 열매를 맺어야 한다. 우리의 구원은 죄로부터의 구원이다. 성도가 진정으로 구원받은 자라면, 그는 하나님께서 미워하시는 이런 죄악된 일들을 다 버려야만 한다. [22-23절] 오직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니 이 같은 것을 금지할 법이 없느니라. ‘열매’라는 원어( 카르포스 )는 단수명사이다. 이것은 성령의 아홉 가지 열매가 한 열매의 여러 면인 것을 보인다. 성령의 열매는 분리된 것들이 아니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는 바른 신앙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맺어지는 한 열매의 여러 요소들이라고 생각된다. 성령의 첫 번째 열매는 ‘사랑’이다. 사랑은 최고의 덕이다. 천국은 서로 사랑하는 자들만 거하는 세계이다. 사랑은 하나님 사랑과 사람 사랑을 다 포함한다. 하나님께서 주신 계명의 요점은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며 이웃을 우리의 몸과 같이 사랑하는 것이다. 그것은 가족 사랑, 교인들 간의 사랑, 이웃 사랑, 심지어 원수까지도 사랑하는 사랑으로 나타난다. 성령의 두 번째 열매는 ‘희락’이다. 성도가 들어갈 미래의 천국은 기쁨이 넘친 세계이다(롬 14:17). 범죄함으로 저주받은 세상은 슬픔과 근심 걱정이 많은 세상이지만, 구원받은 우리는 기뻐할 이유를 주 안에서 발견하였고 주 안에 항상 기뻐하게 되었다. 항상 기뻐하는 삶은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원하시는 삶이다(빌 4:4; 살전 5:16). 성령의 세 번째 열매는 ‘화평’이다. 화평은 마음의 평안을 가리킨다. 예수께서는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인생들에게 편히 쉼을 주시려고 오셨다(마 11:28).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참된 평안을 누린다. 화평은 또 다른 사람들과의 화목을 포함한다. 성령을 따라 사는 성도는 남과 싸우지 않고 원수를 맺지 않는다. 성령께서는 우리 속에 참된 평안을 주시고 다른 사람들과 화목하게 하신다. 성령의 네 번째 열매는 ‘오래 참음’이다. 하나님의 약속을 믿는 자는 오래 참고 기다릴 수 있다. 또 이웃을 사랑하는 자는 오래 참을 수 있다. 우리는 모든 일에 조급하지 말아야 하고 쉽게 분노하거나 낙망하지 말아야 한다. 모든 일은 하나님께서 정하신 때가 있다. 우리는 그때를 참고 기다려야 한다. 그 동안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어려운 일들을 주시는 것은 우리로 온전한 인격이 되게 하시기 위함이다. 성령의 다섯 번째 열매는 ‘자비’이다. ‘자비’라는 원어( 크레스토테스 crhstovth” )는 ‘친절함’이라는 뜻이다 (BDAG) . 하나님께서 우리를 향해 친절하시고 자비로우시듯이(롬 2:4; 11:22; 엡 2:7), 우리도 다른 사람들을 향해 친절하고 자비로운 마음을 가져야 한다. 성령의 여섯 번째 열매는 ‘양선(良善)’이다. 양선은 선한 마음이다. 그것은 남에게 영육간의 해를 주지 않고 유익을 주는 마음이다. 우리는 남에게 유익을 주고 교회에 덕을 세우는 언행을 해야 한다. 성령의 일곱 번째 열매는 ‘충성’이다. ‘충성’이라는 원어( 피스티스 )는 ‘믿음’이라는 단어이다. 충성은 믿음이 충만하여 믿을 만한 상태를 가리킨다. 사람에게 있어서 ‘신임성’은 매우 중요한 덕이다. 아무리 많이 배우고 재능이 뛰어나도 믿을 만하지 못한 사람은 무슨 일에 쓰임 받기 어렵다. 맡은 자에게 필요한 것은 충성이며(고전 4:2) 우리는 하나님 앞에 죽도록 충성해야 한다(계 2:10). 성령의 여덟 번째 열매는 ‘온유’이다. ‘온유’라는 원어( 프라오테스 ) (Byz) 는 ‘온유, 겸손’ 등의 뜻이다. 교만은 하나님께서 미워하시는 첫 번째 악이다(잠 6:17). 우리는 모든 교만을 버리고 예수님의 품성(마 11:29)인 온유와 겸손의 덕을 가져야 한다. 성령의 아홉 번째 열매는 ‘절제’이다. 절제는 우리의 삶의 여러 면에 관계된다. 이것은 일차적으로 술이나 오락에 적용되지만, 그것은 우리의 감정이나 시간과 물질 사용에도 적용된다. 하나님께서 주신 정당한 욕구나 즐거움은 죄가 아니지만, 그것을 과도하게 추구하거나 거기에 빠지는 것은 나쁘다. 잠언 16:32는 노하기를 더디하고 자기의 마음을 다스리는 자가 성을 빼앗는 용사보다 낫다고 말했다. 23절 끝에, “이 같은 것을 금지할 법이 없느니라”는 말은 “이 같은 것을 율법이 거스르지 못하느니라”는 뜻이다. 성령의 열매는 율법에 반대되지 않고 오히려 일치된다. 성령의 열매는 실상 율법의 성취이다. 우리는 성령을 따라 행함으로 율법의 요구 를 이룬다. 그러므로 로마서 8:4는, “육신을 좇지 않고 그 영[성령]을 좇아 행하는 우리에게 율법의 요구를 이루어지게 하려 하심이니라”고 말하였다. [24절] 그리스도 예수의 사람들은 육체와 함께 그 정과 욕심을 십자가에 못박았느니라. ‘그리스도 예수의 사람들’이란 구원받은 성도들 곧 그리스도인들을 가리킨다.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구속(救贖)받은 자들이며 그에게 속하고 그와 연합된 자들이다. 그들은 육체와 함께 그 정과 욕심을 십자가에 못박았다. 여기에 ‘육체’라는 말은 죄성을 가진 몸을 가리킨다. ‘정과 욕심’은 죄악된 감정과 욕심을 말한다. 우리는 언제 우리의 ‘정과 욕심’ 즉 우리의 죄악된 감정과 욕심을 십자가에 못박았는가?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대신해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셨을 때 그렇게 되었다. 우리는 그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다. 우리는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었을 때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 [25절] 만일 우리가 성령으로 살면 또한 성령으로 행할지니[행하자]. ‘성령으로 산다’는 말은 성령으로 중생(重生)하여 새 생명으로 산다는 뜻이다. ‘성령으로 행할지라’는 원어( 스토이코멘 stoicw’men )는 ‘성령으로 행하자’ (KJV, NASB) 라고 번역해야 한다. 성령으로 행하는 것은 성령의 감동과 인도하심을 따라 살며 또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된 신구약 성경말씀대로 사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성령으로 새 생명을 얻었을진대, 우리는 성령으로, 성경말씀대로 행해야 한다. [26절] 헛된 영광을 구하여 서로 격동하고 서로 투기하지 말지니라. 헛된 영광은 세상 영광이다. 그것은 세상의 부귀, 권세, 명예 등을 가리킨다. 그것들은 영원하지 못하고 단지 얼마 동안만 누리는 헛된 것들이다. 사람들은 이런 헛된 것들을 탐하여 남을 미워하고 싸우고 죽이고 죽고 또 속이고 속는다. 그러나 우리는 이 세상이나 세상에 있는 것들을 사랑치 말아야 한다(요일 2:15-17). 그것들은 다 헛된 것들이다. 우리는 오직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자들이 되어야 한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우리는 육체의 일들을 회개하고 버리고 멀리해야 한다. 본문에 열거된 열 일곱 가지의 육체의 일들, 즉 죄악들을 행하는 사람들, 그것들을 회개치 않고 거기에 머무는 사람들은 결코 천국에 들어갈 수 없고 지옥에 던지울 수밖에 없다. 그 열 일곱 가지는 음란과 우상숭배와 원수 맺음과 술취함 등 네 부류이며, 음란에 관계된 것이 네 가지, 우상숭배에 관계된 것이 두 가지, 서로 다툼에 관계된 것이 아홉 가지, 술취함에 관계된 것이 두 가지 등이다. 우리는 이런 죄악된 일들을 철저히 회개하고 버리고 멀리해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성령의 열매를 맺는 자들이 되어야 한다. 구원받은 성도들 속에는 성령께서 오셔서 영원히 거하시고 그들을 감동하시고 지도하셔서 바른 길 가게 하신다.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기쁨과 평안과 화평, 오래 참음과 친절과 선함. 믿음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 등의 덕성이다. 사람의 가치는 세상 지식이나 돈의 많음이나 사회적 신분에 있지 않고 경건과 도덕성에 있다. 성도의 가치는 그의 믿음과 성화의 정도, 특히 성령의 열매를 맺는 인격과 삶에 있다. 우리는 헛된 세상의 영광을 구하는 자가 되지 말고 성령의 감동과 인도하심 속에 성경말씀을 다 믿고 성경 교훈을 행하여 성령의 열매를 맺는 성도가 되어야 한다. 6장: 자유자의 삶–선행 1-10절, 선을 행하라 [1절] 형제들아, 사람이 만일 무슨 범죄한 일이 드러나거든 신령한 너희는 온유한 심령으로 그러한 자를 바로 잡고 네 자신을 돌아보아 너도 시험을 받을까 두려워하라[너도 시험을 받지 않도록 하라]. 본문은 ‘신령한 자,’ 곧 구원받고 성령을 받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는 성도가 범죄한 자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지에 관해 교훈한다. 성도는 범죄자를 무관심하게 내버려두지 말고 온유한 심령으로 바로 잡으라고 교훈한다. 바로 잡으라는 말씀은 권면하고 책망하여 바로 잡으라는 뜻이다. 바울은 다른 서신에서 “규모 없는 자들[무질서한 자들]을 권계하라”고 말했고(살전 5:14), 히브리서 3:13은 “오늘이라 일컫는 동안에 매일 피차 권면하여 너희 중에 누구든지 죄의 유혹으로 강퍅케 됨을 면하라”고 말했다. 그러나 본문은 성도가 범죄자를 권면하고 책망하고 바로 잡되 교만하거나 거친 마음으로가 아니고 온유한 심령으로 해야 한다고 교훈하였다. 바울은 디모데후서 2:25에서도 “거역하는 자를 온유함으로 징계할지니 혹 하나님이 저희에게 회개함을 주사 진리를 알게 하실까 하며”라고 말하였다. 본문은 또 성도가 자신도 시험을 받지 않도록 자신을 돌아보라고 교훈한다. 성도 각자가 범죄치 않는 것이 중요하다. 성도 각자의 성화(聖化)가 중요하다. 구원은 죄로부터의 구원이므로, 구원받은 성도에게 당연히 요구되는 것은 죄 안 짓는 거룩한 삶이다. 성도에게 성화가 중요한 까닭은 그가 그것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하며(마 5:16) 하나님을 증거해야 하며(벧전 2:9) 또 다른 사람을 하나님께로 인도해야 하기 때문이다(벧전 3:1). 또 성도가 범죄하면 하나님과의 교제가 끊어지고 설교가 마음에 들어오지 않고 기도의 문이 막히고 마음의 기쁨과 평안과 힘을 잃어버린다. 하나님의 뜻은 우리의 거룩함이다(살전 4:3). 성도의 삶의 한 목표는 죄 안 짓는 것이다. [2절] 너희가 짐을 서로 지라.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하라. “너희가 짐들을 서로 지라”는 것은 남의 드러난 죄들을 이해하고 동정하고 용서하라는 뜻이다. 바울은 우리가 이렇게 함으로써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하라고 말한다. 그리스도의 법은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을 가리킨다. 요한복음 13장에 보면, 주께서는 마지막 유월절 저녁 식사를 하신 후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셨고 그런 다음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을 주셨다. 그가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신 것은 죄의 용서를 상징하였다. 성도가 서로 사랑하는 데 장애물이 있다면, 그것은 상대의 결점에 대한 생각이다. 그러므로 참으로 서로 사랑하려면 상대의 결점에 대한 용서가 선행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성도가 짐을 서로 지듯이 상대의 부족을 용서할 때 서로 사랑할 수 있는 것이다. [3절] [이는] 만일 누가 아무것도 되지 못하고 된 줄로 생각하면 스스로 속임이니라[속임임이니라]. 우리가 짐을 서로 져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우리가 남의 드러난 실수와 범죄를 이해하거나 동정하거나 용서하지 못할 정도로 대단하고 고상한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 비슷하게 부족한 사람이며, 어느 날 우리 자신도 다른 이의 죄와 비슷한 죄를 범할지도 모르는 자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 자신이 대단한 존재인 것처럼 자신을 속이거나 허세를 부리지 말아야 한다. [4-5절] 각각 자기의 일을 살피라. 그리하면 자랑할 것이 자기에게만 있고 남에게는 있지 아니하리니 [이는] 각각 자기의 짐을 질 것임이니라. 우리는 우리 자신을 크게 여기지 말고 각자 자기 일을 살펴야 한다. 만일 우리에게 어떤 자랑거리가 있으면 그것은 우리 자신 안에서만 있고 남과의 관계에서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 자신의 부족을 알기 때문이다. 각 사람은 자신의 약점을 안다. [6절] 가르침을 받는 자는 말씀을 가르치는 자와 모든 좋은 것을 함께 하라. ‘모든 좋은 것’은 현세적인 좋은 것들을 가리킨다. 말씀의 봉사자들의 사역은 귀하고 중요하다. 그것은 하나님의 아들 예수께서 오셔서 행하셨고 지금도 이루시는 일이다. 우리가 영적인 것의 가치를 안다면, 육적인 것을 함께 나누기를 아까워하지 않을 것이다. 구약의 십일조 제도는 성전 봉사자들에게 물질적인 유여함을 주었다.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소득의 10분의 1인 십일조는 하나님께 드려져 레위 지파 사람들의 생활비가 되었다. 한편, 제사장들의 수는 레위인들의 수의 10분의 1에 미치지 못했을 것이지만, 그들은 레위 지파가 받은 십일조의 십일조를 받았다. 또 그들은 십일조 외에도 백성들의 제물들의 일부분을 그들의 몫으로 받았다(민 18:12, 29). 이와 같이, 구약시대의 십일조 제도는 레위 지파 사람들과 제사장들 곧 성전 봉사의 일들에 관계하는 사람들에게 물질적 유여함을 주었다. 이것은 오늘날 교회 운영의 한 원리를 보인다. 물론, 신약시대에는 제사장이나 레위 지파가 없지만, 복음 사역과 교회 일들에 전적으로 일하는 자들이 있다. 그러므로 신약교회가 구약의 십일조 정신으로 교역자들과 교회 직원들에게 물질적으로 공급한다면, 목사들은 성경 연구, 독서, 설교 준비, 전도, 심방 등 하나님의 일들에 전념할 수 있을 것이고, 목사 후보생들은 충실한 신학 교육과 목회 훈련을 받을 수 있을 것이고, 교회 직원들은 교회 일들에 전념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물질적인 유여함이 교회 봉사자들을 해이하고 불성실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님께서 직접 처리하실 문제일 것이다. 성도들 편에서는 구약의 십일조 제도에서 보여주신 정신으로 교회 봉사자들에게 물질적으로 넉넉히 드리는 것이 좋다고 본다. [7절] 스스로 속이지 말라[속지 말라]. 하나님은 만홀히 여김을 받지 아니하시나니 [이는]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거둘 것임이니라]. ‘속지 말라’는 말은 마귀에게나 사람들의 어리석은 생각들에 속지 말라는 뜻이다. 또 ‘하나님이 만홀히 여김을 받지 않으신다’는 말씀은 ‘하나님께서 업신여김을 받지 않으신다’는 뜻이다. 말씀을 가르치는 자들을 대접하는 것은 그들을 보내시고 세우신 하나님을 대접하는 일이다. 하나님께서는 가장 좋은 것을 받으실 만한 분이시다. 바울은 하나님께서 업신여김을 받지 않으신다는 사실의 이유로서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둘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하였다. 심은 것을 거두는 것은 자연 세계나 영적 세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진리이다. 사무엘상 2:30에 보면, 하나님께서는 사사 엘리에게 “나를 존중히 여기는 자를 내가 존중히 여기고 나를 멸시하는 자를 내가 경멸히 여기리라”고 말씀하셨다. 우리가 하나님을 가장 귀하게 생각하면 하나님께서도 우리를 귀하게 여기실 것이다. 주께서는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고 말씀하셨다(마 7:12).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기 원한다면, 우리는 가장 좋은 것으로 하나님을 대접해야 할 것이다. [8절] [이는] 자기의 육체를 위하여 심는 자는 육체로부터 썩어진 것[썩는 것]을 거두고 성령을 위하여 심는 자는 성령으로부터 영생을 거두리라[거둘 것임이니라]. ‘자기 육체를 위해 심는 것’은 육신의 죄성에 이끌려 행하는 행위들을 말한다. 그런 행위들의 결과는 썩는 것 곧 멸망하는 것들이다. 그러나 ‘성령을 위해 심는 것’ 곧 성령에 이끌려 행하는 행위들, 곧 성령의 열매를 맺는 행위들은 영생에 이른다. 이것은 사람이 선한 일들을 행함으로 영생을 얻는다는 뜻이 아니다. 영생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얻는다.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로 영생을 얻는 자는 육체의 죄성을 따라 살지 않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선한 일을 행한다. 그러므로 성경 읽고 기도하는 것, 예배드리고 헌금하는 것, 또 전도하고 선을 행하는 것 등은 결코 헛된 일이 아니다. 그런 일들은 다 영생 얻는 자들의 표요 장차 영생에 들어갈 자들이 마땅히 힘써야 할 일들이다. 또 우리는 우리 자신이 하나님의 일들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고 또 하나님의 일들에 전념하는 교회 봉사자들을 귀히 여겨야 한다. [9절]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피곤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선을 행하는 것은 구원의 열매, 참된 믿음의 열매이다. 그것은 성도의 삶의 목표이다. 디도서 2:14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신 목적이 “선한 일에 열심하는 친 백성이 되게 하려 하심”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우리는 선을 행하다가 낙심하기 쉽다. 남이 우리를 몰라주고 오히려 우리를 비난할 때, 또는 좋은 결과가 금방 나타나지 않을 때, 낙심하기 쉽다. 그러나 우리는 낙심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가 낙심치 말아야 할 이유는 우리가 피곤치 아니하면 때가 이를 때 거둘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정하신 때가 되면, 우리는 좋은 결과를 볼 것이며, 최종적으로도 예수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때 하나님 앞에서 잘했다 칭찬을 들을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상, 우리의 소망은 이 세상에 있지 않고, 오는 세상 곧 새 하늘과 새 땅에 있다. [10절] 그러므로 우리는 기회 있는 대로 모든 이에게 착한 일을 하되 더욱( 말리스타 mavlista)[특히](KJV, NASB) 믿음의 가정들에게 할지니라. 선행의 대상에는 구별이 없다. 우리는 기회 있는 대로 모든 이들에게 선한 일을 해야 한다. 물론, 믿지 않는 자들에게는 구원의 복음을 전하면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특히 믿는 교우들과 가정들에게 선한 일들을 해야 한다. 초대 예루살렘 교회는 이 점에 있어서 좋은 모범이 되었다. 사도행전 2:44-45는 증거하기를, “믿는 사람이 다 함께 있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또 재산과 소유를 팔아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눠주고”라고 했다. 또 사도행전 4:32는, “믿는 무리가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제 재물을 조금이라도 제 것이라 하는 이가 하나도 없더라”고 증거했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우리는 범죄한 자를 온유한 심령으로 바로 잡아야 한다. 우리는 다 부족하며 때때로 우리 자신도 범죄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교만한 마음이나 거친 마음을 가지지 말고 온유한 마음으로 범죄한 자에게 권면하고 책망하고 바로 잡아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우리 자신이 시험에 떨어지지 않도록 자신을 살피며 조심해야 한다. 구원받은 성도는 죄를 안 짓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죄를 안 지으려면 우리는 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시험에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사람이 죄를 안 지으려면 조심해야 한다. 셋째로, 우리는 다른 이의 결점에 대해 이해하고 그를 동정하고 용서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자신의 부족과 연약을 아는 자는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참된 사랑과 용서의 심정이다. 우리는 상대의 허물을 용서함으로써, 서로 사랑하라는 주의 계명을 실천할 수 있다. 넷째로, 가르침을 받는 자는 말씀을 가르치는 자와 모든 좋은 것을 함께 나누어야 한다. 우리가 하나님께 최상의 것을 드리며 그를 섬겨야 하듯이, 우리는 설교자들과 교회 봉사자들을 귀히 여겨야 한다. 다섯째로, 우리는 육신의 죄성을 따라 살지 말고 성령의 감동과 인도하심을 따라 살아야 한다. 그것이 성도가 점점 거룩해지는 길이다. 몸의 죄성을 따라 사는 것은 죄를 짓는 일이요 성령을 따라 사는 것은 의와 선을 행하는 것이다. 이것은 영생에 이르는 성도들의 마땅한 삶이다. 여섯째로, 우리는 기회 있는 대로 모든 사람에게 선을 행해야 한다. 선을 행하는 삶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신 중요한 목적이다. 구원받은 성도는 이 세상 사는 동안 모든 사람에게 선을 행해야 한다. 일곱째로, 우리는 선을 행하다가 낙심치 말아야 한다. 남이 알아주지 않거나 도리어 오해를 당할 때 또 좋은 결과가 금방 나타나지 않을 때 낙심하기 쉬우나, 우리는 때가 되면 하나님께서 이루실 줄 믿어야 한다. 11-18절, 할례냐, 십자가냐? [11절] 내 손으로 너희에게 이렇게 큰 글자로 쓴 것을 보라. 사도 바울은 갈라디아서를 직접 쓴 것 같다. 로마서 같은 서신은 더디오가 대서(代書)하였다(롬 16:22). 바울이 본 서신을 친히 쓸 때 큰 글자로 쓴 것은 아마 그의 눈이 나빠서이었을지도 모르겠다. [12절] 무릇 육체의 모양을 내려 하는 자들이 억지로 너희로 할례 받게 함은 저희가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인하여 핍박을 면하려 함뿐이라. 갈라디아 교회 안에 있는 거짓 교사들은 율법을 행함으로 구원받는다는 율법주의를 가르칠 뿐 아니라, 할례 받은 자라는 모양을 나타내려고 했던 것 같다.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들을 억지로 할례 받게 하고 있었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어떤 확신 때문에가 아니고, 단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인한 핍박을 면하려 함뿐이었다. 그들은 핍박을 피하려고 하나님의 복음, 곧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속죄의 진리를 저버렸던 것이다. [13절] 할례 받은 저희라도 스스로 율법은 지키지 아니하고 너희로 할례 받게 하려 하는 것은 너희의 육체로 자랑하려 함이니라. 할례는 하나님의 언약의 표이므로 할례를 받는다는 것은 그 언약의 내용인 율법을 지키겠다는 서약과 같았다. 그러나 할례를 이미 받았고 또 신자들에게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강요하는 그들도 실상은 율법을 다 지키지 못하고 있었다. 그들이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할례를 받게 하려는 것은 단지 그들의 몸으로 자랑하려는 것뿐이었다. [14절] 그러나 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으니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세상이 나를 대하여 십자가에 못박히고 내가 또한 세상을 대하여 그러하니라. 바울에게는 할례가 아무 의미가 없었다. 그에게는 할례 받은 몸이 아무 자랑거리가 되지 않았다. 사실상, 그의 자랑거리는 오직 한가지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뿐이었다. 그가 복음을 깨닫지 못했을 때에는 세상의 것들이 그에게 크게 생각되었고 자랑할 만한 것들이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았다. 그에게는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밖에 자랑할 것이 없었고 또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그는 빌립보서 3:7-9에서도 잘 증거하기를, “그러나 무엇이든지 내게 유익하던 것을 내가 그리스도를 위하여 다 해(害)로 여길 뿐더러 또한 모든 것을 해로 여김은 내 주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이 가장 고상함을 인함이라. 내가 그를 위하여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배설물로 여김은 그리스도를 얻고 그 안에서 발견되려 함이니”라고 하였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왜 그에게 유일한 자랑거리이었나? 그것은 대속의 십자가이었기 때문이다. 대속(代贖)은 구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나의 죗값과 죄의 형벌을 대신 담당해 주신 일이었다.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이 없었다면 우리는 영원한 지옥 형벌을 받아야 했었다. 우리의 모든 죄를 구주께서 십자가 위에서 담당하셨으므로 과거에 죄악되었던 우리는 그와 함께 십자가에 죽은 것과 같았고 우리는 이제 새로운 피조물로 살아났다.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도 외에 아무것도 우리에게 자랑거리가 되지 않는 것이다. [15절]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전통본문) 14) 할례나 무할례가 아무것도 아니로되[아무 유익이 없으되](전통본문) 15) 오직 새로 지으심을 받은 자뿐이니라[자뿐임이니라]. 십자가 외에 자랑할 것이 없는 이유는 또한 할례나 무할례가 아무 유익이 없었기 때문이다. 할례는 율법 준수의 의무를 보이며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해줄 뿐이지 사람은 율법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지 못한다. 그렇다고 무할례가 유익하다는 말도 아니다. 이방인들의 할례 없음은 그들이 본래 하나님의 언약 밖에 있었으며 소망 없는 자이었고 하나님도 없고 영원한 생명도 없는 자이었음을 의미할 뿐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예수 안에는 할례나 무할례가 아무것도 아니요 새로 지으심을 받은 자뿐이다. 새로 지으심을 받았다는 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받은 새 사람을 가리킨다. 고린도후서 5:17,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것이 되었도다.” 그는 새 생명을 받은 자이다. 성도의 새 생활은 구원받은 증거이다. 그러므로 우리에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으로 주신 구원과 구원받은 새 삶만 의미와 가치가 있다. 이 일을 위해서는 할례도, 무할례도 아무 유익이 없었다. 그리스도 밖의 모든 사람은 할례자나 무할례자나 모두 다 죄인이요 영원한 지옥 불못의 멸망을 피할 수 없는 자이었기 때문이다. [16절] 무릇 이 규례( 카논 kanwvn)[규칙]를 행하는 자에게와 하나님의 이스라엘에게 평강과 긍휼이 있을지어다. ‘이 규례를 행하는 자’라는 말은 ‘이 규칙을 따라 행하는 자’라는 뜻이다. ‘이 규칙’은 은혜의 복음 진리를 가리킨다. 즉 주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사역 안에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의 은혜가 있고 그것이 구원이라는 진리이다. 이것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귀하고 복된 진리이다. ‘이 규칙을 따라 행하는 자’는 이 복음 신앙을 가진 성도를 가리킨다. ‘하나님의 이스라엘’이라는 말은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성도들을 가리켰다고 본다. 신약 성도들은 영적 이스라엘이다. 복음 신앙을 가진 모든 성도들에게 하나님의 평안이 있을 것이다. [17-18절] 이 후로는 누구든지 나를 괴롭게 말라. [이는] 내가 내 몸에 예수의 흔적을 가졌노라[가졌음이니라]. 형제들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 심령에 있을지어다. 아멘. 사도 바울을 괴롭게 한 것은 그의 사도직과 권위를 부정하고 그의 전한 복음을 대항하고 이탈하여 다른 복음을 전하는 것이었다. 바울은 이런 도전 때문에 이 편지를 쓰게 되었다. 바울을 괴롭게 말아야 할 이유는 그가 그 몸에 예수님의 흔적을 가졌기 때문이다. ‘예수님의 흔적’이란 채찍 자국같이 그가 예수님과 그의 복음 때문에 받은 고난의 흔적을 가리킬 것이다. 사도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여한 사역자이었다. 고난의 흔적을 가진 자는 하나님의 참된 종이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우리는 율법주의로 돌아가지 말아야 한다. 할례를 받는 자는 율법을 지켜 구원을 받으려는 자이다. 율법을 지켜야 구원받는다는 율법주의 사상은 하나님의 복음의 왜곡이며 부정이다. 그것은 실상 복음이 아니다. 이신칭의(以信稱義)의 복음 외에 다른 복음은 없다. 다른 복음을 전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다(갈 1:8-9). 사람이 죄인들을 위해 죽으신 구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길 외에는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의 구원을 얻는 길이 없다. 둘째로, 우리는 세상의 것들을 자랑하지 말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만 자랑해야 한다. 세상의 것들은 다 허무하며 우리에게 죄사함과 영생을 주지 못한다. 우리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다. 우리의 의는 이것뿐, 예수님의 피밖에 없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십자가는 우리의 귀한 찬송 제목이며 유일한 자랑이다. 셋째로, 할례나 무할례가 아무것도 아니며 우리가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의에 근거하여 하나님의 은혜로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의 구주와 주님으로 영접하며 믿었을 때 곧 우리의 죽었던 영혼이 다시 살게 되었을 때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다. 그것이 중생(重生) 곧 거듭남이다. 그때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었다. 그 결과,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의 특권을 회복케 되었고 ‘거룩해진 자’ 곧 성도라고 불리게 되었다. 하나님께서는 이들에게 천국과 영생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셨다. 우리는 이 구원과 새 피조물된 사실을 하나님께 항상 감사해야 한다. 미주 1) Byz p 46, 51 B D it d vg syr p cop sa (bo) arm 등에 있음. 2) Byz p 46 א * A 등. 3) Byz p 46 א * A vg ms cop bo Origen lat 등에 있음. 4) Byz א A it d cop sa bo arm Irenaeus lat 1/2 Origen 등이 그러함. 5) Byz latt 등이 그러함. 6) Byz it vg mss 등이 그러함. 7) Byz it vg mss 등이 그러함. 8) Byz C vg cl 등이 그러함. 9) Byz it d vg mss syr p arm 등이 그러함. 10) Byz it d (syr p ) 등이 그러함. 11) Byz A vg mss arm Irenaeus lat Origen lat 6/10 등에 있음. 12) Byz (Irenaeus lat Cyprian) 등에 있음. 13) Byz A C it d vg syr (p) cop bo arm (Cyprian) 등에 있음. 14) Byz א A C it d vg cop sa-mss bo arm mss 등에 있음. 15) Byz lat 등에 있음.

헬라어 갈라디아서 2장 원어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반응형

에페이타 디아 데카테싸론 에톤 팔린 아네벤 에이스 히에로솔뤼마 메타 바르나바 쉼파랄라본 카이 티톤

개역개정,1 십사 년 후에 내가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갔나니

새번역,1 그 다음에 십사 년이 지나서, 나는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으로 올라갔습니다.

우리말성경,1 그 후 14년이 지나서 나는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으로 올라갔습니다.

가톨릭성경,1 그러고 나서 십사 년 뒤에 나는 바르나바와 함께 티토도 데리고 예루살렘에 다시 올라갔습니다.

영어NIV,1 Fourteen years later I went up again to Jerusalem, this time with Barnabas. I took Titus along also.

영어NASB,1 Then after an interval of fourteen years I went up again to Jerusalem with Barnabas, taking Titus along also.

영어MSG,1 Fourteen years after that first visit, Barnabas and I went up to Jerusalem and took Titus with us.

영어NRSV,1 Then after fourteen years I went up again to Jerusalem with Barnabas, taking Titus along with me.

헬라어신약Stephanos,1 επειτα δια δεκατεσσαρων ετων παλιν ανεβην εις ιεροσολυμα μετα βαρναβα συμπαραλαβων και τιτον

라틴어Vulgate,1 deinde post annos quattuordecim iterum ascendi Hierosolyma cum Barnaba adsumpto et Tito

히브리어Modern,1 אחרי כן מקץ ארבע עשרה שנה שבתי ועליתי לירושלים עם בר נבא ואקח אתי גם את טיטוס׃

성 경: [갈2:1]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바울의 사도됨의 인정]

󰃨 십사년 후에 내가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갔노니 – 사도행전에 의하면 바울은 세 번에 걸쳐 예루살렘을 방문하였다. 첫번째 방문은 그가 회심한지 삼년 후에 베드로를 만나기 위한 것이었고(행 9:26), 두번째 방문은 안디옥 교회의 구제 헌금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었으며(행 11:29,30), 세번째 방문은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하는 자신의 사도권을 변증하러 예루살렘 공의회에 참석하기 위한 것이었다(행 15:1 이하). 본절에 나타난 바울의 예루살렘 방문이 이차 방문인지 삼차 방문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견해가 갈라진다. 먼저 두번째 방문이라고 주장하는 견해(Bruce, Calvin)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행 15장의 세번째 방문은 공적 회의에참석한 것이지만, 2절에 의하면 바울은 개인적으로 예루살렘 지도자를 만났으므로 세번째 방문이라고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2) 행 15장에는 디도에 대한 언급이 생략되어 있으나 본절에는 디도와 바나바가 동행(同行)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므로 본구절의 방문은 세번째 방문 이전에 이루어진 것이다. (3) 본절의 ‘다시’를 두번째 방문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견해는, 만일 1:18에 기록된 방문이 첫번째 방문이라면 문맥상 본 구절의 방문이 두번째 방문이라고 추정하는 것은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세번째 방문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Berkhof, Eerdman, Findlay, Robertson). (1) 행 15장과 본장의 주제가 동일하다는 것인데, 두곳 모두에서 ‘이방인 그리스도인들의 할례’를 다루고 있다. (2) 행15장에서 지도자들간의 연합을(행 15:8,9) 강조하고 있는데, 본장에서도 동일하게 연합을 서술하고 있다(9절). (3) 행 15장이나 본장이 모두 유대주의자들에 대하여 단호한 입장을 주장하고있다. 이상의 견해들 가운데 본절이 말하는 바울의 방문이 세번째 방문이라는 것이 더욱 타당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예루살렘 공의회의 연대를 A.D. 49년경으로 보고 바울의 예루살렘 방문 연대를 추정하면 1차는 A.D. 35년, 2차는 A.D. 46년(행11:30;12:25), 3차 방문은 A.D. 49년에 이루어졌다. 여기서 만일 본장의 방문을 2차 방문과 연결시킨다면 바울의 1차 방문은 A.D. 46년에서 14년 전인 A.D. 32년의 되며 또한 그가 회심한 시기는 그보다 3년 전인 A.D. 29년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예수를 만난 때가 예수께서 살아 계실 때이어야 하므로 불가능하다.(2) 두번째 방문을 주장하는 자들은 디도에 대한 언급이 행15장에 없다는 이유로 세번째가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디도에 대한 기록은 사도행전 전체에서 누락되어 있다.(3) 바울이 두번째 방문을 생략한 것은 무슨 속임수나 의도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이방인의 할례 문제를 다루는 본장에서 다른 주제, 즉 가난한 자들에 대한 구제 문제를취급한 두번째 방문에 대하여 언급할 필요성을 못느꼈기 때문이다. (4) ‘다시'(*, 팔린)는 두번째를 뜻하기도 하지만 요 18:27에서 베드로의 세번째 부인과 관련하여 사용되었다. ‘두번째’를 의미하는 헬라어 ‘듀테론'(*)을 쓰지 않고 ‘팔린’을 사용한 것은 단지 방문의 반복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 바나바 – 그는 레위 지파 출신의 유대인으로 구브로에서 태어나 바울보다 먼저 복음을 받아들였던 사람으로서 이방인들에 대한 남다른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그는 예루살렘 교회로부터 안디옥 교회로 파송되었다(행 11:22). 그의 본명은 요셉이었으나 사도들은 그를 ‘권위자’, ‘권위의 아들’, ‘위로의 아들’이라는 의미의 ‘바나바’로 불렀다(행 4:36).그는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자로소(행 11:24) 초대 교회의 헌신적인 지도자였다. 그는 바울을 예루살렘 교회에 소개하고 바울의 체험을 변호하며 함께 사역하였으나 2차 전도 여행을 떠나면서 마가의 동행 문제로 바울과 결별(訣別)하게 되었다(행 15:36-41).

󰃨 디도 – 그는 할례를 받지 아니한 이방인으로서 고린도 교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목회자이다(고후 8;23;12:18). 본절에서 이방인의 할례 문제로 등장하는 그는 바울이 ‘나의 참 아들 디도’라고 말할 만큼 바울의 총애를 받았으며 그에 대한 성경의 마지막 기록은 그가 로마에서 달마디아로 갔다는 것이다(딤후 4:10).

아네벤 데 카타 아포칼륖신 카이 아네데멘 아우토이스 토 유앙겔리온 호 케뤼쏘 엔 토이스 에드네신 캍 이디안 데 토이스 도쿠신 메 포스 에이스 케논 트레코 에 에드라몬

개역개정,2 계시를 따라 올라가 내가 이방 가운데서 전파하는 복음을 그들에게 제시하되 유력한 자들에게 사사로이 한 것은 내가 달음질하는 것이나 달음질한 것이 헛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

새번역,2 내가 거기에 올라간 것은 계시를 따른 것이었습니다. 나는 이방 사람들에게 전하는 복음을 그들에게 설명하고, 유명한 사람들에게는 따로 설명하였습니다. 그것은, 내가 달리고 있는 일이나 지금까지 달린 일이 헛되지 않게 하려고 한 것입니다.

우리말성경,2 내가 예루살렘으로 올라간 것은 하나님의 계시를 따른 것으로 나는 이방 사람들에게 전파하는 복음을 그들에게도 제시했습니다. 다만 유명하다 하는 사람들에게는 개별적으로 복음을 제시했는데 이는 내가 달음질하고 있는 것이나 달음질한 것이 헛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가톨릭성경,2 나는 계시를 받고 그리로 올라갔습니다. 그리고 내가 다른 민족들에게 선포하는 복음을 그곳 주요 인사들에게 따로 설명하였습니다.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나 전에 한 일이 허사가 되지 않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영어NIV,2 I went in response to a revelation and set before them the gospel that I preach among the Gentiles. But I did this privately to those who seemed to be leaders, for fear that I was running or had run my race in vain.

영어NASB,2 And it was because of a revelation that I went up; and I submitted to them the gospel which I preach among the Gentiles, but I did so in private to those who were of reputation, for fear that I might be running, or had run, in vain.

영어MSG,2 I went to clarify with them what had been revealed to me. At that time I placed before them exactly what I was preaching to the non-Jews. I did this in private with the leaders, those held in esteem by the church, so that our concern would not become a controversial public issue, marred by ethnic tensions, exposing my years of work to denigration and endangering my present ministry.

영어NRSV,2 I went up in response to a revelation. Then I laid before them (though only in a private meeting with the acknowledged leaders) the gospel that I proclaim among the Gentiles, in order to make sure that I was not running, or had not run, in vain.

헬라어신약Stephanos,2 ανεβην δε κατα αποκαλυψιν και ανεθεμην αυτοις το ευαγγελιον ο κηρυσσω εν τοις εθνεσιν κατ ιδιαν δε τοις δοκουσιν μηπως εις κενον τρεχω η εδραμον

라틴어Vulgate,2 ascendi autem secundum revelationem et contuli cum illis evangelium quod praedico in gentibus seorsum autem his qui videbantur ne forte in vacuum currerem aut cucurrissem

히브리어Modern,2 ואעל שמה על פי מחזה ואשים לפניהם את הבשורה אשר קראתי בגוים וביחוד שמתיה לפני החשובים שבהם פן תהיה לריק מרוצתי אשר ארוץ או רצתי׃

성 경: [갈2:2]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바울의 사도됨의 인정]

󰃨 계시를 인하여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카타 아포칼립신'(*)은 바울의 이방인 선교가 어떠한 인간적인 동기로부터 유래된 것이 아님을 확실히 보여준다. 한편 행 13장에서는 바울이 바나바와 함께 이방인을 위해 파송되는과정이 안디옥 교회의 결정임을 보여준다. 이처럼 바울의 선교 사역이 교회의 결정에의해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본절에서 언급된 바, 바울의 선교 사역의 동기가 하나님의 계시로 말미암았다는 사실은 서로 상반되지 않는다. 바울은 안디옥 교회의 결정 배후(背後)에 하나님의 계시하심이 있음을 확신하였을 것이다(Hendriksen)

󰃨 달음질하는 것 – 바울은 개종 이후부터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파하는 사명을 당시의 운동 경기를 염두에 두어 묘사하였다. 그의 달음질은 향방없는 것이 아니라(고전9:26) 분명하고 확고한 목표를 향한 것이었다.그는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지도자들을 사사로이 만나는 면밀한 계획을 갖기도 하였으며 교회의 화합과 일치를 위해 지도자로서의 사명을 충실히 이행하였다. 결국 변하거나 바울의 달음질을 헛되게 하는 것은 자신이 아니라 갈라디아 교인들이었으므로 본절에는 바울 자신이 유대주의자들의 모든 거짓된 것들을 반드시 고치고야 말겠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알 우데 티토스 호 쉰 에모이 헬렌 온 에낭카스데 페리트메데나이

개역개정,3 그러나 나와 함께 있는 헬라인 디도까지도 억지로 할례를 받게 하지 아니하였으니

새번역,3 나와 함께 있는 디도는 그리스 사람이지만, 할례를 강요받지 않았습니다.

우리말성경,3 나와 함께 있는 디도는 그리스 사람이었지만 억지로 할례를 받도록 강요하지 않았습니다.

가톨릭성경,3 나와 함께 있던 티토는 그리스 사람이었는데도 할례를 강요받지 않았습니다.

영어NIV,3 Yet not even Titus, who was with me, was compelled to be circumcised, even though he was a Greek.

영어NASB,3 But not even Titus who was with me, though he was a Greek, was compelled to be circumcised.

영어MSG,3 Significantly, Titus, non-Jewish though he was, was not required to be circumcised.

영어NRSV,3 But even Titus, who was with me, was not compelled to be circumcised, though he was a Greek.

헬라어신약Stephanos,3 αλλ ουδε τιτος ο συν εμοι ελλην ων ηναγκασθη περιτμηθηναι

라틴어Vulgate,3 sed neque Titus qui mecum erat cum esset gentilis conpulsus est circumcidi

히브리어Modern,3 אבל גם טיטוס אשר אתי אף כי יוני הוא לא הכרח להמול׃

성 경: [갈2:3]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바울의 사도됨의 인정]

󰃨 억지로 할례를 받게 아니하였으니 – 구약에서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시고 ‘언약의 표징’으로 할례를 자손 대대에 이르기까지 거행하도록 명령하셨다(창17:10-14). 그러나 세월이 경과하면서 이스라엘 백성은 할례의 언약적인 의미보다는 종족적이며 문화적인 우월감의 상징으로서 외적인 할례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했다. 급기야는 구원을 위해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사상을 배경으로 하는 교회안의 유대주의자들은 율법을 준수하는 것과 함께 할례를 시행하는 것이 구원의 조건이 된다고 주장하여 이방인 신자들에게까지 할례를 강조했다. 할례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구약 호크마 창 17:1-14의 주제 강해 ‘할례 언약과 세례’, 창 34:25-31의주제 강해 ‘할례 실시에 따른 제반 사항’을 참조하라. 한편 ‘억지로…아니하였으니’의 헬라어 ‘우데…에낭 카스데'(* … )는 할례를 주장하는강한 압력 속에서도 굴하지 아니하는 바울의 굳건한 의지를 나타낸다. 당시 갈라디아교인들이 거짓 교사들의 회유(懷柔)에 말려들어 할례를 중요하게 생각한 상황에서 바울이 할례받지 않은 디도를 유력한 증인으로 내세우는 이유는 디도가 갈라디아 교회의 신임을 받고 있었기 때문임이 분명하다.

디아 데 투스 파레이샄투스 프슈다델푸스 호이티네스 파레이셀돈 카타스코페사이 텐 엘류데리안 헤몬 헨 에코멘 엔 크리스토 예수 히나 헤마스 카타둘로수신

개역개정,4 이는 가만히 들어온 거짓 형제들 때문이라 그들이 가만히 들어온 것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가 가진 자유를 엿보고 우리를 종으로 삼고자 함이로되

새번역,4 몰래 들어온 ㉠거짓 신도들 때문에 할례를 강요받는 일이 있었던 것입니다. 그들은 우리를 노예로 만들고자 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누리는 우리의 자유를 엿보려고 몰래 끼여든 자들입니다. / ㉠그, ‘거짓 형제들’

우리말성경,4 그 이유는 몰래 들어온 거짓 형제들 때문입니다. 그들은 우리를 종으로 삼고자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유를 엿보려고 몰래 들어온 사람들입니다.

가톨릭성경,4 몰래 들어온 거짓 형제들 때문에 문제가 있기는 하였습니다. 그들은 우리를 다시 종으로 만들기 위하여, 우리가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누리는 자유를 엿보려고 몰래 들어온 자들입니다.

영어NIV,4 This matter arose because some false brothers had infiltrated our ranks to spy on the freedom we have in Christ Jesus and to make us slaves.

영어NASB,4 But it was because of the false brethren who had sneaked in to spy out our liberty which we have in Christ Jesus, in order to bring us into bondage.

영어MSG,4 While we were in conference we were infiltrated by spies pretending to be Christians, who slipped in to find out just how free true Christians are. Their ulterior motive was to reduce us to their brand of servitude.

영어NRSV,4 But because of false believers secretly brought in, who slipped in to spy on the freedom we have in Christ Jesus, so that they might enslave us–

헬라어신약Stephanos,4 δια δε τους παρεισακτους ψευδαδελφους οιτινες παρεισηλθον κατασκοπησαι την ελευθεριαν ημων ην εχομεν εν χριστω ιησου ινα ημας καταδουλωσωνται

라틴어Vulgate,4 sed propter subintroductos falsos fratres qui subintroierunt explorare libertatem nostram quam habemus in Christo Iesu ut nos in servitutem redigerent

히브리어Modern,4 מפני אחי השקר הנכנסים בסתר בתוכנו אשר באו לרגל את חרותנו אשר לנו בישוע המשיח למען העבידנו׃

성 경: [갈2:4]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바울의 사도됨의 인정]

󰃨 가만히 들어온 거짓 형제 까닭이라 – ‘거짓 형제’의 헬라어 ‘프슈다델푸스'(*)는 ‘프슈데스'(*)와 ‘아델포스'(*)의 합성어이다. ‘프슈데스’는 ‘거짓 사도'(고후 11:13),’거짓 선지자'(벧후 2:1)등에서 처럼 ‘거짓’이라는 의미를 가진 접두사로 사용되었다. 바울은 본절에서 ‘파레이사크투스'(*,’가만히 들어온’)와 함께 이 말을 사용하여 은밀하고 은근하게 복음을 훼손시키는 거짓 교사들의 교활한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한편 바울이 1:11에서 유대주의자들에게 미혹된 갈라디아 교인들을 ‘형제’라고 부른 것은 그들을 향한 사랑을 표현하지만, 본절에서 유대주의자들을 향하여 ‘거짓 형제’라고 한 것은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는 공동체 속에 그들이 설 자리가 없음을 나타낸다.그러나 그들이 누구인가하는 문제는 쉽지 않다. 그들은 최소한 내부에서 믿음을 배반한 사도들이나 성도들은 아닐 것이다(Lenski).아마 ‘거짓 형제’는 (1)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이방 그리스도인도 할례를 받아야 할 것을 주장하며 모세 율법을 지킬 것을 요구한 자들이거나 (2) 공의회의 결과가 갈라디아와 안디옥 교회에 소개되었다(행 15:30). 그럼에도 불구하고 갈라디아에는 계속해서 교인들을 미혹하는 유대주의자들이 존재했으며 이들은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자유케 된 성도들을 다시 율법 아래로 끌어들이려고 하였다. 더욱이 그들은 신자인 것처럼 가장하여 열심은 있으나 실제로는 복음을 거부하고 교회를 파괴하려고 하였다(고후 11:26;벧후 2:1). 이러한 갈라디아 교회의 형편가운데서 디도가 할례 받지 않고 있다고 하는 것은 자유 얻은 자로 하여금 자유를 잃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다.

호이스 우데 프로스 호란 에잌사멘 테 휘포타게 히나 헤 알레데이아 투 유앙겔리우 디아메이네 프로스 휘마스

개역개정,5 그들에게 우리가 한시도 복종하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복음의 진리가 항상 너희 가운데 있게 하려 함이라

새번역,5 우리는 그들에게 잠시도 굴복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복음의 진리가 언제나 여러분과 함께 있게 하려고 한 것입니다.

우리말성경,5 그러나 우리는 그들에게 잠시도 굴복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복음의 진리가 여러분에게 머물러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가톨릭성경,5 그러나 복음의 진리가 여러분과 함께 길이 머물도록 하려고, 우리는 그들에게 잠시도 양보하지 않았습니다.

영어NIV,5 We did not give in to them for a moment, so that the truth of the gospel might remain with you.

영어NASB,5 But we did not yield in subjection to them for even an hour, so that the truth of the gospel might remain with you.

영어MSG,5 We didn’t give them the time of day. We were determined to preserve the truth of the Message for you.

영어NRSV,5 we did not submit to them even for a moment, so that the truth of the gospel might always remain with you.

헬라어신약Stephanos,5 οις ουδε προς ωραν ειξαμεν τη υποταγη ινα η αληθεια του ευαγγελιου διαμεινη προς υμας

라틴어Vulgate,5 quibus neque ad horam cessimus subiectioni ut veritas evangelii permaneat apud vos

히브리어Modern,5 אשר לא סרנו למשמעתם אף לא שעה אחת למען אשר תעמד בקרבכם אמתה של הבשורה׃

성 경: [갈2:5]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바울의 사도됨의 인정]

󰃨 일시라도 복종치 아니하였으니 – 복종을 요구하던 자는 디도에게 할례를 요구했던 무리들로 국한시켜 이해하기보다는 더욱 광범위한 의미에서 유대주의화를 꾀하던 ‘거짓 형제’들이 라고 보는 것이 나을 것 같다. 사도 바울 일행은 위의 할례를 주장하는자들이나 율법을 강조하는 자들의 견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편 어떤 서방 사본들에서는 ‘호이스우데'(*, ‘…한 자들에게 조금도…않다’)가 생략되어 본 구절이 ‘잠시동안만 복종하였다’는 의미가 된다. 이런 사본에 의하면 바울이 잠시 동안만 평화를 위하여 타협할 수도 있었던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베자(Bezae) 사본을 제외한 모든 언셜(Uncial) 사본과 오래된 파피루스 사본(P46), 그리고 고대 헬라교부의 번역에서 ‘호이스 우데’는 생략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장의 문맥상 바울이 거짓 형제들과 조금이라도 타협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는 지금까지 달려온 길이 헛되지 않게 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할례는 초대 교회의 최대 논쟁이며 또한 복음에 대한 최대의 도전(挑戰)이었다. 이 논쟁 앞에서 바울이 진리를 양보했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Lenski).

󰃨 복음의 진리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헤 알레데이아 투 유앙겔리우'(*)는 본절과 14절에만 나오는 것으로 ‘결함이 전혀 없는 복음'(Lightfoot) 또는 ‘진리가 담겨 있고 진리에 속해 있는 복음'(Burton)이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의미를 가진 복음을 들어 언급하는 것은 디도의 할례 문제는 한 개인의 구원 문제에만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복음의 진리 문제에 직결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아포 데 톤 도쿠톤 에이나이 티 호포이오이 포테 에산 우덴 모이 디아페레이 프로소폰 호 데오스 안드로푸 우 람바네이 에모이 가르 호이 도쿤테스 우덴 프로사네덴토

개역개정,6 유력하다는 이들 중에 (본래 어떤 이들이든지 내게 상관이 없으며 하나님은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아니하시나니) 저 유력한 이들은 내게 의무를 더하여 준 것이 없고

새번역,6 그 유명하다는 사람들로부터 나는 아무런 제안도 받지 않았습니다. -그들이 어떤 사람들이든지, 나에게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겉모양으로 판단하지 않으십니다.- 그 유명한 사람들은 나에게 아무런 제안을 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말성경,6 그 유명하다는 사람들 가운데 어느 누구도 (그러한 사람들이 누구든 간에 내게는 상관이 없습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않으십니다.) 그 유명하다는 사람들은 내게 아무것도 보태 준 것이 없습니다.

가톨릭성경,6 주요하다는 그 인사들 쪽에서는, ─ 그들이 한때 어떤 사람들이었든지 나에게는 아무 상관도 없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사람을 차별하지 않으십니다. ─ 그 주요 인사들은 나에게 아무것도 따로 부과하지 않았습니다.

영어NIV,6 As for those who seemed to be important–whatever they were makes no difference to me; God does not judge by external appearance–those men added nothing to my message.

영어NASB,6 But from those who were of high reputation (what they were makes no difference to me; God shows no partiality)– well, those who were of reputation contributed nothing to me.

영어MSG,6 As for those who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church, their reputation doesn’t concern me. God isn’t impressed with mere appearances, and neither am I. And of course these leaders were able to add nothing to the message I had been preaching.

영어NRSV,6 And from those who were supposed to be acknowledged leaders (what they actually were makes no difference to me; God shows no partiality)–those leaders contributed nothing to me.

헬라어신약Stephanos,6 απο δε των δοκουντων ειναι τι οποιοι ποτε ησαν ουδεν μοι διαφερει προσωπον θεος ανθρωπου ου λαμβανει εμοι γαρ οι δοκουντες ουδεν προσανεθεντο

라틴어Vulgate,6 ab his autem qui videbantur esse aliquid quales aliquando fuerint nihil mea interest Deus personam hominis non accipit mihi enim qui videbantur nihil contulerunt

히브리어Modern,6 ומאת הנחשבים להיות מה יהיו מי שיהיו אינני חושש לזה כי האלהים לא ישא פני איש לי לא הוסיפו החשובים מאומה׃

성 경: [갈2:6]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바울의 사도됨의 인정]

󰃨 유명하다는 이들 중에 – 바울은 세 번에 걸쳐 ‘호이 도쿤데스'(*, ‘유력한 자들’)를 사용하여(2절) 베드로, 요한, 야고보 등 예루살렘의 사도를지칭하였다(9절). 이러한 호칭 후에 곧바로 하나님은 외모로 취하지 않는다고 언급하는 것을 보면 바울이 이 호칭을 풍자적 의미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Cole).

󰃨 내게 더하여 준 것이 없고 – 헬라어 본문에 나와 있는 후치사 ‘가르'(*)는 선행 구절을 보다 충분하게 설명해 주는 삽입구가 시작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구절은 선행 구절에서 제시된 ‘외모를 취하지 않는 하나님’의 속성 때문에 어떤 유명한 자들일지라도 조금도 보탬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바울은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받은 복음이 예루살렘 교회의 사도들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것과 동시에 예루살렘 교회 지도자들이 가르치는 것과 전혀 다른 복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했다.

알라 투난티온 이돈테스 호티 페피스튜마이 토 유앙겔리온 테스 아크로뷔스티아스 카도스 페트로스 테스 페리토메스

개역개정,7 도리어 그들은 내가 무할례자에게 복음 전함을 맡은 것이 베드로가 할례자에게 맡음과 같은 것을 보았고

새번역,7 도리어 그들은, 베드로가 ㉡할례 받은 사람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을 맡은 것과 같이, 내가 ㉢할례 받지 않은 사람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을 맡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유대 사람을 가리킴 ㉢이방 사람을 가리킴

우리말성경,7 오히려 그들은 베드로가 할례받은 사람에게 복음 전하는 일을 맡은 것처럼 내가 할례받지 않은 사람에게 복음 전하는 일을 맡은 것을 알았습니다.

가톨릭성경,7 그들은 오히려 베드로가 할례 받은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을 위임받았듯이, 내가 할례 받지 않은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을 위임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영어NIV,7 On the contrary, they saw that I had been entrusted with the task of preaching the gospel to the Gentiles, just as Peter had been to the Jews.

영어NASB,7 But on the contrary, seeing that I had been entrusted with the gospel to the uncircumcised, just as Peter had been to the circumcised

영어MSG,7 It was soon evident that God had entrusted me with the same message to the non-Jews as Peter had been preaching to the Jews.

영어NRSV,7 On the contrary, when they saw that I had been entrusted with the gospel for the uncircumcised, just as Peter had been entrusted with the gospel for the circumcised

헬라어신약Stephanos,7 αλλα τουναντιον ιδοντες οτι πεπιστευμαι το ευαγγελιον της ακροβυστιας καθως πετρος της περιτομης

라틴어Vulgate,7 sed e contra cum vidissent quod creditum est mihi evangelium praeputii sicut Petro circumcisionis

히브리어Modern,7 ותהי להפך בראותם כי הפקדה לי הבשורה אל הערלים כמו שהפקד כיפא אל המולים׃

성 경: [갈2:7]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바울의 사도됨의 인정]

󰃨 내가 무할례자에게…베드로가 할례자에게 맡음과 같이 한 것을 보고 – 여기서 ‘할례자’와 ‘무할례자’는 구체적인 어떤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유대인과 이방인을 가리킨다(롬 4:9;엡 2:11 등). 유대주의자들은 베드로와 바울이 전하는 복음에 서로 다른 것이 있다고 주장한 것 같다(Lenski). 그러나 바울은 사역상 서로 다른 책임이 있을 뿐 어디까지나 복음의 내용은 동일(同一)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바울이 할례자에게 복음 전하는 자로 열 두 제자 가운데 베드로를 대표로 내세운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정해 볼 수 있다. (1) 베드로가 예루살렘에있는 사도들을 대표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Lenski, Huxtable). 그러나 전자는 타당하지 않다. 그 이유는 베드로가 이방인 고넬료의 가정에 복음을 전했을 뿐만 아니라 가이사랴와 다른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임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행 15:7). 바울 역시 이방인들에게만 복음을 전한 것이 아니라 때로는 예루살렘에 있는 유대인들에게도 복음을 전한바 있다(행 23:11). 그는 또한 예루살렘과 온 유다와 이방인에게까지 복음을 전하는 것이 자신의 사명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으로(행 26:20ff.)보아, 본절에서 바울이 의도하는 바는 이방인의 사도로 부르심을 받는 자신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베드로와 자신이 전파하는 복음의 동질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호 가르 에네르게사스 페트로 에이스 아포스톨렌 테스 페리토메스 에네르게센 카이 에모이 에이스 타 에드네

개역개정,8 베드로에게 역사하사 그를 할례자의 사도로 삼으신 이가 또한 내게 역사하사 나를 이방인의 사도로 삼으셨느니라

새번역,8 그들은, 베드로에게는 ㉣할례 받은 사람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사도직을 주신 분이, 나에게는 ㉤할례 받지 않은 사람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사도직을 주셨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 ㉣유대 사람을 가리킴 ㉤이방 사람을 가리킴

우리말성경,8 베드로가 할례받은 사람의 사도가 되도록 역사하신 분이 내게도 역사하셔서 이방 사람의 사도가 되게 하셨기 때문입니다.

가톨릭성경,8 할례 받은 이들을 위하여 베드로에게 사도직을 수행하게 해 주신 분께서, 나에게도 다른 민족들을 위한 사도직을 수행하게 해 주셨기 때문입니다.

영어NIV,8 For God, who was at work in the ministry of Peter as an apostle to the Jews, was also at work in my ministry as an apostle to the Gentiles.

영어NASB,8 (for He who effectually worked for Peter in his apostleship to the circumcised effectually worked for me also to the Gentiles),

영어MSG,8 (SEE 2:7)

영어NRSV,8 (for he who worked through Peter making him an apostle to the circumcised also worked through me in sending me to the Gentiles),

헬라어신약Stephanos,8 ο γαρ ενεργησας πετρω εις αποστολην της περιτομης ενηργησεν και εμοι εις τα εθνη

라틴어Vulgate,8 qui enim operatus est Petro in apostolatum circumcisionis operatus est et mihi inter gentes

히브리어Modern,8 כי הפעל בכיפא לשלחו אל המולים הוא פעל גם בי לשלחני אל הגוים׃

성 경: [갈2:8]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바울의 사도됨의 인정]

󰃨 그를 할례자의 사도로 삼으신 이 – ‘사도로’의 헬라어 ‘에이스 아포스톨렌'(*)은 베드로의 지도자로서의 자리를 명확하게 인정하는 표현이다. 바울은 베드로보다 가문이나 학문에서 뛰어난 자로소 로마의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으나 자신을 베드로보다 우월한 자로 여기지 않는다. 여기에는 바울의 겸손함이 포함되어 있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바울이 이와 같이 겸손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을 사도로 세우신 이가 동일하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바울은 본절에서 자신을 사도로 세우신 하나님과 베드로를 사도로 세우신 하나님을 동일시함으로 자신의 사도됨을 증거하고 있다. 두 사도 중에 하나는 유대인을 중심으로, 또 하나는 이방인을 중심으로 사역했으나 그들의 사역의 내용은 같은 것이었으며 둘 다 동일한 섭리와 은혜에 의하여(고전15:9,10) 사도로 세우심을 받은 것이다. 따라서 그들에게서 맺어지는 열매도 무할례자이거나 할례자이거나 동일한 것이었다.

카이 그논테스 텐 카린 텐 도데이산 모이 야코보스 카이 케파스 카이 요안네스 호이 도쿤테스 스튈로이 에이나이 뎈시아스 에도칸 에모이 카이 바르나바 코이노니아스 히나 헤메이스 에이스 타 에드네 아우토이 데 에이스 텐 페리토멘

개역개정,9 또 기둥 같이 여기는 야고보와 게바와 요한도 내게 주신 은혜를 알므로 나와 바나바에게 친교의 악수를 하였으니 우리는 이방인에게로, 그들은 할례자에게로 가게 하려 함이라

새번역,9 그래서 기둥으로 인정받는 야고보와 ㉥게바와 요한은, 하나님이 나에게 주신 은혜를 인정하고, 나와 바나바에게 오른손을 내밀어서, 친교의 악수를 하였습니다. 그렇게 하여, 우리는 이방 사람에게로 가고, 그들은 ㉦할례 받은 사람에게로 가기로 하였습니다. / ㉥베드로 ㉦유대 사람을 가리킴

우리말성경,9 기둥같이 여김받는 야고보와 게바와 요한은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은혜를 인정하고 나와 바나바에게 교제의 악수를 청했습니다. 우리가 이방 사람에게로, 그들은 할례받은 사람에게로 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가톨릭성경,9 그리고 교회의 기둥으로 여겨지는 야고보와 케파와 요한은 하느님께서 나에게 베푸신 은총을 인정하고, 친교의 표시로 나와 바르나바에게 오른손을 내밀어 악수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다른 민족들에게 가고 그들은 할례 받은 이들에게 가기로 하였습니다.

영어NIV,9 James, Peter and John, those reputed to be pillars, gave me and Barnabas the right hand of fellowship when they recognized the grace given to me. They agreed that we should go to the Gentiles, and they to the Jews.

영어NASB,9 and recognizing the grace that had been given to me, James and Cephas and John, who were reputed to be pillars, gave to me and Barnabas the right hand of fellowship, that we might go to the Gentiles, and they to the circumcised.

영어MSG,9 Recognizing that my calling had been given by God, James, Peter, and John–the pillars of the church–shook hands with me and Barnabas, assigning us to a ministry to the non-Jews, while they continued to be responsible for reaching out to the Jews.

영어NRSV,9 and when James and Cephas and John, who were acknowledged pillars, recognized the grace that had been given to me, they gave to Barnabas and me the right hand of fellowship, agreeing that we should go to the Gentiles and they to the circumcised.

헬라어신약Stephanos,9 και γνοντες την χαριν την δοθεισαν μοι ιακωβος και κηφας και ιωαννης οι δοκουντες στυλοι ειναι δεξιας εδωκαν εμοι και βαρναβα κοινωνιας ινα ημεις εις τα εθνη αυτοι δε εις την περιτομην

라틴어Vulgate,9 et cum cognovissent gratiam quae data est mihi Iacobus et Cephas et Iohannes qui videbantur columnae esse dextras dederunt mihi et Barnabae societatis ut nos in gentes ipsi autem in circumcisionem

히브리어Modern,9 וכאשר ידעו יעקב וכיפא ויוחנן הנחשבים לעמודים את החסד הנתן לי נתנו לי ולבר נבא את יד ימינם ונאות כי נלך אנחנו לגוים והמה למולים׃

성 경: [갈2:9]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바울의 사도됨의 인정]

󰃨 기둥같이 여기는 – ‘기둥'(*, 스튈로이)이라는 표현은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다. 탈무드에서는 아브라함, 이삭, 야곱을 이스라엘의 세 ‘기둥'(*,암무딤)이라 하였고 이스라엘의 계약 공동체뿐만 아니라 온 세계가 그들 위에 세워졌다고 한다(Longenecker). 이러한 개념을 사용하여 바울은 야고보와 게바와 요한을 ‘기둥’에 비유한 것 같다. 실제로 그들은 예루살렘 교회를 이끌어가는 권위와 영향력을 가진 지도자들이었다. 바울은 유대주의자들을 향해 의도적으로 히브리적 개념을 도입해 논리를 펴나가면서 세 사도가 갖는 비중(比重)을 강조하였다.

󰃨 야고보와 게바와 요한 – 이 세 사람의 이름을 언급한 것은 공관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님의 제자라는 점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지도자적 입장에 서 있었던 사실에 역점을 둔 것이다(행 15장). 먼저 야고보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바울은 1:19에서 ‘주의 형제 야고보’라고 구체적으로 기록하였으나, 본절에서는 그냥 ‘야고보’라고 칭하고 있다. 이는 본장의 전체 맥락이 예루살렘 공의회를 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시에 야고보는 예루살렘 공의회의 의장이었다(1:19 주석 참조). 바울이 다른 두 사도보다 예수님의 형제 야고보의 이름을 먼저 기록한 것은 우연의 일치라기보다는 당시 예루살렘 교회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는 의장으로서의 야고보를 설명하기 위함인 것 같다(Boice). 그러나 다른 사도들의 이름이 뒤에 나왔다고 해서 예루살렘 교회 속에서 이들의 서열이 정해져 있었다고 볼 수는 없다. 그 다음으로, 바울은 모두 아홉 번에 결쳐 베드로를 언급하는데 일곱번은 ‘게바’라고 불렀으며(14절;1:18;고전 1:12;3:22;9:5;15:5) 두 번은 ‘베드로’로 칭하였다(7,8절). 특히 유대주의자들과 논의할 때 게바라는 이름을 사용함으로써 베드로와 자신의 관계를 오해없이 설명하려 한 것 같다(Huxtable). 끝으로, 요한이 예루살렘 공의회에 참석하였다는 기록은 성경에서 본절에만 나타난다. 그러나 베드로와 요한은 다른 여러 곳에서 함께 등장하며 또한 사역하였다(행 3:1;4:13;8:14 등)

󰃨 교제의 악수를 하였으니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덱시아스 에도칸 코이노니아스'(*)는 ‘교제의 오른손을 주었다’라고 직역된다. 이는 고대 사회에서 우정을 돈독하게 하고 동의한다는 의사 표시였다(Longenecker). 본절에 언급된 다섯 사람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었음이 분명하다.즉 야고보와 게바, 요한은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복음을 전하였고, 바울과 바나바는 이방인을 위한 복음 전파에 주력하였다. 이 두 그룹은 서로 독자적이면서도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는 사역에 협력하였다(행 15:25,26). 이들은 서로의 손을 잡았다는 것은 사적(私的)인 장소에서 서로의 손을 잡았다는 의미보다는 예루살렘 공의회의 공식 석상에서 결의한 사항을 실행할 때에 함께 협력하기 위하여 공식적으로 손을 잡았다는것을 의미한다(Lenski).

모논 톤 프토콘 히나 므네모뉴오멘 호 카이 에스푸다사 아우토 투토 포이에사이

개역개정,10 다만 우리에게 가난한 자들을 기억하도록 부탁하였으니 이것은 나도 본래부터 힘써 행하여 왔노라

새번역,10 다만, 그들이 우리에게 바란 것은 가난한 사람을 기억해 달라고 한 것인데, 그것은 바로 내가 마음을 다하여 해 오던 일이었습니다.

우리말성경,10 다만 그들은 우리에게 가난한 사람을 생각해 달라고 당부했는데 이것은 나 또한 힘써 행해 오던 일입니다.

가톨릭성경,10 다만 우리는 가난한 이들을 기억하기로 하였고, 나는 바로 그 일을 열심히 해 왔습니다.

영어NIV,10 All they asked was that we should continue to remember the poor, the very thing I was eager to do.

영어NASB,10 They only asked us to remember the poor– the very thing I also was eager to do.

영어MSG,10 The only additional thing they asked was that we remember the poor, and I was already eager to do that.

영어NRSV,10 They asked only one thing, that we remember the poor, which was actually what I was eager to do.

헬라어신약Stephanos,10 μονον των πτωχων ινα μνημονευωμεν ο και εσπουδασα αυτο τουτο ποιησαι

라틴어Vulgate,10 tantum ut pauperum memores essemus quod etiam sollicitus fui hoc ipsum facere

히브리어Modern,10 רק שנזכר את האביונים אשר גם שקדתי לעשותה׃

성 경: [갈2:10]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바울의 사도됨의 인정]

󰃨 가난한 자들 – 이에 해당하는 헬라에 ‘톤 프토콘'(*)은 ‘가난’을 뜻하는 일상 용어로서 돈이나 재산이나 생활 수단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는뜻으로 쓰인 단어이다. 신약에서 이 말은 ‘거지’에게도 사용되었으며 (눅 16:20) 주로 물질적으로 풍요롭지 못한 자들에게 사용되었다(마 19:21;눅 19:8;요 13:29). 당시 가난한 자들은 복음 전파의 주요 대상이었다(마 11:5). 예수님은 다른 사람들을 부요하게 하기 위해 스스로 가난한 자가 되셨으며 자신을 찾아온 부자들에게 재산을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주라고 말씀하셨을 뿐만 아니라(마 19:21) 자신과 제자들이 함께 거하는 공동체 속에 가난한 자들을 돕기 위해 준비된 공동궤를 가지고 있었다(요13:29). 사도행전에 와서는 ‘엔데에스'(*)라는 말이 등장하는데(행 4:34)이는 초대 교회 안의 ‘가난한 자’, ‘궁핍한 자’로서 다른 사람들이 재산을 팔아 나누어준 덕분에 살아가는 자들을 뜻한다. 초대 교회에 있어서 가난한 자들에 대한 구제 문제는 할례와 같이 논쟁의 대상이 아니라 당연히 행하여야 되는 임무로 인식되어 있었다. 가난한 자들에 대한 임무는 공의회의 결정에 의하여 수립된 것이 아니라 구약에서(요 13:29), 또한 초대 교회의 출발부터 교회가 감당했던 사명이다(행 24:17).

󰃨 나도 본래 힘써 행하노라 – 바울은 믿음과 구제 문제를 믿음과 할례 문제처럼 대립시키지 않는다. 바울의 힘써 행하는 구제는 남에게 보이고자 하는 외식적인 것이 아니다. 본절의 구제가 구체적으로 언제인지 알 수는 없으나 바울의 생애 가운데 구제의사건은 여러 번 등장한다. 바울은 바나바와 함께 안디옥 교회가 모은 구제 헌금을 가지고 예루살렘에 올라갔으며(행 11:29,30) 여러 서신서에서 구제에 대하여 강조하였다(행 24;17;롬 15:25-27;고후 8:1-5). 또한 그는 구제에 대한 교훈을 남겼으며(롬12:13;엡4:28;딤전 6:18) 가난한 자들을 돕는 일에 게으르지 말고 그 일을 위하여 정직하게 살 것을 요구한다(엡 4:28). 이러한 삶의 요구는 선행이 신앙의 살아 있는 증거요(약 2:14-17) 신앙 고백의 진실성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요일3:17,18)

호테 데 엘덴 케파스 에이스 안티오케이안 카타 프로소폰 아우토 안테스텐 호티 카테그노스메노스 엔

게바가 안디옥에 이르렀을 때에 책망 받을 일이 있기로 내가 그를 대면하여 책망하였노라

개역개정,11 게바가 안디옥에 이르렀을 때에 책망 받을 일이 있기로 내가 그를 대면하여 책망하였노라

새번역,11 그런데 ㉧게바가 안디옥에 왔을 때에 잘못한 일이 있어서, 나는 얼굴을 마주 보고 그를 나무랐습니다. / ㉧베드로

우리말성경,11 그러나 게바가 안디옥에 왔을 때 그에게 책망할 일이 있어서 얼굴을 마주대하고 그를 책망했습니다.

가톨릭성경,11 그런데 케파가 안티오키아에 왔을 때 나는 그를 정면으로 반대하였습니다. 그가 단죄받을 일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영어NIV,11 When Peter came to Antioch, I opposed him to his face, because he was clearly in the wrong.

영어NASB,11 But when Cephas came to Antioch, I opposed him to his face, because he stood condemned.

영어MSG,11 Later, when Peter came to Antioch, I had a face-to-face confrontation with him because he was clearly out of line.

영어NRSV,11 But when Cephas came to Antioch, I opposed him to his face, because he stood self-condemned;

헬라어신약Stephanos,11 οτε δε ηλθεν πετρος εις αντιοχειαν κατα προσωπον αυτω αντεστην οτι κατεγνωσμενος ην

라틴어Vulgate,11 cum autem venisset Cephas Antiochiam in faciem ei restiti quia reprehensibilis erat

히브리어Modern,11 וכאשר בא כיפא לאנטיוכיא הוכחתי אל פניו דרכו מפני שהיה בו אשם׃

성 경: [갈2:11]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게바를 책망함]

󰃨 내가 저를 면책하였노라 – 여기서 베드로의 행위가 명백하게 잘못된 것으로 드러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사실로 더욱 뚜렷해진다. (1)’면책하였노라’의 헬라어 ‘안테스텐'(*)이 문자적으로 ‘대항하다’, ‘저항하다’ 혹은 ‘반발하다’라는 의미로 베드로의 행위가 ‘복음의 진리’를 훼손(毁損)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2) ‘안텐스텐’의 시제가 부정과거로서 바울이 베드로를 성공적으로 책망했으며 베드로는 바울의 책망에 대항하지 못하고 굴복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Lenski). (3) 더욱이 바울은 베드로를 개인적으로 아니고 공개적으로 면책하며 저지했다는 사실로 베드로의 잘못의 심각성이 더해간다(Hendriksen). 이와 같이 바울은 예루살렘에서 와는 달리 안디옥에서는 베드로보다 높은 위치에 서서 성도들을 대하는 것같이 느껴지는데, 이는 베드로의 잘못이 너무도 명백하여 견책거리가 되기 때문이다(Robertson). 따라서 우리는 여기서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다. (1) 바울이, 신자라면 누구나 소유하고 있는 완전한 동등권을 항상 공격하며 반대하는 유대인들의 좁고 치우쳐 있는 유대 중심적 신앙관에 대항하고 있다는 사실이며(Huxtable) (2) 예루살렘 교회의 그 어떠한 권세자도 하나님 앞에서 잘못을 저지를 수 있으며 나아가 그것에 대하여 책망받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Cole).

프로 투 가르 엘데인 티나스 아포 야코부 메타 톤 에드논 쉬네스디엔 호테 데 엘돈 휘페스텔렌 카이 아포리젠 헤아우톤 포부메노스 투스 에크 페리토메스

개역개정,12 야고보에게서 온 어떤 이들이 이르기 전에 게바가 이방인과 함께 먹다가 그들이 오매 그가 할례자들을 두려워하여 떠나 물러가매

새번역,12 그것은 ㉨게바가, ㉩야고보에게서 몇몇 사람이 오기 전에는 ㉪이방 사람들과 함께 음식을 먹다가, 그들이 오니, 할례 받은 사람들을 두려워하여 그 자리를 떠나 물러난 일입니다. / ㉨베드로 ㉩또는 ‘야고보가 보낸’ ㉪할례 받지 아니한 이방계 그리스도인들을 가리킴

우리말성경,12 게바는 야고보가 보낸 몇몇 사람들이 오기 전에 이방 사람들과 함께 음식을 먹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오자 그는 할례받은 사람들을 두려워해 슬그머니 그 자리를 떠났습니다.

가톨릭성경,12 야고보가 보낸 사람들이 오기 전에는 다른 민족들과 함께 음식을 먹더니, 그들이 오자 할례 받은 자들을 두려워한 나머지 몸을 사리며 다른 민족들과 거리를 두기 시작하였던 것입니다.

영어NIV,12 Before certain men came from James, he used to eat with the Gentiles. But when they arrived, he began to draw back and separate himself from the Gentiles because he was afraid of those who belonged to the circumcision group.

영어NASB,12 For prior to the coming of certain men from James, he used to eat with the Gentiles; but when they came, he began to withdraw and hold himself aloof, fearing the party of the circumcision.

영어MSG,12 Here’s the situation. Earlier, before certain persons had come from James, Peter regularly ate with the non-Jews. But when that conservative group came from Jerusalem, he cautiously pulled back and put as much distance as he could manage between himself and his non-Jewish friends. That’s how fearful he was of the conservative Jewish clique that’s been pushing the old system of circumcision.

영어NRSV,12 for until certain people came from James, he used to eat with the Gentiles. But after they came, he drew back and kept himself separate for fear of the circumcision faction.

헬라어신약Stephanos,12 προ του γαρ ελθειν τινας απο ιακωβου μετα των εθνων συνησθιεν οτε δε ηλθον υπεστελλεν και αφωριζεν εαυτον φοβουμενος τους εκ περιτομης

라틴어Vulgate,12 prius enim quam venirent quidam ab Iacobo cum gentibus edebat cum autem venissent subtrahebat et segregabat se timens eos qui ex circumcisione erant

히브리어Modern,12 כי לפני בא אנשים מאת יעקב היה אכל עם הגוים יחדו וכבאם היה מתרחק ופורש מהם מיראתו את בני המילה׃

성 경: [갈2:12]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게바를 책망함]

󰃨 이방인과 함께 먹다가 – 본 구절은 초대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이 일반적으로 행하던 식탁 교제나 성찬을 가리키는 것같다. 이것이 정식 예배였는지 아니면 비공식적인 그리스도인의 모임이었는지 확실하지는 않다. 본절에서 초대교회 당시 유대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이 이방 출신 그리스도인과의 식사를 꺼린 사실이 나와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었다. (1) 유대인들은 레 11장에 있는 정함과 부정함에 관한 규례를 철저히 지켜왔고 죽음을 각오하면서까지 준수하려 하였다(민 25장, 31장;단 1:8;토비트 1:1-12;마카베오상 1:62). 이들은 그리스도인이 되고 나서도 그 관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게다가 이방인들이 먹는 음식 중에는 레 11장의 정결(精潔) 규례에 위배되는것이 있을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따라서 유대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은 이방 출신의 그리스도인들과 식사를 함께 하지 않으려 했다. (2) 하나님께서 주신 율법들을 부연하고 설명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제한 규정들 때문이다. 이러한 규정들은 그 종류가 대단히 많고 다양했는데 초대교회 당시에는 하나님의 율법 못지않게 존중된 것으로 보인다. 그 실례로 장로들의 유전에는 음식을 먹기 전에 손을 씻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데, 이는 단순히 위생상 이유 때문에서가 아니고 이방 사람들과 접촉하여 부정하게 된손으로 음식을 먹지나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이었다(마 15;1-20;막 7:1-23). 위와같은 이유로 오랫동안 유대인들의 의식 속에는 이방인에 대한 배타심이 굳어져왔다.이러한 것은 사마리아인도 인식하고 있는 일반적인 사실이었다. 예수께서 사마리아 여인에게 물을 달라고 할 때 그 여인은 ‘당신은 유대인으로서 어찌하여 사마리아 여자인나에게 물을 달라 하나이까’라고 대답한다(요 4:7-9). 따라서 유대인이 이방인과 함께 식사를 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이었을 뿐 아니라 대단히 죄악된 행동으로 간주되기까지 했다(Hendriksen). 하지만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구약의 율법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유대인과 이방인 그리스도인이 함께 식사를 하는 것은 실제로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이 그리스도께서 원하시는 것이며 그리스도인이라면 당연히 해야 할 행동이며 삶이다. 예루살렘 공의회는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고 늘어나는 이방 그리스도인에 대해 몇가지 제한 사항을 제시하고 다른 어떠한 율법의 행위로도 짐을 지우지 않는다는 결의를 한 바 있다(행 15:14-21).

󰃨 저희가 오매…두려워하여 떠나 물러가매 – 베드로가 이방 그리스도인과 함께 식사하는 것이 정당함에도 불구하고 베드로는 예루살렘에서 사람이 오자 이방인들과 식사를 하지 않았다. 이러한 그의 행동의 동기는 예루살렘에서의 자신의 위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까 두려워했기 때문이었다(Hendriksen). 또한 베드로가 이방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은 사랑이나 자기 확신에 의해 나온 행동이 아니라 거짓과 위선의 행동이었기 때문에 바울은 베드로의 외식적인 행동를 책망했다.

카이 쉬뉘페크리데산 아우토 카이 호이 로이포이 유다이오이 호스테 카이 바르나바스 쉬나페크데 아우톤 테 휘포크리세이

개역개정,13 남은 유대인들도 그와 같이 외식하므로 바나바도 그들의 외식에 유혹되었느니라

새번역,13 나머지 유대 사람들도 그와 함께 위선을 하였고, 마침내는 바나바까지도 그들의 위선에 끌려갔습니다.

우리말성경,13 그러자 다른 유대 사람들도 게바와 함께 위선을 행했고 바나바까지도 그들의 위선에 휩쓸렸습니다.

가톨릭성경,13 나머지 유다인들도 그와 함께 위선을 저지르고, 바르나바까지도 그들과 함께 위선에 빠졌습니다.

영어NIV,13 The other Jews joined him in his hypocrisy, so that by their hypocrisy even Barnabas was led astray.

영어NASB,13 And the rest of the Jews joined him in hypocrisy, with the result that even Barnabas was carried away by their hypocrisy.

영어MSG,13 Unfortunately, the rest of the Jews in the Antioch church joined in that hypocrisy so that even Barnabas was swept along in the charade.

영어NRSV,13 And the other Jews joined him in this hypocrisy, so that even Barnabas was led astray by their hypocrisy.

헬라어신약Stephanos,13 και συνυπεκριθησαν αυτω και οι λοιποι ιουδαιοι ωστε και βαρναβας συναπηχθη αυτων τη υποκρισει

라틴어Vulgate,13 et simulationi eius consenserunt ceteri Iudaei ita ut et Barnabas duceretur ab eis in illa simulatione

히브리어Modern,13 ויכחשו עמו גם שאר היהודים עד כי בר נבא גם הוא נדח אחרי כחשם׃

성 경: [갈2:13]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게바를 책망함]

󰃨 남은 유대인들도…외식하므로 – 주님의 가장 가까운 제자들 중 한 사람이요 공적인 위치에 있었던 베드로가 한 외식은 유대교의 율법주의와 복음의 자유가 첨예(尖銳)하게 대립되고 있는 초대교회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베드로의 이러한 실수는 단순히 개인적인 외식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1) 다른 사람들 심지어 바나바같은 지도자까지도 외식적인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근거가 되며 (2) 예루살렘 공의회(A.D.49)의 율법 무용론에 대한 결정을 무효화시키는 것이고 (3) 결과적으로는 율법주의에 굴복한다는 위미를 지닌다. 여기서 우리는 공적인 위치에 있는 지도자의 행동의 중요성과 함께 한 사람의 외식적인 행동은 중요성과 함께 한 사람의 외식적인 행동은 다른 사람들에게까지도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 수 있다(막 7:1-23).

알 호테 에이돈 호티 우크 오르도포두신 프로스 텐 알레데이안 투 유앙겔리우 에이폰 토 케파 엠프로스덴 판톤 에이 쉬 유다이오스 휘파르콘 에드니코스 카이 우키 유다이코스 제스 포스 타 에드네 아낭카제이스 유다이제인

개역개정,14 그러므로 나는 그들이 복음의 진리를 따라 바르게 행하지 아니함을 보고 모든 자 앞에서 게바에게 이르되 네가 유대인으로서 이방인을 따르고 유대인답게 살지 아니하면서 어찌하여 억지로 이방인을 유대인답게 살게 하려느냐 하였노라

새번역,14 나는 그들이 복음의 진리를 따라 똑바로 걷지 않는 것을 보고, 모든 사람 앞에서 ㉫게바에게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당신은 유대 사람인데도 유대 사람처럼 살지 않고 이방 사람처럼 살면서, 어찌하여 이방 사람더러 유대 사람이 되라고 강요합니까?”㉬ / ㉫베드로 ㉬해석자들에 따라, 인용을 21절까지 확대하기도 함

우리말성경,14 나는 그들이 복음의 진리대로 바르게 행하지 않는 것을 보고 모든 사람 앞에서 게바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당신은 유대 사람으로서 유대 사람처럼 살지 않고 이방 사람처럼 살면서 어떻게 이방 사람에게 유대 사람처럼 살라고 강요합니까?”

가톨릭성경,14 그러나 나는 그들이 복음의 진리에 따라 올바른 길을 걷지 않는 것을 보고, 모든 사람 앞에서 케파에게 말하였습니다. “당신은 유다인이면서도 유다인으로 살지 않고 이민족처럼 살면서, 어떻게 이민족들에게는 유다인처럼 살라고 강요할 수가 있다는 말입니까?”

영어NIV,14 When I saw that they were not acting in line with the truth of the gospel, I said to Peter in front of them all, “You are a Jew, yet you live like a Gentile and not like a Jew. How is it, then, that you force Gentiles to follow Jewish customs?

영어NASB,14 But when I saw that they were not straightforward about the truth of the gospel, I said to Cephas in the presence of all, “If you, being a Jew, live like the Gentiles and not like the Jews, how is it that you compel the Gentiles to live like Jews?

영어MSG,14 But when I saw that they were not maintaining a steady, straight course according to the Message, I spoke up to Peter in front of them all: “If you, a Jew, live like a non-Jew when you’re not being observed by the watchdogs from Jerusalem, what right do you have to require non-Jews to conform to Jewish customs just to make a favorable impression on your old Jerusalem cronies?”

영어NRSV,14 But when I saw that they were not acting consistently with the truth of the gospel, I said to Cephas before them all, “If you, though a Jew, live like a Gentile and not like a Jew, how can you compel the Gentiles to live like Jews?”

헬라어신약Stephanos,14 αλλ οτε ειδον οτι ουκ ορθοποδουσιν προς την αληθειαν του ευαγγελιου ειπον τω πετρω εμπροσθεν παντων ει συ ιουδαιος υπαρχων εθνικως ζης και ουκ ιουδαικως τι τα εθνη αναγκαζεις ιουδαιζειν

라틴어Vulgate,14 sed cum vidissem quod non recte ambularent ad veritatem evangelii dixi Cephae coram omnibus si tu cum Iudaeus sis gentiliter et non iudaice vivis quomodo gentes cogis iudaizare

히브리어Modern,14 אכן בראותו את אשר לא ישרו לכת כאמתה של הבשורה אמרתי אל כיפא בפני כל אם אתה היהודי תתנהג כנכרי ולא כיהודי למה תכריח את הגוים להתנהג כיהודים׃

성 경: [갈2:14]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게바를 책망함]

󰃨 모든 자 앞에서 – 바울은 베드로가 저지른 실수에 대해 공개적으로 책망을 했다. 이는 (1) 베드로뿐만 아니라 여러 유대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이 그러한 잘못을 했으며(2) 공적인 잘못은 사적으로 고칠 수 없기 때문이고(Lenski) (3) 그러한 실수를 베드로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유대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이 범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Hendriksen).

헤메이스 퓌세이 유다이오이 카이 우크 엨스 에드논 하마르톨로이

개역개정,15 우리는 본래 유대인이요 이방 죄인이 아니로되

새번역,15 우리는 본디 유대 사람이요, 이방인 출신의 죄인이 아닙니다.

우리말성경,15 우리는 본래 유대 사람이요, 이방 죄인들이 아닙니다.

가톨릭성경,15 우리는 본디 유다인으로, 죄인들인 이민족이 아닙니다.

영어NIV,15 “We who are Jews by birth and not ‘Gentile sinners’

영어NASB,15 “We are Jews by nature, and not sinners from among the Gentiles;

영어MSG,15 We Jews know that we have no advantage of birth over “non-Jewish sinners.”

영어NRSV,15 We ourselves are Jews by birth and not Gentile sinners;

헬라어신약Stephanos,15 ημεις φυσει ιουδαιοι και ουκ εξ εθνων αμαρτωλοι

라틴어Vulgate,15 nos natura Iudaei et non ex gentibus peccatores

히브리어Modern,15 הן מזרע היהודים אנחנו ולא חטאים מן הגוים׃

성 경: [갈2:15]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이신 득의의 원리]

󰃨 우리는 본래 유대인이요 – 본절에서 바울이 ‘본래 유대인’임을 밝히는 것은 그도 태어나면서부터 유대인의 종교적 특권을 지녔음을 보여주어 다른 유대인들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반감을 줄이게 하고자 하는 의도로 보인다(Cole).

󰃨 이방 죄인이 아니로되 – 이방인들에게 ‘죄인'(*, 하마르톨로이)이라고 말하는 것은 윤리적인 판단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유대인의 독선에서 나오는 이방인에 대한 통상적인 언급이었다. 실제로 유대인들은 선택받은 백성으로서 특권을 누리고 있었지만 본문에서 바울은 그 특권을 자랑하거나 또는 이방인들을 조소하기 위해 ‘죄인’이란 말을 사용한 것이 아니다. 비록 바울이 유대교 내의 용어들을 사용하여 ‘이방 죄인’으로 표현하였지만 이 말 속에는 매우 반어적(反語的)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즉, 당시 유대인들에 의해 죄인으로 간주된 이방인들에게 바울이 복음을 전하고 있었던 사실은 스스로 선민의식에 사로잡혀 이방인들을 하찮게 여기며 조금도 가까이 하지 않았던 유대인들의 독선적이고 교만한 태도와 극명하게 대조되는 것이다(Cole).

에이도테스 데 호티 우 디카이우타이 안드로포스 엨스 에르곤 노무 에안 메 디아 피스테오스 예수 크리스투 카이 헤메이스 에이스 크리스톤 예순 에피스튜사멘 히나 디카이오도멘 에크 피스테오스 크리스투 카이 우크 엨스 에르곤 노무 호티 엨스 에르곤 노무 우 디카이오데세타이 파사 사릌스

개역개정,16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율법의 행위로 말미암음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줄 알므로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나니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로써가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의롭다 함을 얻으려 함이라 율법의 행위로써는 의롭다 함을 얻을 육체가 없느니라

새번역,16 그러나 사람이, 율법을 행하는 행위로 ㉭의롭게 되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의롭게 되는 것임을 알고,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은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가 율법을 행하는 행위로가 아니라,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의롭다고 하심을 받고자 했던 것입니다. 율법을 행하는 행위로는, 아무도 의롭게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 ㉭또는 ‘의롭다는 인정을 받는 것’ 또는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가지는 것'(다른 곳에서도)

우리말성경,16 그러나 사람이 의롭다고 인정받는 것이 율법의 행위로써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되는 것을 알기에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었습니다.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로가 아니라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의롭다고 인정받으려는 것입니다. 율법의 행위로는 어떤 육체도 의롭다고 인정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가톨릭성경,16 그러나 사람은 율법에 따른 행위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율법에 따른 행위가 아니라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의롭게 되려고 그리스도 예수님을 믿게 되었습니다. 어떠한 인간도 율법에 따른 행위로 의롭게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영어NIV,16 know that a man is not justified by observing the law, but by faith in Jesus Christ. So we, too, have put our faith in Christ Jesus that we may be justified by faith in Christ and not by observing the law, because by observing the law no one will be justified.

영어NASB,16 nevertheless knowing that a man is not justified by the works of the Law but through faith in Christ Jesus, even we have believed in Christ Jesus, that we may be justified by faith in Christ, and not by the works of the Law; since by the works of the Law shall no flesh be justified.

영어MSG,16 We know very well that we are not set right with God by rule-keeping but only through personal faith in Jesus Christ. How do we know? We tried it–and we had the best system of rules the world has ever seen! Convinced that no human being can please God by self-improvement, we believed in Jesus as the Messiah so that we might be set right before God by trusting in the Messiah, not by trying to be good.

영어NRSV,16 yet we know that a person is justified not by the works of the law but through faith in Jesus Christ. And we have come to believe in Christ Jesus, so that we might be justified by faith in Christ, and not by doing the works of the law, because no one will be justified by the works of the law.

헬라어신약Stephanos,16 ειδοτες οτι ου δικαιουται ανθρωπος εξ εργων νομου εαν μη δια πιστεως ιησου χριστου και ημεις εις χριστον ιησουν επιστευσαμεν ινα δικαιωθωμεν εκ πιστεως χριστου και ουκ εξ εργων νομου διοτι ου δικαιωθησεται εξ εργων νομου πασα σαρξ

라틴어Vulgate,16 scientes autem quod non iustificatur homo ex operibus legis nisi per fidem Iesu Christi et nos in Christo Iesu credidimus ut iustificemur ex fide Christi et non ex operibus legis propter quod ex operibus legis non iustificabitur omnis caro

히브리어Modern,16 ומדעתנו כי לא יצדק אדם מתוך מעשי התורה כי אם באמונת ישוע המשיח גם אנחנו האמנו במשיח ישוע למען נצדק מאמונת המשיח ולא ממעשי התורה כי ממעשי התורה לא יצדק כל בשר׃

성 경: [갈2:16]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이신 득의의 원리]

󰃨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 본절에는 법정 용어인 ‘디카이오스'(*, ‘의로운’)에서 파생된 말이 세 번 반복되고 있다. ‘의’는 하나님의 속성에 속하는 것이므로 그 근원은 인간에게 있지 아니하고 하나님께 있다. 본절에서도 이 용어가 수동태로 기록되어 있는 것은 인간 스스로의 능동적인 노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바울이 말한 ‘의롭게 된다’는 것은 ‘의롭다고 선언한다’는 뜻이지 ‘의롭게 만든다’는 뜻이 아니다. 모든 사람은 죄를 범하였으므로 하나님의 의로움에 이를 수가 없다(롬 3:20). 그러나 의의 주권자이신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를 믿는 자들을 의롭다고 인정하시는 길을 열어 주셨다. 하나님께서 의롭다고 인정하시는 것은 인간의 윤리에 따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법정적인 선언이며 신적 표준에서 발생하는 하나님의 행위이다.

󰃨 율법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요 – 본서에서 처음 나타나는 ‘율법’에 해당하는 헬라어 ‘노모스'(*)는 바울 서신 중 특히 로마서와 본서에 많이 등장하는데 ‘의'(*, 디카이오쉬네), ‘행위'(*, 에르곤) 등과 함께 복음의 핵심을 설명할 때마다 ‘믿음'(*, 파스티스)과 관련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본절에서 관사없이 사용된 ‘노모스’는 모세의 율법을 지시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선한 행위들을 통하여 구원을 받고자 하는 인간들이 ‘자기 의’를 위해 구축한 규범들을 가리킨다. 그것은 유대주의 사회가 만들어낸 거짓된 규범들이다. 인간이 만들어낸 규범으로 하나님의 의를 소유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 인간의 믿음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의롭다고 선언하시게 되는 수단일뿐 절대적인 자격이나 요건이 되지 못한다. 단지 하나님께서는 믿음을 통하여 그리스도와 연합한 자들을 의롭다고 여겨주시는 것이다(롬 5:18,19). 죄악된 인간을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죽으신 그리스도만이 인간들을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함을 얻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신뢰하는 것이 구원에 이르게 하는 믿음이며 이러한 믿음은 생명력이 있어 신자로 하여금 하나님 나라에 합당한 역동적(力動的)인 삶을 살도록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유대주의자들은 그 믿음에다가 할례와 같은 율법적이요 외적인 조건을 더 하려고 하였다.

󰃨 율법의 행위로서는 의롭다 함을 얻을 육체가 없느니라 – 본절은 시 143:2(LXX, 142:2)의 인용이며 아울러 롬 3:20 내용과 병행을 이룬다. 아래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편의 ‘파스존'(*, ‘모든 생명’) 대신에 로마서에서는 ‘파사 사륵스'(*, ‘모든 육체’)를 사용하였고, 로마서와 본절에서는 시편에 없는 ‘율법의 행위’를 부가(附加)시키고 있다. 이것은 사람이 자기 스스로의 노력으로는 결단코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

| | |

| | |

| 시 143:2 +——————————————————

| | 우 디카이오데세타이 에노피운 수 파스 존 |

| +——————————————————

| | 모든 생명이 당신 앞에 의롭다함을 얻지 못할 것이다. |

+—————+—————————————————+

| | |

| | |

| +——————————————————

| 롬 3:20 | 엑스 에르곤 노무 우 디카이오데세타이 파사 사륵스 에노피운 |

| | 아우투 |

| +——————————————————

| | 율법의 행위로 모든 육체가 그 앞에서 의롭다 함을 얻지 못한다 |

+—————+—————————————————+

| | |

| +——————————————————

| 본 절 | 우 디카이우타이 안드로포스 엑스 에르곤 노무 |

| +——————————————————

| | 사람이 율법의 행위로부터 의롭다함을 얻지 못한다 |

+—————+—————————————————-

에이 데 제툰테스 디카이오데나이 엔 크리스토 휴레데멘 카이 아우토이 하마르톨로이 아라 크리스토스 하마르티아스 디아코노스 메 게노이토

개역개정,17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게 되려 하다가 죄인으로 드러나면 그리스도께서 죄를 짓게 하는 자냐 결코 그럴 수 없느니라

새번역,17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다고 하심을 받으려고 하다가, 우리가 죄인으로 드러난다면, 그리스도는 우리로 하여금 죄를 짓게 하시는 분이라는 말입니까? 그럴 수 없습니다.

우리말성경,17 그러나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다고 인정받으려 하다 우리 자신이 죄인으로 드러난다면 그리스도께서 죄를 짓게 하시는 분입니까? 결코 그럴 수 없습니다.

가톨릭성경,17 그런데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게 되려고 애쓰는 우리 자신도 죄인으로 드러난다면, 결국 그리스도께서 죄의 종이시라는 말입니까?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영어NIV,17 “If, while we seek to be justified in Christ, it becomes evident that we ourselves are sinners, does that mean that Christ promotes sin? Absolutely not!

영어NASB,17 “But if, while seeking to be justified in Christ, we ourselves have also been found sinners, is Christ then a minister of sin? May it never be!

영어MSG,17 Have some of you noticed that we are not yet perfect? (No great surprise, right?) And are you ready to make the accusation that since people like me, who go through Christ in order to get things right with God, aren’t perfectly virtuous, Christ must therefore be an accessory to sin? The accusation is frivolous.

영어NRSV,17 But if, in our effort to be justified in Christ, we ourselves have been found to be sinners, is Christ then a servant of sin? Certainly not!

헬라어신약Stephanos,17 ει δε ζητουντες δικαιωθηναι εν χριστω ευρεθημεν και αυτοι αμαρτωλοι αρα χριστος αμαρτιας διακονος μη γενοιτο

라틴어Vulgate,17 quod si quaerentes iustificari in Christo inventi sumus et ipsi peccatores numquid Christus peccati minister est absit

히브리어Modern,17 ואם בבקשנו להצדק במשיח נמצא גם אנחנו חטאים הנה המשיח משרת החטא חלילה׃

성 경: [갈2:17]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이신 득의의 원리]

󰃨 그리스도 안에서 – 이 말은 바울 신학에 있어서 핵심적인 용어로서 그리스도와 성도 간에 누리는 친밀한 개인적 교제를 시사한다. 그가 이방인에 대한 복음 전파 사역을 강조하는 것도 자신이 그리스도 안에 있기 때문이며, 예수에 대한 지식과 믿음을 전파하는 것과 미래 세계에 대한 거룩한 소망을 가지는 것도 그가 그리스도 안에 있기 때문이다. 바울은 그리스도가 자신의 유일한 신앙의 대상이며 동시에 전부라고 고백하고 있다. 특히 바울 신학에서 ‘그리스도 안에서’라는 표현은 ‘아담 안에서'(롬 5:12-19)라고 표현과 대조를 이룬다. 아담은 죄와 사망의 옛사람을 대표하지만, 그리스도는 자유와 생명의 새 사람을 대표한다.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표현은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을 실현하신 그리스도와 실존적으로 연합하여(롬 8:39;14:7;빌 2:1) 구원받은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 죄인으로 나타나면 – 본절에 대해서는 두 가지의 견해가 있다. (1) 바울이 유대주의자들의 입장에서 이 말을 하고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Hendriksen). 다시 말해서 유대주의자들이 의롭게 되기 위하여 예수를 믿음으로 율법을 폐기하는 죄인이 되었다고 스스로 생각할 경우에 대하여 그들을 위로하고 회심을 독려하는 문구로 해석한다(Cole). 이 견해에 따르면, 유대주의자들이 예수를 믿고 율법을 폐기했다면 그들은 스스로 이방인과 같이 율법을 도외시하는 죄인이 된 것이고 그것은 모세 율법보다 저급한 수단의 삶으로 여겨질 것이다. 더 나아가 그것은 그리스도마저 ‘죄를 위한 봉사자'(*, 하마르티아스 디아코노스)로 전락시키는 어리석음을 범하는 것과 같다. (2) 바울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있다는 견해이다. 즉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다함을 받았지만 여전히 자기속에 죄악의 본성이 남아 있음을 고백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서도 죄악된 옛 사람의 습관을 버리지 못하는 자신을 돌아보며 ‘오호라 나는 곤고한 자로다'(롬 7:24)라고 고백한 바 있다. 본문에서 바울은 오히려 유대주의자들 앞에서 자신의 죄인됨을 고백한다. 이는 유대주의자들이 가진 의식법과 율법주의적 관점에서는 언제나 죄인인 것을 시인하는 역설이다(R.E. Howard). 그가 유대주의자들의 관점에서 자신의 죄인됨을 시인한다고 해도 더 이상 두렵지 않은 것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신을 정죄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확신하고 있기 때문이다(롬 8:1). 본절의 해석은 자신이 계속해서 죄인으로 드러남에도 불구하고 다시 율법으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전체의 맥락과 연결시킬 때 후자가 보다 타당할 것 같다.

에이 가르 하 카텔뤼사 타우타 팔린 오이코도모 파라바텐 에마우톤 쉬니스타노

개역개정,18 만일 내가 헐었던 것을 다시 세우면 내가 나를 범법한 자로 만드는 것이라

새번역,18 내가 헐어 버린 것을 다시 세우면, 나는 나 스스로를 범법자로 만드는 것입니다.

우리말성경,18 만일 내가 허물어 버린 것을 다시 세우려 한다면 나 스스로 율법을 어기는 사람임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가톨릭성경,18 내가 헐어 버린 것을 다시 세운다면 나 자신이 범법자임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영어NIV,18 If I rebuild what I destroyed, I prove that I am a lawbreaker.

영어NASB,18 “For if I rebuild what I have once destroyed, I prove myself to be a transgressor.

영어MSG,18 If I was “trying to be good,” I would be rebuilding the same old barn that I tore down. I would be acting as a charlatan.

영어NRSV,18 But if I build up again the very things that I once tore down, then I demonstrate that I am a transgressor.

헬라어신약Stephanos,18 ει γαρ α κατελυσα ταυτα παλιν οικοδομω παραβατην εμαυτον συνιστημι

라틴어Vulgate,18 si enim quae destruxi haec iterum aedifico praevaricatorem me constituo

히브리어Modern,18 כי אם אשוב ואבנה את מה שסתרתי אני עשה את עצמי פשע׃

성 경: [갈2:18]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이신 득의의 원리]

󰃨 내가 헐었던 것을 다시 세우며 – 본문은 다분히 베드로가 유대주의자들을 두려워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얻은 자유로부터 떠나 다시 유대인의 옛 습관으로 돌아간 사건을 염두에 두고 있다(2:11). 바울은 다메섹의 체험(행 9:1-7) 이후에는 한 번도 뒤를 돌아보지 아니한 일관된 삶을 살았음을 고백한다. 또한 율법의 공로를 다시 세우고자 하는 의도가 결단코 없음을 밝힌다.

󰃨 범법한 자로 만드는 것이라 – ‘범법한 자’의 헬라어 ‘파라바텐'(*)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그 의미가 정의되는 ‘하마르톨로스'(*, ‘죄인’)와 약간의 차이가 있다. ‘파라바텐’은 문자적으로 ‘배신자’,’이단자’를 뜻하며 본절자서는 바울 자신이 다시 율법을 세우는 것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배신(背信) 행위가 된다는 점을 말해준다.

에고 가르 디아 노무 노모 아페다논 히나 데오 제소 크리스토 쉬네스타우로마이

개역개정,19 내가 율법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하여 죽었나니 이는 하나님에 대하여 살려 함이라

새번역,19 나는 율법과의 관계에서는 율법으로 말미암아 죽어버렸습니다. 그것은 내가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살려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말성경,19 나는 율법으로 인해 율법에 대해 죽었습니다. 이는 내가 하나님께 대해 살고자 함입니다.

가톨릭성경,19 나는 하느님을 위하여 살려고, 율법과 관련해서는 이미 율법으로 말미암아 죽었습니다. 나는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습니다.

영어NIV,19 For through the law I died to the law so that I might live for God.

영어NASB,19 “For through the Law I died to the Law, that I might live to God.

영어MSG,19 What actually took place is this: I tried keeping rules and working my head off to please God, and it didn’t work. So I quit being a “law man” so that I could be God’s man.

영어NRSV,19 For through the law I died to the law, so that I might live to God. I have been crucified with Christ;

헬라어신약Stephanos,19 εγω γαρ δια νομου νομω απεθανον ινα θεω ζησω

라틴어Vulgate,19 ego enim per legem legi mortuus sum ut Deo vivam Christo confixus sum cruci

히브리어Modern,19 כי מתי אני לתורה על ידי התורה למען אחיה לאלהים׃

성 경: [갈2:19]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이신 득의의 원리]

󰃨 내가 율법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향하여 죽었나니 – 바울은 ‘나’라는 1인칭 대명사를 사용함으로 자신에게 있었던 실제적인 경험을 강조하고 있다. 무엇을 향하여 ‘죽는다’는 표현은 모든 관계가 단절된 것을 의미하며 더이상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죽었나니’의 헬라어 ‘아폐다논'(*)은 다음 절에 나오는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나니'(*, 쉬네스타우로마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들은 둘 다 단회적인 것으로서 다시 율법으로 돌아갈 수 없으며 다시 십자가에 못박힐 수 없는 옛사람의 죽음을 의미한다. 역설적으로 ‘율법을 향하여 죽었다’는 것은 ‘율법으로부터 벗어나 살아났다’는 표현이다. 로마서에서는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했다’고 표현했는데(롬 7:4), 이 두 표현은 모두 단순히 사변적인 표현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경험한 것을 고백한 말이다. 율법의 행위로는 죄악으로부터 밀려오는 좌절감과 실패를 극복할 수가 없다. 오히려 율법은 인간 속에 있는 죄를 더욱 죄되게 만든다. 율법은 단지 죄에서 해방되기 위하여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믿음과 새 생명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도록 하는 기능을 감당하게 된 것이다.

조 데 우케티 에고 제 데 엔 에모이 크리스토스 호 데 뉜 조 엔 사르키 엔 피스테이 조 테 투 휘우 투 데우 투 아가페산토스 메 카이 파라돈토스 헤아우톤 휘페르 에무

개역개정,20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새번역,20 나는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습니다. 이제 살고 있는 것은 내가 아닙니다.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서 살고 계십니다. 내가 지금 육신 안에서 살고 있는 삶은, 나를 사랑하셔서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내어주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우리말성경,20 나는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습니다. 그러므로 이제 더 이상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입니다. 지금 내가 육체 안에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셔서 나를 위해 자신의 몸을 내 주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으로 사는 것입니다.

가톨릭성경,20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는 것입니다. 내가 지금 육신 안에서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시고 나를 위하여 당신 자신을 바치신 하느님의 아드님에 대한 믿음으로 사는 것입니다.

영어NIV,20 I have been crucified with Christ and I no longer live, but Christ lives in me. The life I live in the body, I live by faith in the Son of God, who loved me and gave himself for me.

영어NASB,20 “I have been crucified with Christ; and it is no longer I who live, but Christ lives in me; and the life which I now live in the flesh I live by faith in the Son of God, who loved me, and delivered Himself up for me.

영어MSG,20 Christ’s life showed me how, and enabled me to do it. I identified myself completely with him. Indeed, I have been crucified with Christ. My ego is no longer central. It is no longer important that I appear righteous before you or have your good opinion, and I am no longer driven to impress God. Christ lives in me. The life you see me living is not “mine,” but it is lived by faith in the Son of God, who loved me and gave himself for me.

영어NRSV,20 and it is no longer I who live, but it is Christ who lives in me. And the life I now live in the flesh I live by faith in the Son of God, who loved me and gave himself for me.

헬라어신약Stephanos,20 χριστω συνεσταυρωμαι ζω δε ουκετι εγω ζη δε εν εμοι χριστος ο δε νυν ζω εν σαρκι εν πιστει ζω τη του υιου του θεου του αγαπησαντος με και παραδοντος εαυτον υπερ εμου

라틴어Vulgate,20 vivo autem iam non ego vivit vero in me Christus quod autem nunc vivo in carne in fide vivo Filii Dei qui dilexit me et tradidit se ipsum pro me

히브리어Modern,20 עם המשיח נצלבתי ואין עוד אנכי החי כי אם המשיח הוא חי בקרבי ואשר אני חי עתה בבשר אחיה באמונת בן אלהים אשר אהבני ויתן את נפשו בעדי׃

성 경: [갈2:20]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이신 득의의 원리]

󰃨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나니 – 본 구절은 본서의 여러 곳에 거듭 언급되는 내용으로(1:4;3:1,13;6:12,14) 그리스도의 죽으심이 초대 교회의 가르침의 초점이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본절은 예수님을 핍박했던 바울 자신의 개인적인 삶의 변화와 율법으로부터 단절되었다는 신학적인 논증을 나타낸다. 실로 그토록 교만하고 자존심 강한 유대인 중에 유대인이요, 바리새인 중에 바리새인이었던 바울이 예수와 함께 죽었다고 고백하는 것은 유대교에 철저했던 그에게 있어 종래의 모든 삶과 사랑에 대한 부정이요 새로운 삶을 향해 전환(轉換)을 이루는 실로 엄청난 변화였다. 이 변화된 삶은 그리스도께서 지셨던 십자가를 지고 고난 가운데서도 자기를 부인하며 그리스도를 따르는 제자의 삶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와 함께 죽은 이후에 그가 지고 가는 십자가는 궁극적으로 고통의 삶이 아니라 오히려 영광과 승리의 삶이었다(W.G.Coltman). 한편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나니’에 해당하는 헬라어 ‘쉬네스타우로마이'(*)는 성도가 그의 십자가를 짐으로써 그리스도의 죽음에 영적으로 동참하였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서에 처음 등장하는 ‘십자가’는 율법의 요구를 완성하는 의미로 나타난다. 그리스도의 죽음은 율법의 요구를 이루려 함이며(롬 8:4), 또한 실존적으로 구약의 모든 율법적 요구들을 완성한 역사적 사건이다. 바울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힘으로 이제까지 자기가 메고 있던 율법의 요구들로부터 자유와 해방을 얻었다.

󰃨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 것이라 – 이 짧은 구절 안에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이 모두 언급되고 있다. 바울은 십자가 위에서 율법의 모든 요구를 완성하시고 죽었다가 사흘만에 부활하신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롬 6:4). 그리스도와 바울의 완전한 연합은 그리스도에게 접붙임을 받는 것이며 그 결과 그리스도의 풍성한 열매를 맺는 것이다. 옛 사람의 자기 교만과 바리새인의 자존심을 버리는 것이 잠시 동안 자신에게 패배감과 고통을 안겨주었지만, 그리스도께서 그 안에 사심으로 인하여 얻은 자유와 평화는 그 고통과 족히 비교할 수 없는 영광이었다(롬 8:18).

󰃨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 본절에는 세 가지 변화가 나타난다. (1) ‘나’ 대신에 ‘그리스도’,(2) ‘율법’ 대신에 ‘믿음’,(3) 과거의 ‘옛 사람’ 대신에 현재의 ‘새 사람’으로의 변화가 그것이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바울로 하여금 모든 변화를 경험하게 했다. 즉 바울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율법 아래서 종노릇하는 것으로부터 해방되어 의와 사랑의 종이 되었으며(롬 6:19), 비록 제한된 육체 가운데 살지만 더이상 자신을 위한 삶을 살지 않으며, 성령을 좇는 삶을 살게 되었다(롬 8:4).

󰃨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 그리스도인의 삶은 ‘믿음 안에서’사는 것이다. 이는 과거에 율법을 지켜 행함으로 의롭게 되려고 애썼던 삶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예수께서는 ‘내 말이 너희 안에'(요 15:7)라고 말씀하셨지만, 바울은 ‘아들을 믿는 믿음안에’라고 말한다. 이는 주께서 우리 안에 계실때에는 말씀으로 존재하시며 우리가 그리스도안에 있다는 것은 믿음으로 그를 따른다는 의미이다.

우크 아데토 텐 카린 투 데우 에이 가르 디아 노무 디카이오쉬네 아라 크리스토스 도레안 아페다넨

개역개정,21 내가 하나님의 은혜를 폐하지 아니하노니 만일 의롭게 되는 것이 율법으로 말미암으면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셨느니라

새번역,21 나는 하나님의 은혜를 헛되게 하지 않습니다. 의롭다고 하여 주시는 것이 율법으로 되는 것이라면, 그리스도께서는 헛되이 죽으신 것이 됩니다.

우리말성경,21 나는 하나님의 은혜를 헛되게 하지 않습니다. 만일 의롭다고 인정받는 것이 율법으로 말미암는다면 그리스도께서 헛되게 죽으신 것입니다.

가톨릭성경,21 나는 하느님의 은총을 헛되게 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율법을 통하여 의로움이 온다면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돌아가신 것입니다.

영어NIV,21 I do not set aside the grace of God, for if righteousness could be gained through the law, Christ died for nothing!”

영어NASB,21 “I do not nullify the grace of God; for if righteousness comes through the Law, then Christ died needlessly.”

영어MSG,21 I am not going to go back on that. Is it not clear to you that to go back to that old rule-keeping, peer-pleasing religion would be an abandonment of everything personal and free in my relationship with God? I refuse to do that, to repudiate God’s grace. If a living relationship with God could come by rule-keeping, then Christ died unnecessarily.

영어NRSV,21 I do not nullify the grace of God; for if justification comes through the law, then Christ died for nothing.

헬라어신약Stephanos,21 ουκ αθετω την χαριν του θεου ει γαρ δια νομου δικαιοσυνη αρα χριστος δωρεαν απεθανεν

라틴어Vulgate,21 non abicio gratiam Dei si enim per legem iustitia ergo Christus gratis mortuus est

히브리어Modern,21 לא אמאס את חסד האלהים כי אלו תהיה על ידי התורה צדקה הנה חנם מת המשיח׃

성 경: [갈2:21]

주제1: [바울의 사도권과 이신득의]

주제2: [이신 득의의 원리]

󰃨 하나님의 은혜 –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죽으신 것과 바울 자신이 그 죽으심과 부활에 참여하게 된 신비적 연합의 사건이 ‘하나님의 은혜’로 묘사되고 있다. ‘은혜’의 헬라어 ‘카린'(*)은 ‘하나님이 주시는 값없는 선물’이다. 하나님께서 아들을 십자가에서 죽게 하신 것과 우리로 아들을 믿게 하신 것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사역이다.

󰃨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셨느니라 – ‘헛되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도레안'(*)은 ‘연고없이’,’이유나 목적이 없이’,’불필요하게’등의 의미를 지닌다. 갈라디아 교회의 유대주의자들이 다시 율법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는 것은 단순히 율법에 대한 애착심과 관심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불필요한 것으로 만들어 버리는 결정적인 잘못이다. 율법으로 돌아가는 것은 옛 생활에 대한 단순한 향수(鄕愁)가 아니라 그리스도를 다시 십자가에 못박고자 하는 범죄이며 하나님의 은혜를 저버리는 배신 행위이다.

728×90

반응형

[장별설교] 갈라디아서2장 바울이 사사로이 제시한 복음

728×90

반응형

[장별설교] 갈라디아서2장 바울이 사사로이 제시한 복음

갈라디아서 2장은 2:11에서 시작된 사도직 변증의 연속입니다. 우리는 2장을 1-10까지와 11-21절까지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아야 합니다. 서론에서 바울은 자신이 계시에 따라 예루살렘 올라간 이야기를 합니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복음대로 살지 않는 베드로를 바울이 책망한 이야기를 함으로 바울이 전하는 복음의 정당성을 논증합니다.

1. 1-10절 두 그룹의 사도와 합의

2. 11-21절 베드로를 책망한 바울

1. 1-10절 예루살렘 방문에 복음을 제시하다.

바울은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간 이야기를 합니다. 이것이 왜 중요할까요? 자신이 전하는 복음이 예루살렘의 사도들에게 전해 받은 것이 아님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바울은 어떤 시기를 기점으로 ‘십사 년 후’(1절)에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갑니다. 올라간 이유는 예루살렘 교회에서 바울을 호출했기 때문이 아니라 ‘계시를 따라’(2절) 올라갔습니다. ‘계시를 따라’ 올라갔다는 말은 주님께서 바울에게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라 명령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바울은 예루살렘에 올라가 그들에게 자신이 전하는 복음을 ‘제시’(2절)했습니다. 바울은 복음을 제시하되 ‘사사로이’ 했다고 말합니다. 즉 공적이 아니라 사적인 것으로 서로 이야기하고 나누었다는 말입니다. 약간 의아해 보이는 표현이지만, 이것은 바울이 자신의 복음을 사도들의 허락을 받거나 인준을 받은 것이 아님을 강조하려는 의도입니다. 7-8절을 보십시오. 바울은 베드로를 할례자들에게 복음 전하는 자로, 자신을 할례 받지 못한 이방인들에게 복음 전하는 자로 하나님께서 삼으셨다고 말합니다. 사도가 되는 것은 교회의 선택이나 훈련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셨다는 뜻입니다. 모든 직분이 하나님께 기원이 있기는 하지만 사도직은 다른 직분에 비해 좀더 직접적으로 하나님의 소명에 의한 것임을 드러내 줍니다. 바울이 제시한 복음을 듣고 예루살렘의 사도들은 ‘친교의 악수’를 했습니다.(9절)

또 하나는 3절에서 언급하고 있는 헬라인 디도에 관한 문제입니다. 바울은 헬라인 디도를 예루살렘에 함께 올라갔음에도 그는 억지로 할례를 시키지 않았다고 밝힙니다. 왜냐하면 할례를 받지 않고도 예수님을 믿음으로 ‘의’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였습니다. 바울이 디도에게 할례를 시키지 않는 이유는 ‘가만히 들어온 거짓 형제들 때문’(4절)이었습니다. 거짓 형제 또는 거짓 교사들의 목적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가 가진 자유를 엿보고 우리를 종으로 삼고자 함’(4절 하)이었습니다. 바울은 5:1에서 다시 그리스도께서 자유를 주셨다고 말합니다. 바울이 말하는 자유는 율법으로 인해 오는 육신의 탐욕을 따라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성령이 부어지고, 그 성령을 따라 살아가는 것을 말합니다. 고린도후서 3:17을 보십시오. 바울은 이렇게 말합니다.

고린도후서 3:17 주는 영이시니 주의 영이 계신 곳에는 자유가 있느니라

이 자유는 이전처럼 죄의 종이 아니라 아들이 갖는 자유입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알기 전에는 죄의 종이었습니다. 죄가 이끄는 대로 죄를 짓고 살 수 밖에 없었습니다. 마치 이스라엘이 애굽에 있을 때 애굽이 시키는 대로 해야만 했던 것처럼 말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들을 애굽에서 부르시고 아들로 삼으셨습니다. 이제는 종이나 노예가 아니라 아들입니다. 호세아 11:1에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호세아 11:1 이스라엘이 어렸을 때에 내가 사랑하여 내 아들을 애굽에서 불러냈거늘

우리는 이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종이 아니라 아들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를 기업을 받을 수 있고, 당당히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를 수 있고, 직접 은혜의 보좌에 나아가 간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아들이 누리는 자유입니다.

그런데 거짓 형제들은 그렇지 않다고 말합니다. 예수를 믿었지만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예수가 틀렸다는 것이 아니라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이들은 가만히 들어와 그리스도인들이 가진 자유를 빼앗아 내 던졌습니다. 그것을 교묘히 이용하여 자신들의 종으로 삼으려 했던 것입니다. 5:10에서는 ‘너희를 요동하게 하는 자’라고 말합니다.

2. 11-21절 베드로를 책망한 바울

바울은 이제 중요한 한 가지 사건을 언급합니다. 사건은 이렇습니다. 게바(베드로)가 안디옥에 이르렀을때 바울이 베드로를 책망하는 일이 일어납니다. 12절 말씀에 의하면 야고보에게서 온 사람들이 이르기 전에 게바는 이방인들과함께 식사를 했습니다. 그러다 야고보에서 온 사람들을 발견하고 이방인들과의 식탁을 급하게 벗어나 도망가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이것이 왜 문제일일까요? 먼저 야고보라는 인물을 율법을 철저히 지키는 유대적 전통이라고 생각하고 접근해 봅시다. 유대인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인이 되었지만 유대 전통을 완전히 버린 것이 아닙니다. 여전들이 그들은 이방인들과 식탁교제하는 것을 금했습니다. 그런데 베드로가 이방인들과 식탁교제를 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신분과 혈통이 무너지고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하나의 민족이 탄생했기 때문입니다. 십자가 안에서 하나가 되었다는 이야기는 갈라디아서 다음 성경인 에베소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에베소서 2:11-18] 11 그러므로 생각하라 너희는 그 때에 육체로는 이방인이요 손으로 육체에 행한 할례를 받은 무리라 칭하는 자들로부터 할례를 받지 않은 무리라 칭함을 받는 자들이라 12 그 때에 너희는 그리스도 밖에 있었고 이스라엘 나라 밖의 사람이라 약속의 언약들에 대하여는 외인이요 세상에서 소망이 없고 하나님도 없는 자이더니 13 이제는 전에 멀리 있던 너희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그리스도의 피로 가까워졌느니라 14 그는 우리의 화평이신지라 둘로 하나를 만드사 원수 된 것 곧 중간에 막힌 담을 자기 육체로 허시고 15 법조문으로 된 계명의 율법을 폐하셨으니 이는 이 둘로 자기 안에서 한 새 사람을 지어 화평하게 하시고 16 또 십자가로 이 둘을 한 몸으로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려 하심이라 원수 된 것을 십자가로 소멸하시고 17 또 오셔서 먼 데 있는 너희에게 평안을 전하시고 가까운 데 있는 자들에게 평안을 전하셨으니 18 이는 그로 말미암아 우리 둘이 한 성령 안에서 아버지께 나아감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이처럼 복음은 혈통과 민족, 신분과 성별을 너머 복음 안에서 하나가 되게 하는 능력입니다. 베드로는 이것을 알았기 때문에 이방인들과 함께 거리낌 없이 식탁교제를 나주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야고보에서 사람들이 왔다는 이야기를 듣는 순간 베드로는 자신도 모르게 율법을 따라 행하던 본성에 의해 이방인들과의 식탁자리를 박차고 일어났던 것입니다. 이 모습을 바라본 바울은 베드로를 향해 공개적으로 비판했습니다. 비판의 핵심은 이것입니다. 14절을 보십시오.

먼저는 베드로는 유대인답게 살지 않았습니다. 이 말은 유대인의 전통과 관습에 얽매이지 않았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베드로의 이 행동은 이방인들로 하여금 유대인이 되어야 한다는 보이지 않는 강압이 되었습니다. 바울은 그래서 ‘어찌하여 억지로 이방인을 유대인답게 살게 하려느냐’고 따집니다. 그리고 나서 16절에서 우리가 의롭게 되는 것은 율법의 행위가 아니라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된다고 주장합니다. 그렇습니다. 이것이 바로 복음입니다.

728×90

반응형

[갈라디아서 2장 주일 강해설교문]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다(갈 2:1~2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갈라디아서 2장 주일 강해 설교문 중에서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다라는 하나님 말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원받은 자는 우리 안에 예수 그리스도가 임재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율법으로 구원받은 것이 아니라 복음으로 구원받았습니다. 예수님을 믿음으로 구원받은 자는 항상 주님이 내주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주님과 함께 동행하는 하루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제목: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다” (갈 2장)

설교자: 윤사무엘 목사

본문: 갈라디아서 2:1~21

요절: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혀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노라. 그러나 내가 아니요,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느니라. 나는 지금 내가 육체 안에서 사는 삶을,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해 자신을 주신 하나님의 아들의 믿음으로 사노라.”(갈 2:20)

주제: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 됨으로 주님과 함께 십자가에서 죽자

오늘은 갈라디아서 2장을 강해합니다. “복음 안에 있는 자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1. 그리스도의 복음을 변호함(갈 2:1-10)

1 그 뒤 십사 년이 지나서 내가 바나바와 함께 디도도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갔노라. 2 내가 계시로 말미암아 올라가 내가 이방인들 가운데서 선포하는 그 복음을 그들에게 전달하되 명성 있는 자들에게는 개인적으로 하였으니 이것은 어찌하든지 내가 달음질하는 것이나 달음질한 것이 헛되지 아니하게 하려 함이라. 3 그러나 나와 함께 있던 그리스 사람 디도도 억지로 할례를 받게 하지 아니하였으니 4 이는 알지 못하는 사이에 들어온 거짓 형제들 때문이라. 그들이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우리가 누리는 우리의 자유를 엿보아 우리를 속박하려고 몰래 들어왔으나 5 우리가 그들에게 단 한 시간도 굴복하지 아니하였으니 이것은 복음의 진리가 항상 너희와 함께 있게 하려 함이라. 6 그러나 무엇이나 되는 것같이 여겨지던 이 사람들에 관하여는 (그들이 어떤 사람이든지 내게는 상관이 없으며 하나님은 사람의 외모를 받아들이지 아니하시느니라) 무엇이나 되는 것같이 여겨지던 그들이 회의에서 내게 아무것도 더해 주지 아니하였느니라. 7 오히려 반대로 베드로가 할례자를 위한 복음을 맡은 것 같이 내가 무할례자를 위한 복음을 맡은 것을 그들이 보았나니 8 (베드로 안에서 효력 있게 일하사 할례자를 위한 사도직을 주신 바로 그분께서 내 안에서도 강력하게 일하사 이방인들을 향하게 하셨느니라.) 9 또 기둥같이 여겨지던 야고보와 게바와 요한은 내게 주신 은혜를 깨닫고 나와 바나바에게 오른손을 내밀어 교제를 청하였으니 이것은 우리는 이교도들에게로 가고 그들은 할례자들에게로 가고자 함이라. 10 다만 그들은 우리가 가난한 자들을 기억해 줄 것을 원하였는데 바로 그 일은 나 역시 열심히 행하던 바라.

1절. 14년 후에 바울이 디도를 데리고 예루살렘에 올라간 일은 사도행전 15장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이 예루살렘으로부터 안디옥에 내려와 이방인들도 모세의 법대로 할례를 받지 아니하면 능히 구원을 얻지 못한다고 가르쳤습니다. 이런 가르침 때문에 바울과 바나바와 그들 사이에 크게 다툼과 변론이 일어났고 그래서 안디옥 교회는 이 문제를 위해 바울과 바나바와 몇 사람을 예루살렘에 있는 사도들과 장로들에게 파송했습니다. 예루살렘 교회와 사도들과 장로들은, 이 일을 위해 모여 많이 변론한 후, 이방인들에게 할례를 받게 하는 등의 율법의 멍에를 메우는 것이 옳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아마 이 일을 위하여 예루살렘에 올라갔을 때, 바울은 바나바와 함께 올라갔고 또 디도를 데리고 갔습니다. 바나바는 구브로(Cyprus)에서 난 레위족 사람으로 본명은 요셉입니다. 사도들이 그를 일컬어 바나바(Barnabas, “위로의 아들”라 불렀는데 그가 밭이 있으니 팔아 그 값 모두를 사도들의 발 앞에 두었던 신실한 그리스도인이었습니다(행 4:36-37). 그는 바울을 예루살렘에 있는 사도들에게 정식으로 소개한 자요(9:26), 착하고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자요(11:24), 바울을 안디옥에 초청해 함께 그 교회를 가르쳤던 자요(11:25-26), 그 교회에서 바울과 함께 선교사로 파송되어 바울의 1차 세계선교 여행을 동행한 자입니다(13:2-3). 디도는 헬라인이라는 것(3절)과 그레데(Crete)에 남아 교회를 돌본 사역자라는 것(딛 1:5)이며 할례를 받지 아니했고(갈 2:3), 디도서의 수신자입니다. 디모데와 더불어 바울 사도의 제자이면서 목회자였습니다.

2절. “내가 계시로 말미암아 올라가 내가 이방인들 가운데서 선포하는 그 복음을 그들에게 전달하되 명성 있는 자들에게는 개인적으로 하였으니 이것은 어찌하든지 내가 달음질하는 것이나 달음질한 것이 헛되지 아니하게 하려 함이라.” 바울이 예루살렘에 올라간 것은 안디옥 교회 안에서 일어난 교리적 논쟁 때문이었지만(행 15장) 하나님께서 바울에게 예루살렘에 올라가라고 직접 계시하셨기 때문입니다. 사도들은 구약시대의 대언자들처럼 하나님의 직접적 계시를 받은 자들입니다. 바울이 예루살렘에 올라간 목적은 그가 그때까지 이방인들에게 전파했던 복음의 내용과 예루살렘 교회가 믿고 있는 복음의 내용, 즉 예수님의 사도들이 전파했던 복음의 내용과 같은지를 대조하고 확인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것은 바울의 복음 전파의 일이 헛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일 바울이 잘못된 내용을 전파하고 있다면 그의 모든 수고는 헛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충실했습니다(롬 1:16).

3절. 할례는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주신 언약의 규례입니다. 그것은 남자의 성기 끝을 덮은 겉가죽(foreskin, 양피, 포피)을 잘라내는 의식으로 평생 거룩하게 구별된 백성의 표식으로 모든 이스라엘 백성은 다 할례를 받아야만 했습니다. 본래 태어난 지 8일 만에 받아야 하며, 이방인이 유대교로 개종하면 언제든 할례를 받는 것이 개종의 선제 조건입니다. 유대인의 할례파들은 기독교인이 될 때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바울은 그리스도의 복음 안에서는 할례가 반드시 중요하지 않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할례는 본질 문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adiaphora=“it does not matter” 현상문제, 비본질문제).

고전 7:19-20 “할례받는 것도 아무것도 아니요 할례 받지 아니하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하나님의 계명을 지킬 따름이니라. 각 사람은 부르심을 받은 그 부르심 그대로 지내라”

갈 5:6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는 할례나 무할례나 효력이 없으되 사랑으로써 역사하는 믿음뿐이니라”

갈 6:15 “할례나 무할례가 아무것도 아니로되 오직 새로 지으심을 받는 것만이 중요하니라”

그래서 헬라인 출신 디도에게는 할례를 강요하지 아니했습니다. 특히 문제가 사람이 구원을 받기 위해 할례를 받아야 하는가 하는 그 논쟁의 시점에 바울은 디도를 예루살렘 회의에 데려감으로써 행동으로 그 진리를 증거하려 했던 것 같습니다.

4-5절. 바울이 디도에게 억지로 할례를 받게 하지 않았던 이유는 교회 안에 가만히 들어온 거짓 형제들 때문입니다. 그들은 교회에 당당하게 들어오지 않습니다. 그것이 마귀의 전술입니다. 마귀는 자기 사람들을 비밀 첩보원처럼 가만히 교회 안에 투입시킵니다. 오늘날도 기독교계 속에 많은 거짓 형제들이 들어와 있습니다. 사이비 이단의 누룩들이 침투합니다. 진실한 목회자들은 그들을 분별합니다. 갈라디아 교회에 할례당들이 몰래 들어온 목적은 바울과 성도들이 가진 자유를 엿보고 그들을 율법의 종으로 삼고자 함이었습니다. ‘우리가 가진 자유’라는 하나님의 복음의 핵심적 내용을 말하는데 그 자유는 율법으로부터의 자유이며 할례의 규례와 의무로부터의 자유입니다. 그것은 구약의 모든 의식적 율법들, 예를 들어 성전 의식들, 제사 의식들, 절기들로부터의 자유입니다. 그것은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단번에 완전한 의를 이루셨고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하심을 받았기 때문에 누리는 자유입니다. 물론 그 자유가 도덕적 율법들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복음 안에 있는 자유는 방종에 빠지게 하는 자유가 아니고 하나님의 뜻과 계명을 행하게 하는 자유입니다.

우리는 구원받은 후에도 여전히 우상 숭배하지 말아야 하고 부모를 공경하고 살인하지 말고 간음하지 말고 도적질하지 말고 거짓 증거하지 말고 탐내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런 도덕적 율법들을 지키는 것은 그리스도의 의안에서 기쁨과 자원함으로 지키는 것이지 공포와 두려움 가운데 무거운 짐을 진 심정으로 지키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데 어떤 이들이 가만히 들어와 바울과 성도들이 가진 자유를 파괴시키고 그들을 율법의 종으로 삼고자 하였던 것입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자유의 복음을 이해하지 못하고 도리어 오해한 자들이며, 하나님을 위해 싸우는 아군들이 아니고 적군들이며, 하나님의 교회의 건설자들이 아니고 파괴자들입니다. 그들은 주님께서 피흘려 사신 형제들을 사랑하는 자들이 아니고 실상 미워하는 자들이며, 하나님의 긍휼로 약속하신 영원한 생명 안에 사는 자들이 아니고 아직도 사망 가운데 머물러 있는 자들입니다. 잠 25:26은 “의인이 악인 앞에 굴복하는 것은 우물의 흐리워짐과 샘의 더러워짐 같으니라”고 합니다. 진리를 가진 자는 진리를 가지지 못한 자 앞에 굴복해서는 안 됩니다. 그 거짓 형제들의 사상은 하나님께서 주신 복음 진리와 배치되었기 때문에, 바울은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복음 진리 곧 율법으로부터 자유케 하시는 이 진리가 자신뿐 아니라 자기가 전도하여 믿게 된 모든 성도들에게도 있게 하기를 원하십니다.

6-9절. ‘유명한 이들’은 예루살렘의 사도들을 가리킵니다. 바울은 ‘본래 어떤 이들이든지 내게 상관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신앙은 사람에게 의존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신앙은 오직 성경 말씀 곧 하나님의 말씀에만 의존해야 합니다. 우리의 양심은 오직 하나님께만 매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교회 안에서는 어떤 직분보다 모든 성도가 하나님 앞에서 형제자매이며 한 식구라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바울의 복음과 열두 사도들의 복음은 아무런 차이가 없습니다. 바울이 예루살렘에 올라가 자신이 전해받은 복음의 내용은 바로 열두 사도들이 전파하였던 그 복음이었음을 확증받았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베드로를 유대인들을 위한 사도로 삼으셨고, 바울은 헬라인들을 위한 사도로 삼으셨습니다. 기둥같이 여기는 야고보와 게바 즉 베드로와 요한은 하나님께서 바울에게 주신 은혜를 알므로 바울과 바나바에게 교제의 악수를 하였습니다. 이 교제의 악수는 바울의 복음과 베드로의 복음이 동일한 복음이라는 것을 그들이 인정한 것입니다. 다른 말로, 이 교제의 악수는 바울의 복음이 하나님께서 주신 진리라는 것을 증거한 것입니다. 이렇게 확인된 그 복음 외에 다른 복음은 이 세상에 없으며, 오늘도 그 복음만이 모든 인생들에게 구원과 생명과 소망이 됩니다.

10절. “다만 그들은 우리가 가난한 자들을 기억해 줄 것을 원하였는데 바로 그 일은 나 역시 열심히 행하던 바라.” 예루살렘의 사도들이 바울에게 부탁한 것이 있다면 단지 예루살렘과 동족 유대인들 가운데 가난한 자들을 기억해 달라는 것입니다. 행 11:29에 보면, 글라우디오(=클라우디우스 Claudius로마 제국의 제4대 황제, BC 10년 ~ AD 54년) 황제 때 큰 흉년이 들었는데 AD 50년 예루살렘 회의가 개최될 당시 유대에는 가난한 자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구제에 대하여, 바울은 이전부터 자신도 그 일을 힘써 행하여 왔다고 증거합니다. 선행과 구제는 하나님의 명하신 뜻이며(신 15:7-11) 그러므로 하나님의 백성들의 당연한 의무입니다(고후 9:13).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은 사람들은 선을 행하기를 힘써야 합니다.

2.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음(갈 2:11-16)

11 그러나 베드로가 안디옥에 이르렀을 때에 그가 책망받아야 했으므로 내가 그를 대면하여 책망하였노라. 12 야고보에게서 온 어떤 사람들이 오기 전에 그가 이방인들과 함께 먹었으나 그들이 오매 할례자들에 속한 그들을 두려워하여 그가 뒤로 물러가 자신을 분리하였으며 13 다른 유대인들도 그와 함께 위선을 행하고 심지어 바나바도 그들의 위선에 끌려갔느니라. 14 그러나 그들이 복음의 진리에 따라 바르게 걷지 아니하는 것을 내가 보고 그들 모두 앞에서 베드로에게 이르되, 네가 유대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방인들의 방식대로 살고 유대인들처럼 살지 아니하면서 어찌하여 이방인들을 강요해서 유대인들처럼 살게 하느냐? 하였노라. 15 우리는 본래 유대인이요 이방인에 속한 죄인이 아니로되 16 사람이 율법의 행위로 의롭게 되지 아니하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으로 되는 줄 알므로 우리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었나니 이것은 우리가 율법의 행위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믿음으로 의롭게 되고자 함이라. 율법의 행위로는 어떤 육체도 의롭게 될 수 없느니라.

11절. 게바(Cephas)는 베드로와 같은 인물로 주님께서 지어주신 이름으로 게바는 아람어며 베드로는 히브리어로 “돌 stone, 반석 rock”이란 뜻입니다(요 1:42, 마 16:18). 안디옥은 이방인들을 위해 최초로 선교사를 파송했던 교회가 있었던 수리아(=시리아, 구약시대는 아람) 지방의 도시입니다. 베드로가 안디옥에 이르렀을 때 바울은 그가 위선한 일에 대해 책망할 일이 있었습니다. 베드로가 행동의 실수를 한 것입니다. 3년간이나 주님께 직접 배웠고 성령의 특별한 은사를 받아 복음 진리를 밝히 이해하고 고난을 무릅쓰고 증거했던 베드로는 인격적으로 상당히 성숙되어 있었을 것이지만, 그에게도 실수가 있었습니다. 12-13절에 보니 예루살렘의 야고보에게서 온 어떤 사람들이 오기 전에 베드로가 이방인들과 함께 식사를 하다가 그들이 도착하니 할례자들에 속한 그들을 두려워하여 그가 뒤로 물러가 자신을 분리하였습니다. 다른 유대인들도 그와 함께 위선을 행하고 심지어 바나바도 그들의 위선에 끌려갔던 것입니다.

베드로는 이방인 고넬료 집에 가서 복음을 전하려 할 때 “유대인으로서 이방인을 교제하는 것과 가까이하는 것이 위법인 줄은 너희도 알고 있다”라고 말했었습니다(행 10:28). 이것은 구약의 율법에 의거한 것은 아닙니다. 이방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지 못하게 한 것은 유대인의 관례법으로 음식에 대한 법이나 우상숭배를 금한 계명, 또는 이방인들과 결혼하지 말 것을 규정한 율법(신 7:3-4) 등에 근거한 것 같습니다. 베드로는 이방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다가 야고보에게서 온 유대인들이 왔을 때 그들을 두려워해 떠나 물러갔습니다. 그것은 유대인들이 그에게 율법을 어겼다고 비난하고 공격할까 봐 두려워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베드로가 떠나 물러간 것은 인간 누구에게나 있는 약한 마음에서 나온 행동이었습니다. 유대인들의 완고함을 생각한다면 우리는 그의 두려워함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베드로의 위선적 행동에 실망을 느꼈습니다. 사람 앞에서 그를 공의와 겸손으로 책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훌륭한 행동입니다. 면책은 숨은 사랑보다 낫습니다(잠 27:5-6). 구원받은 성도들의 삶의 한 목표는 책망받을 일이 없는 인격자가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성화의 목표입니다.

사람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을 받았다고 해서 단번에 훌륭한 인격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람의 인격적 성숙은 예수님 믿기 전에 그가 살아온 상태와 관계가 많은 것 같습니다. 성화는 매우 더디게 보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을 진실히 믿는 것 같은데도 인격적 흠과 결함이 있는 자들이 많습니다. 많은 경우 사람이 자신의 인격적 결함을 알고 있지만, 종종 자기의 부족을 모르는 자들도 있습니다. 이것은 참 큰 문제입니다. 인격적 결함 중 대표적인 것은 말의 실수입니다. 잠 10:19-20, “말이 많으면 허물을 면키 어려우나 그 입술을 제어하는 자는 지혜가 있느니라. 의인의 혀는 천은과 같거니와 악인의 마음은 가치가 적으니라.” 잠 11:12, “지혜 없는 자는 그 이웃을 멸시하나 명철한 자는 잠잠하느니라.” 잠 15:28, “의인의 마음은 대답할 말을 깊이 생각하여도 악인의 입은 악을 쏟느니라.” 잠 17:27, “말을 아끼는 자는 지식이 있고 성품이 안존한 자는 명철하니라.” 잠 26:20, “나무가 다하면 불이 꺼지고 말장이가 없어지면 다툼이 쉬느니라.” 약 1:19,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하며 성내기도 더디하라.”

베드로뿐 아니라, 남은 유대인들도 그와 같이 외식하였고, 바울의 동료인 바나바도 그들의 외식에 유혹되었습니다. 베드로의 연약함은 그 혼자의 문제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그가 물러가자 함께 먹던 유대인들도 같이 물러갔습니다. 거기에 함께 있었던 바나바까지도 그러하였습니다. 교회 안에서도 목회자와 제직의 역할, 교사와의 역할, 각 선교회 회장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그들이 말과 행실에 있어서 모범이 되면 교회에 유익을 끼치지만, 그들이 본이 되지 못하면 해를 끼칩니다. 덕을 세운다는 것은 교회를 건립하는 것을 말하며, 부덕한 것은 교회를 파괴하는 것을 말합니다. 교회의 일꾼들은 믿음에 바로 서서 덕을 세우는 자, 즉 다른 이들에게 유익을 주는 자가 되어야 합니다.

14-15절. 베드로의 외식은 복음 진리대로 행하지 않은 실수이었습니다. 복음 진리는 유대인이나 이방인이나 다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면 구원을 얻고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입니다. 바울은 또 “우리는 본래 유대인이요 이방 죄인이 아니라”라고 말합니다. ‘이방 죄인’이라는 표현은 이방인들이 본래 죄인이었음을 말합니다. 이방인들은 본래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없이 우상들을 섬기며 살았고 도덕적으로도 여러 가지 더러운 죄악들 가운데 파묻혀 살았었습니다.

16절.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줄 아는 고로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나니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에서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함이라. 율법의 행위로는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느니라.”

복음의 핵심을 말합니다. 복음은 사람이 어떻게 의롭다 하심을 얻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그것은 사람이 모든 죄악 된 처지 곧 죄인의 신분과 죄성에서 구원받아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본래의 영광스러운 모습을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우선, 우리는 율법의 행위로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율법의 행위로 말미암는 의는 율법을 다 지키는 것을 말합니다. 신 6:25, “우리가 그 명하신 대로 이 모든 명령을 우리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삼가 지키면 그것이 곧 우리의 의로움이니라.” 그러나 세상에 하나님의 율법을 다 지키는 자는 아무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세상에 참된 의인은 하나도 없습니다. 롬 3:11,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롬 3:20에서도,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라고 말하였습니다.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서 나지 않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습니다.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습니다. 그래서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나니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에서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함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분을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요 3:16)는 말씀과 같습니다.

롬 3:21-22는, “이제는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 율법과 선지자들에게 증거를 받은 것이라.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니 차별이 없느니라”라고 합니다. ‘율법 외에’라는 말은 ‘율법과 별개로, 율법과 관계없이’라는 뜻입니다. 예수님을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과 다른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율법과 대언자들에게 증거를 받은 것 곧 구약시대에 성막 제도와 제사 제도에서 암시된 바입니다. 또 이 방법은 모든 믿는 자에게 차별 없이 적용되는 방법입니다. 유대인도 이방인도, 남녀노소, 빈부귀천, 유무식 할 것 없이 누구든지 예수님을 믿으면 죄사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습니다. 왜 예수님만 믿으면 의롭다 하심을 얻는가요? 그것은 하나님께서 마련해주신 은혜의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인류 역사 초기부터 예배 제도를 통해 암시되었습니다. 이제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우리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공의의 형벌을 담당하셨으므로, 우리가 그 안에서 의롭다 하심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롬 3:24에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 있는 구속(救贖)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라고 말씀하십니다. 찬송가 518장(통 252장) “갈라디아서 주제가”를 부릅시다.

(1) 기쁜 소리 들리니 예수 구원하신다. 만민에게 전하라 예수 구원하신다.

주님 명령하시니 산을 넘고 물 건너 온 세상에 전하라 예수 구원하신다.

(2) 바다들아 외쳐라. 예수 구원하신다. 모든 죄인 들으라 예수 구원하신다.

모든 섬아 일어나 메아리쳐 울려라. 복음 중의 복음은 예수 구원하신다.

(3) 환난 중에 하는 말 예수 구원하신다. 다시 살아나시어 예수 구원하신다.

지은 죄로 인하여 슬픈 맘이 있어도 숨질 때에 내 할말 예수 구원하신다.

(4) 바람들아 외쳐라. 예수 구원하신다. 기뻐하라 나라들 예수 구원하신다.

구원하는 복음을 산과 들에 전하라. 우리들의 승전가 예수 구원하신다

3. 우리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심 (갈 2:17-21)

17 그러나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의롭게 되고자 하다가 우리 자신 또한 죄인으로 드러난다면 그리스도께서 그런 까닭으로 죄의 사역자가 되시느냐? 결코 그럴 수 없느니라. 18 이는 만일 내가 헐었던 것들을 다시 세우면 내가 내 자신을 범법자로 만들기 때문이니라. 19 이는 내가 율법을 통해 율법에 대하여 죽었기 때문이니 이것은 내가 하나님께 대하여 살고자 함이라. 20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혀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노라. 그러나 내가 아니요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느니라. 나는 지금 내가 육체 안에서 사는 삶을,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해 자신을 주신 하나님의 아들의 믿음으로 사노라. 21 내가 하나님의 은혜를 헛되게 하지 아니하노니 만일 의가 율법으로 말미암아 온다면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셨느니라.

17절. 의(義)라는 것은 하나님의 계명을 완전히 지키며 구원의 정도로 가는 것을 뜻합니다. 의는 무죄한 것일 뿐만 아니라 도덕적 완전입니다. ‘의롭게 한다’는 원어(디카이오오 δικαιω dikaiow)는 ‘의롭게 만든다’는 뜻이 아니고 ‘의롭다고 간주한다’는 말입니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의 죽음으로 이루신 구속(救贖)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 하다가 죄인으로 나타나면”이라는 말씀은 예수 그리스도만 믿고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救贖)만 믿고 그것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 줄 알았다가 그것이 아니었다면이라는 뜻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결코 우리를 속이지 않습니다.

18절. 내가 헐었던 것을 다시 세우면 내가 나를 범법한 자로 만드는 것이지, 그리스도께서 죄를 짓게 하는 자일 수는 없습니다. ‘내가 헐었던 것’이란 사람이 율법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는 생각을 말합니다. 바울은 사람이 율법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게 될 수 없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그것은 사람이 율법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는 생각을 부정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다시 세우면’이라는 말은 ‘사람이 율법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고 말하면’이라는 뜻입니다. 만일 바울이 그렇게 말하면, 그는 죄인이 될 것입니다. 그는 이제까지 사람이 율법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을 수 없다고 주장해 왔고 그 주장이 틀린 말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19절. ‘하나님을 향해,’ ‘율법을 향해’라는 말은 원문에서 관계성을 나타냅니다(데오 Theo, 노모 nomo – 관계의 여격). 즉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율법과의 관계에서’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내가 하나님을 향해 살기 위하여’라는 말은 ‘내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죽은 자가 아니고 산 자가 되기 위하여’라는 뜻이며, 또 ‘율법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향하여 죽었다’는 말은 ‘율법의 정죄, 곧 율법의 계속된 정죄, 누적된 정죄로 말미암아 율법과의 관계에서 죽었다’는 말입니다. 언제, 어떻게, 누구로 말미암아 죽었는가요?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셨을 때,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율법과의 관계에서 완전히 죽은 자가 되었습니다.

20절은 오늘의 요절 말씀입니다.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혀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노라. 그러나 내가 아니요,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느니라. 나는 지금 내가 육체 안에서 사는 삶을,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해 자신을 주신 하나님의 아들의 믿음으로 사노라.”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뭇박혔다’는 말은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죽으셨을 때 그가 우리를 대신해, 우리의 죄 때문에, 우리의 죄 짐을 짊어지고 죽으셨기 때문에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은 것이라는 뜻입니다. 그리스도의 대속의 죽음은 우리의 죄로 인한 죽음이며 곧 우리의 죽음이었습니다.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요’라는 말은 본래의 나, 율법 아래 속했던 나, 곧 옛사람 나를 가리킵니다. ‘산 것’이라는 말은 ‘사는 것’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라고 말한 그 ‘나’는 죄로 인하여 정죄되었고 이미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죽었습니다. 그러므로 옛사람은 이미 끝났습니다. 그러므로 이제는 본래의 나, 율법 아래 정죄되었던 나, 곧 옛사람 내가 사는 것이 아닙니다.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는 말은 무슨 말인가요? 어떤 이는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다’는 말을 육신적으로, 신비적으로 이해했습니다. 1930년대에 이단인 황국주 씨는 “머리도 예수의 머리, 피도 예수의 피, 마음도 예수의 마음 … 전부가 예수화하였다’고 주장하며 예수님의 모습을 흉내 낸다고 머리를 기르고 수염도 길렀습니다. 그러나 그는 불건전한 신비주의자로 판명되고 정죄되었습니다.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는 말은 육신적으로, 신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됩니다. 영적으로 혹은 비유적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즉 ‘옛사람 나는 이미 죽었고 나는 이제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새사람으로 살아났기 때문에, 또 그리스도의 영이신 성령께서 내 속에 거하시므로, 이것은 마치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과 같습니다. 바울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고 표현합니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이 중요합니다. 믿음은 참된 회개를 동반합니다. 자신의 죄를 통회하는 자만이 믿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도는 믿음으로 죄씻음과 의롭다 하심을 얻습니다. 또한 성도는 믿음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특권을 얻고(요 1:12) 영생을 얻습니다(요 3:16). 성도의 삶은 믿음의 삶입니다. 성도에게 예수님 믿는 믿음이 없다면 그는 아무것도 없으며 아무것도 아닙니다.

21절. “내가 하나님의 은혜를 폐하지 아니하노니 이는 만일 의롭게 되는 것(디카이오쉬네 dikaiosyne)이 율법으로 말미암으면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셨을 것임이니라.” ‘하나님의 은혜’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으로 죄인을 구원하심을 가리킵니다. 바울은 은혜의 복음을 전파하였고 지금 그것을 변증하고 있습니다. 그는 결코 하나님의 은혜를 폐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이 율법으로 말미암으면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셨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길은 율법을 행하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것입니다. 사람은 율법으로 의롭게 즉 도덕적으로 완전하게 될 수 없습니다. 성도는 율법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향해 죽었고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습니다. 또 만일 의가 율법으로 말미암아 온다면 그리스도는 헛되이 죽으셨을 것입니다.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길은 오직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것입니다. 우리의 정욕과 욕심과 육체를 십자가에 못 박고 새롭게 태어납시다. 찬송 407장(통 465장)

(1) 구주와 함께 나 죽었으니 구주와 함께 나 살았도다

영광의 그날에 이르도록 언제나 주만 바라봅니다

후렴. 언제나 주는 날 사랑하사 언제나 새 생명 주시나니

영광의 그날에 이르도록 언제나 주만 바라봅니다

(2) 맘 속에 시험을 받을 때와 무거운 근심이 있을 때에

주께서 그때도 같이하사 언제나 나를 도와주시네

(3) 뼈아픈 눈물을 흘릴 때와 쓰라린 맘으로 탄식할 때

주께서 그때도 같이하사 언제나 나를 생각하시네

(4) 낸 몸의 약함을 아시는 주 못 고칠 병이 아주 없네

괴로운 날이나 기쁜 때나 언제나 나와 함께 계시네

[오늘의 기도]

사랑과 은혜가 충만하신 하나님 아버지, 오늘 주신 복음으로 은혜와 평강과 자비로 감싸주시고, 사순절에 우리 옛사람은 십자가에 못 박게 하시고, 주님께서 제 속에 살아있음을 체험하게 하옵소서. 언제나 주님은 저를 사랑하사 언제나 새 생명 주시나니 영광의 그날에 이르도록 언제나 주님만 바라보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귀하신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사무엘하 16장 주석 강해설교] 다윗을 저주하는 시므이(삼하 16:1-23)

반응형

갈라디아서 2장 1절-21절, 매일성경큐티와 새벽설교를 위한 설명과 요약

반응형

갈라디아서 2장, 현대인의 성경

1 그로부터 14년 후에 나는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으로 올라갔습니다.

2 나는 하나님의 계시를 받고 예루살렘에 올라가 내가 이방인들에게 전파하는 기쁜 소식을 공식 석상에서 전하였고 지도자들에게는 개인적으로 설명했습니다. 그것은 내가 과거에 한 일과 현재 하는 일이 헛되지 않을까 염려해서였습니다.

3 나와 동행한 디도는 그리이스 사람이었지만 억지로 할례를 받으라고 강요하지 않았습니다.

4 내가 이렇게 한 것은 몰래 들어온 거짓 형제들 때문이었습니다. 그들은 몰래 들어와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우리가 가진 자유를 엿보고 우리를 다시 율법의 종으로 삼으려고 했습니다.

5 그러나 우리는 여러분을 언제나 기쁜 소식의 진리 안에 있게 하려고 한시도 그들에게 굴복하지 않았습니다.

6 지도자들이라는 사람들은 나에게 아무것도 새로운 것을 제시해 주지 못했습니다. 그들이 어떤 사람이건간에 나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하나님은 사람의 겉모양을 보시지 않기 때문입니다.

7 그들은 베드로가 유대인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는 일을 맡은 것같이 내가 이방인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는 일을 맡은 것을 보았습니다.

8 베드로에게 능력을 주어 그를 유대인의 사도로 삼으신 하나님이 나에게 능력을 주어 나를 이방인의 사도로 삼으신 것입니다.

9 그리고 기둥 같은 지도자로 알려진 야고보와 베드로와 요한도 하나님이 나에게 주신 은혜를 인정하고 나와 바나바에게 교제의 악수를 청해 왔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방인들에게 가서 기쁜 소식을 전하고 그들은 유대인들에게 가서 기쁜 소식을 전하기로 했습니다.

10 또 그들은 우리에게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라고 부탁했는데 그 일은 내가 전부터 열심히 해오던 일이었습니다.

11 그런데 베드로가 안디옥에 왔을 때 그가 잘못한 일이 있었으므로 나는 여러 사람 앞에서 그를 책망하였습니다.

12 그것은 그가 이방인과 함께 음식을 먹다가 야고보가 보낸 유대인 몇 사람이 들어오는 것을 보고 겁이 나서 나가 버린 일이었습니다.

13 그러자 다른 유대인들도 안 먹은 체하며 밖으로 나갔고 바나바까지도 그들의 위선에 유혹을 받았습니다.

14 그래서 나는 그들이 기쁜 소식의 진리대로 바로 살지 않는 것을 보고 모든 사람 앞에서 베드로에게 `유대인인 당신이 이방인처럼 살면서 어떻게 이방인에게는 유대인답게 살라고 할 수 있습니까?’ 하고 책망했습니다.

15 우리는 날 때부터 유대인이지 소위 말하는 `이방 죄인’이 아닙니다.

16 그러나 우리는 사람이 율법을 지켜서 의롭게 되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우리도 그렇게 되려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있습니다. 그 누구도 율법을 지켜서 의롭게 될 사람은 없습니다.

17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게 되려고 하다가 우리 자신이 죄인으로 판명되면 그리스도께서 죄를 짓게 한다고 할 수 있습니까? 절대로 그렇지 않습니다.

18 내가 이미 헐어 버렸던 율법의 체계를 다시 세운다면 나는 율법을 범하는 사람이 되고 맙니다.

19 나는 율법에 관한 한 율법 그 자체에 의해서 죽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을 위해 살기 위해서입니다.

20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혀 죽었으므로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내 속에 그리스도께서 살아 계십니다. 지금 나는 나를 사랑하시고 나를 위해 죽으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으로 살고 있습니다.

21 나에게는 하나님의 은혜가 참으로 귀중합니다. 만일 율법을 지켜서 의롭게 된다면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신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갈라디아서 2장, 설명과 요약

2장 5절, 순종, 새벽설교를 위한 더 깊은 말씀묵상

이 구절에서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누리는 자유를 빼앗으려고 하는 거짓 신자들을 따르는 것을 경계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혹시 나중에 거짓으로 판명된 가르침을 따른 적은 없었습니까? 어떤 영성 훈련이 잘못된 가르침을 피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2장 7절, 무할례자에게 복음 전함을 맡은 것이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자매들이 독특하게 ‘각자에게 맡겨진’ 복음 사역을 감당하고 있음을 눈여겨 보아야 합니다. 그러면 서로가 ‘다름’으로 인해 분열하지 않고 연합하게 됩니다.

2장 10절, 가난한 자들을 기억하도록

우리는 변화됨으로써 자유로우며, 특별한 사역으로 인도하시는 성령께 순종하는 것에도 자유롭습니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주변에 있는 연약한 사람들을 외면할 수 있을 만큼 자유롭지는 않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을 생각하는 마음은 그리스도가 우리 가운데 살아 계심을 나타 내는 확실한 척도가 됩니다. 가난한 사람들을 기억하는 것은 근검, 기부, 봉사, 영성 개발을 위한 기본 활동들을 실천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2장 11절-14절, 친구에게 올바른 것을 말해주기, 새벽설교를 위한 더 깊은 묵상

우리 모두는 친구가 필요하고 또 친구들이 있습니다. 비록 친구가 때로 옳지 않은 일을 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여전히 그 친구와 함께 잘 지내기를 원합니다. 그것은 좋은 일입니다. 하지만 한 가지 생각해 볼 일이 있습니다. 만일 친구가 잘못한 일이 있을 때, 그냥 모르는 체하고 넘어가는 것이 나은가, 아니면 잘못을 말해 주는 것이 더 나은 일인가요?

갈라디아서 2장 11-14절 부분을 읽어 보십시오. 바울은 친구 게바(베드로)의 잘못을 말해 주었습니다. 그것은 사랑의 충고였습니다. 만약 우리도 바울의 본보기를 따른다면, 우리의 친구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사랑의 충고를 해주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것이 참된 친구의 도리가 아니겠습니까!

2장 14절, 나는 그들이 복음의 진리를 … 아니함을 보고

‘복음의 진리’에 주의를 기울이고 ‘복음의 진리’에 근거해서 말하는 것을 그리스도인의 영성에 있어서 ‘명민함’ (discernment)이라고 합니다. 판단하거나 정죄해서는 안 되지만 비복음적인 말이나 행동은 항상 경계해야 합니다. 이것이 명민한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2장 16절, 율법의 행위로 말미암음이 아니요

복음적인 자유의 삶은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무엇을 하셨고 또 무엇을 하고 계신지 의지하는 믿음에서 생겨나고, 또 유지됩니다. 바울은 이 구절에서 세 번 ‘율법의 행위’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율법의 행위는 믿음과는 반대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하나님께 인정을 받으려는 행위,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업적, 형식주의 그리고 율법주의로부터 자유하게 됩니다. 우리는 ‘믿음’으로 자유하게 되며 완전히 변화될 수 있습니다.

2장 16절,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새벽설교를 위한 더 깊은 묵상

마르틴 루터는 수도원 생활 7년 동안 남보다 더 기도하고 더 금식하고 더 철저히 규칙을 지켰습니다. 그러나 기쁨과 감사는 없고, 죄책감만 더할 뿐이었습니다. 그러는 동안 루터는 로마서를 비롯한 바울의 여러 서신을 통하여 바울의 신학을 연구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습니다.

1510년, 로마에 간 루터는 성 베드로 사원의 ‘거룩한 계단’을 무릎으로 올라가고 있었습니다. 온맘으로 고행을 수행하던 그 때, 루터의 뇌리를 파고드는 성경 구절이 있었습니다.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로마서 1:17).

그 때 루터는 일어나 더 이상 고행의 삶을 통해 의롭게 되기를 포기하고, ‘오직 믿음으로’라는 기치 하에 힘차게 종교 개혁의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2장 19절-20절,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이 구절을 간략하게 표현하자면, ‘함께 십자가를 지다'(cocrucified)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와 우리의 연합에 대해 놀랍도록 대담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단어는 예수님과 같은 시간에 십자가에 매달린 두 강도에게 사용한 말입니다(마 27:44; 막 15:32; 요 19:32). 바울은 우리를 그리스도와의 완전하고도 즉각적인 연합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옛 삶은 끝나고 그리스도가 우리 가운데 임재하시는 새로운 삶이 시작되었습니다. 바로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사는 삶입니다. 이러한 내적 실재(reality)는 시간이 지나면서 외적 증거, 곧 성령의 열매들로 나타날 것입니다.

갈라디아 민족

갈라디아 민족은 주전 3세기에 중부 유럽에서 소아시아로 이주한 켈트족을 의미합니다. 신약 성경 시대에는 갈라디아라는 로마 속주가 있었는데, 원래의 민족 지역보다 더 넓은 지역이었습니다. 인종적으로는 갈라디아 인들이 아닌 남쪽의 영토도 행정적으로는 갈라디아 지역에 포함이 되었습니다. 바울이 말한 갈라디아라는 말이 인종적으로 갈라디아인을 가리키는 것인지 아니면 지방을 가리키는가는 갈라디아서의 수신자가 누구인지를 분명하게 알려 주는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지난 2세기까지의 일반적인 견해는 바울이 “북갈라디아” 즉 이 지방의 북부에 위치한 갈라디아 민족에게 보낸 편지가 갈라디아서라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남갈라디아” 이론이 더 널리 인정되고 있습니다. 이 견해에 따르면, 바울이 이 지역의 남부 지역에 있는 교회들, 즉 첫 선교 여행에서 세운 교회들에 편지를 썼다는 것이고 나중에 이 교회들을 다시 방문하였습니다.

십사 년 후에(2:1) : 바울의 1차 예루실럼 방문 후 14년이 지난 때를 가리킵니다.

유력한 이들(2:6) : 베드로, 요한, 야고보 등을 위시한 예루살렘 교회지도자들을 말합니다.

의롭다 함(2:16) : 법정용어로, ‘의롭다고 선포하다’라는 뜻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2:17) :‘아담 안에서’라는 표현과 대조를 이루는 것으로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신비한 연합을 이루어 구원과 영생 가운데 있는 상태를 지칭합니다.

반응형

2016/02/1(월) “갈라디아서 2:11-21” / 작성: 김순식

본문

찬송가

기도

묵상을 돕는 질문

2. 율법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3. 율법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4. 율법과 반대되는 개념은 무엇인가요?

5. 구원은 무엇으로 받게 되나요?

(작성: 김순식)

갈라디아서 2장11절-21절357장 ‘주 믿는 사람 일어나’만일, 직장에서, 일반사원이 많은 직원들 앞에서 회장을 야단치는 일이 있을 수 있을까요?학교에서, 학생이 선생님에게 잘못하셨으니까 학생들 앞에서 대놓고 사과하시라고 했다면 그것이 가능한 일이겠습니까?혹 회장님이나 선생님이 업무상, 교육상, 어떤 실수를 했다 할지라도 많은 사람들 앞에서 정면으로 “회장이. 혹은 선생님이 되가지고 이것 밖에 못합니까?”라고 충고를 했다면 그 다음 무슨 일이 생기겠습니까?그와 똑같은 일이 베드로와 바울 사이에 일어났습니다.베드로로 말할 것 같으면 예수님의 수제자이며 초대교회 대표적이며 상징적인 인물일 뿐 아니라 나이로 보아도 비교할수 없습니다.바울은 나이도 젊은데다 지방에서 목회하고 있었던 이제 갓 목회를 시작한 초임목회자라고나 할까요.베드로가 얼마나 큰 잘못을 저질렀 길래 젊은 바울이 이렇게 할 수 있었을까요?옳고 그름을 떠나서 ‘괘씸죄’라는 것이 있는데 다른 업무상의 실수는 용서 받을 수 있어도 조직사회에서 윗사람에게 ‘괘씸죄’에 걸리면 끝입니다. 두고두고 잊지 않고 괴롭힙니다. 못살게해서 스스로 그만두게 합니다.만일 베드로가 화가 나서 한마디 했다면 바울은 사역에 큰 어려움을 겪었을 수도 있고 또 매장 당할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드로는 겸손한 신앙인이요, 참된 하나님의 종이었는지라 이 문제는 베드로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조용하게 마무리되었습니다.베드로의 위대함과 바울의 열정이 빛나는 대목입니다.유대주의 자들이 바울이 목회하고 있는 안디옥을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이유는 이방인들도 복음을 받아들이고 교회에 나오고 있다는 놀라운 소식을 듣고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이같은 일은 초대교회 유대인들에게는 엄청난 소식이었습니다.유대인들은 전통적으로 오직 자기들만이 하나님의 유일한 선택된 민족으로 알고 선민의식을 가지고 살았습니다. 유대인외에 다른 이방인들은 하나님께서 지옥의 땔감으로 만들었다고 말할 정도로 이방인들을 무시하는 배타적인 민족이었습니다. 그런데 안디옥 사람들이 복음을 받아들이고 예수님을 구주로 믿는다는 소식은 가히 충격적이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이제 더 이상 유대인의 하나님만이 아니라 이방인의 하나님도 되신다는 청천병력과 같은 사건이기 때문입니다.베드로는, 소문대로 이방인들이 자기들과 똑같이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고 하나님을 예배하고, 신앙생활 하는 모습을 보면서 과연 하나님께서 이방인의 하나님도 되셨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방인들과 더불어 주 안에서 한 형제, 자매로 알고 식사를 같이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유대인들은 그들의 풍습에 의해서 절대 이방인들과 밥을 같이 먹지 않았습니다.하지만 베드로는 하나님께서 그 벽을 무너뜨린 것을 확인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이방인들과 식사를 한 것입니다.문제는 베드로가 밥 먹고 있을 때, 예루살렘 교회로부터 유대인 교인들이 갑자기 찾아 온 것입니다.이때 베드로가 취해야 할 바른 태도는 그냥 이방인들과 같이 식사를 계속 하는 것입니다.그런데 베드로는 놀라서 밥 먹다 말고 자리를 떳습니다.당시 예루살렘 교회는 유대인들이 주류를 이루었고 유대교적인 분위기가 가득 차 있었습니다.이런 상황 속에서 교회의 수장인 베드로가 유대인 전통을 깨고 이방인과 같이 밥 먹었다는 소문이 나게 되면 교회가 발칵 뒤집힐 것이 뻔했기 때문입니다. 이와는 다르게 베드로의 또 다른 입장을 밝히는 신학자의 견해도 있지만 어쨌든, 차라리 베드로는 그들에게 이방인들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하나님의 구원계획이 실현되었음을 설득했어야 했습니다.그런데 교회 분위기가 복잡해 질 것 같아서 그 자리를 피해 버리게 된 것입니다.베드로가 자리를 뜨자 바울의 동역자 바나바도 같이 얼른 일어나게 되었습니다.이와 같은 베드로의 행동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하나님께서 계시해 주신 ‘절대 복음’을 정면으로 부인한 꼴이 되어버린 것입니다.결과적으로, 베드로의 행동은 예수 그리스도도 믿고, 거기다 유대인 전통도 함께 지켜야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다른 복음’을 몸으로 보여 준 사건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이 문제는 기독교의 구원관을 뿌리째 흔든 사건이 되었습니다.베드로는 ‘오직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복음의 진리를 누구보다도 잘 알면서 그 진리에 따라 행동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의 입장이 난처해질까 봐 순간적으로 위선을 저지른 것입니다.바울이 위대한 것은 절대적인 우선순위를 진리를 따라 사는 것에 두었다는 것입니다.바울은 유대교 율법을 어렸을 때부터 배워 왔기 때문에 윗사람을 어떻게 공경해야 하는지 잘 아는 사람이었습니다. 어린 바울이 존경받는 베드로를 야단칠 경우 다른 사람들의 눈에 어떻게 비칠 것을 모를 리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리를 우선하고 살았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있었습니다.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을 믿을 때, 사람이 의롭게 될 수 있는데 사람들은 거기에다 다른 것을 첨가합니다.‘기복신앙’도 첨가하고, 자기주장이나 뜻을 섞은 ‘도덕윤리’나 ‘인본주의 신앙이나 전통’도 첨가하여, 가장 중요한 ‘절대 복음’을 희석시키는 것입니다.여기 본문에서 강조하고 있는 ‘다른 복음’은 구원받기위하여 요구되는 믿음에 반한 율법입니다.사람들은 ‘다른 복음’인 행위나 율법을 통해서 구원을 받을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자신을 율법에 엮어 메어 주 안에서의 ‘자유와 평안’을 상실하면서 살아갑니다.율법의 행위로 의롭게 될 수 없습니다.본문 16절에,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요”라고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어떤 교회에서는 믿음으로 구원을 얻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율법에 맞추어서 살아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애매하게 행위와 율법을 섞어 얽어매어 놓습니다.그 결과, 신앙생활에서 감사와 감격과 기쁨이 사라지고, 배우면 배울수록, 도무지 하나님의 말씀을 지킬 능력이 없는 자신의 무능 앞에 절망하고, 더욱 더 영적으로 육적으로 황폐하게 만들어가고 있습니다.구원을 얻기 위하여 율법을 만족시키기위하여 온전히 지킬 수 있는 자가 하나도 없습니다.그렇다면 하나님께서 왜 율법을 주셨습니까?율법은 마치 거울과 같아서 거울이 없을 때는 자기 얼굴에 무엇이 묻었는지 알지 못하지만 거울로 자신을 들여다 볼 때 비로소 우리 상태가 얼마나 악하고 타락했는지를 아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율법은 지키라고 주신 것이 아니라 율법을 통해 자신의 상태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가를 점검해 보라고 주신 것입니다.이러한 사실을 이해하기 위해 바울의 다음 말씀을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만일 의롭게 되는 것이 율법으로 말미암으면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셨느니라”(갈2:21)고 했습니다.만일 율법을 지켜 의롭게 될 수 있다면 예수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실 이유가 없었다는 뜻입니다.이로 볼 때 율법은 지키라고 주신 것이 아님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왜 하나님께서 지키지도 못할 율법을 주셔서 우리로 하여금 심히 죄 되게 하시고 그 죄로 인해 죽게 만드셨는가?그것은 “은혜를 베풀어 영생을 주시기 위함‘입니다.로마서 5장 20-21절에, “율법이 들어온 것은 범죄를 더하게 하려 함이라 그러나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 이는 죄가 사망 안에서 왕 노릇 한 것 같이 은혜도 또한 의로 말미암아 왕 노릇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생에 이르게 하려 함이라”고 했습니다.예수께서 부활의 영광이 있기 위하여십자가 죽음이 먼저 있어야 했습니다.은혜를 받기 위해서는 먼저 죄 가운데 빠져 있어야 합니다.같은 논리로 영생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죄로 인해 영벌에 처해 있어야 합니다.율법을 통해 죄가 심히 죄 되게 하고, 그 죄로 인하여 죽게 하신 이유는 심히 크신 하나님의 은혜로, 영생을 주시기 위해 그렇게 하셨다는 말씀입니다.하나님께서는 율법을 통하여 죄인들에게 하나님의 용서와 구원의 은혜가 상대적으로 얼마나 값진 것인가를 깨닫게 하십니다. 그 은혜를 깨달은 사람만이 더 이상 율법을 의지하지 않고, 하나님만을 의지하고 경외하면서 살 수가 있습니다.예수께서 십자가에 달리실 때 율법이 내게 요구한 요구 사항을 죽음으로써 이행해 주셨습니다.빚을 다 갚아 주셨습니다.율법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시켜 주셨습니다.이 사실을 알고, 믿을 때 우리는 이제 자유의 길로 들어서게 됩니다.이 구속의 역사를 일으켜 주신 주님이 부활했습니다.부활하신 주님이 지금 나와 함께 사십니다.이제 내가 사는 것은 내 안에 사시는 주님께서 내게 때마다 베풀어 주시는 은혜로 삽니다.이 능력을 의지할 때, 하나님께 감사하고, 사랑하고, 기쁨으로 순종할 수 있는 힘을 베풀어 주시는 것입니다.이것이 율법에서 해방된 새 생명입니다.이 사실을 믿는 자, 구원받은 그리스도인으로 주 안에서 자유와 평안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하나님아버지 감사합니다.율법으로서가 아닌 믿음으로 구원받게하시고 복된 주의 자녀로 살아가게 하신 것을 감사합니다.‘기복신앙’이나, 자기주장이나 뜻을 섞은 “도덕윤리”나 ‘인본주의 신앙이나 전통’이 아닌, 십자가를 통하여 계시된 주님의 말씀을 믿음으로 구원받고, 그 능력으로 살아가는 믿음의 사람, 죄에서 해방된 자유인으로 사는 그리스도인 되게하여 주옵소서.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1. 게바(베드로)가 바울로부터 책망 받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키워드에 대한 정보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다음은 Bing에서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하루 한 장] 갈라디아서2장_디도를 데리고

  • 홍융희
  • 홍융희목사
  • 성민교회
  • 부산성민교회
  • 하루한장
  • 분홍목사
  • 다음세대
  • 은혜로운 설교
  • 은혜설교
  • 들을만한설교
  • 좋은 설교
  • 성경적설교
  • 추천설교
  • 말씀을 깨닫는 기쁨
  • 말씀을알아가기
  • 갈라디아서 강해
  • 갈라디아서 설교
[하루 #한 #장] #갈라디아서2장_디도를 #데리고


YouTube에서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루 한 장] 갈라디아서2장_디도를 데리고 | 갈라디아서 2 장 강해,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미국 불고기용 고기 | 양념 4개면 '소불고기' 끝! 267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